(종목 추천이 아닌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이슈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K-배터리 산업
-정부는 8일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 2공장 부지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2030년 차세대 이차전지 1등 국가 실현'을 위해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가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전고체, 리튬황, 리튬금속 등 차세대 이차전지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3천 66억원을 투입하기로 하고 예비타당성 조사에 나선다.
-세계시장 진출을 뒷받침할 이차전지 생태계를 위해 이차전지 공급망 구축과 소부장 핵심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제도기반 마련을 추진한다. 또 이차전지 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분야 수요시장을 창출하기로 했다.
<2030 이차전지 산업(K-배터리) 발전전략>
추진전략 | 1. 독보적 1등 기술력 확보 -민관 협력 대규모 연구, 개발(R&D) 추진 + 민간은 2030년까지 40조 6000억원 투자, 정보는 대규모 R&D 예비 타당성조사 등 기술선점 지원 확대. 2. 글로벌 선도기지 구축 -연대와 협력의 생태계 조성. 3. 이차전지 시장 확대 -공공 민간 수요 시장 창출. |
세부 추진과제 | -전고체, 리튬황, 리튬금속 등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차세대 이차전지용 소부장 요소기술, 리튬이온전지 초격차 기술 경쟁력 확보. -안정적 이차전지 공급망 구축, 소재, 부품, 장비 핵심기업 육성 위해 800억원 규모 R&D 혁신펀드 조성 및 이차전지 핵심기술을 국가전략 기술로 선정해 R&D 최대 40~50%, 시설투자 최대 20% 세액공제, 이차전지 전문인력 매년 1,100명 이상 양성, 글로벌 트랜드에 대응한 제도기반 마련. -사용 후 이차전지 시장 활성화, 이차전지 수요기반 확대, 이차전지 서비스 신산업 여건 육성. |
-정부는 이같은 전략의 기대효과로 이차전지 관련 매출액이 지난해 22조 7000억원에서 2030년 166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배터리 관련 소부장 매출액도 같은기간 4조 3000억원에서 60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이차전지 수출액 또한 75억달러에서 200억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LG에너지솔루션은 자사 공장에서 열린 정부 발표에 화답하듯 오는 2030년까지 15조 1000억원을 국내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LG는 향후 10년간 R&D 9조 7000억원을 포함해 총 15조 1000억원을 국내에 투자하고, 8000여개의 일자리도 창출하겠다' 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1일 자사 '스토리 데이' 행사에서 그린(친환경) 중심 성장을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총 30조원을 집중 투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해당 기간에 배터리 사업에 만 18조원가량을 투자하기로 했다.
2020.10.16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2차전지 관련주
'주식공부 > 이슈+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주식 이슈 + 일정] 일진하이솔루스 (수소튜브) (0) | 2021.07.11 |
---|---|
[국내주식 이슈 + 일정] 포스코케미칼, 포항에 양극재 공장 신설 (0) | 2021.07.08 |
[국내주식 이슈 + 일정] 하반기 '리츠IPO' (0) | 2021.07.07 |
[국내주식 이슈 + 일정] 지엔티파마, 연말 IPO 시동 (0) | 2021.07.06 |
[국내주식 이슈 + 일정] 한미반도체, 자체 개발 '마이크로 쏘' 공급 성사 (0) | 202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