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한령은 중국 내 한류 금지령으로, 중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지만 2016년 7월 한국의 사드 배치가 확정된 후부터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적용되고 있다.

 

 

-한한령으로 인해 엔터테인먼트, 면세, 게임, 카지노, 여행, 화장품, 미디어 콘텐츠 등의 업종이 큰 피해를 입었다.

 

-반대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방한하고 시진핑 국가 주석이 올해 안해 방한을 해서 한한령 해제가 기대되면 상승할 섹터이기도 한다.

 

-한한령 해제 수혜 종목들 중 엔터테인먼트 관련주를 살펴보자.

 

 

 

 

엔터테인먼트 관련주

 

 

빅히트 -음원, 음반/ 엔터테인먼트

-방탄소년단(BTS)을 보유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업체.

-아티스트의 발굴, 육성 및 음악 제작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아티스트로 방탄소년단(BTS),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등이 있음.

-세븐틴, 뉴이스트 등을 보유한 (주)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여자친구 등을 보유한 (주)쏘스뮤직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

-아티스트로부터 창출된 지적재산(IP)의 사업화를 담당하는 도메인 조직 ((주)빅히트쓰리식스티, (주)빅히트아이피, (주)비엔엑스, (주)수퍼브, (주)빅히트에듀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도메인 조직은 공연 기획 및 대행, 음반/음원유통, 영상콘텐츠 제작 및 유통, 광고대행, MD 등의 사업 영위.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음원, 음반/ 엔터테인먼트

-국내 및 일본, 중국 등 전 세계에서 매출이 발생하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사.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 신인 아티스트의 육성 및 매니지먼트 등의 사업을 영위.

-또한, 소속 아티스트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사업과 관련 상품 판매 등 부가적인 사업을 종속회사 등을 통해 영위 중.

-가수 빅뱅, 악동뮤지션, 위너, 아이콘, 블랙핑크 등과 배우 강동원, 유인나, 차승원, 최지우 등과 전속계약 체결.
JYP Ent.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음원, 음반

-연예매니지먼트, 영화, 드라마, 음반기획/ 제작 발매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트와이스, GOT7, ITZY, StrayKids 등 소속가수 및 연예인들의 엔터테인먼트 활동과 음반, 음원의 제작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에스엠 -음원, 음반/ 엔터테인먼트

-음악 전문 종합엔터테인먼트 업체.

-EXO,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샤이니, f(x), 동방신기, 레드벨벳 등의 소속 가수를 보유.

-주요사업으로는 음반 제작, 퍼블리싱, 공연 기획 및 제작 등이 있음.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매니지먼트, 여행업 등을 영위하는 코스닥 상장사 SM C&C를 계열사로 보유.
CJ ENM -음원, 음반/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미디어/ 영화/ 케이블TV/ 소매유통/ 홈쇼핑

-CJ그룹 계열의 종합 미디어 커머스 업체.

-홈쇼핑 사업부문은 케이블TV홈쇼핑을 비롯해 카탈로그와 인터넷 쇼핑몰(CJmall) 등의 매체를 이용해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중.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은 방송채널(tvN/OtvN/Mnet 등) 및 방송콘텐츠를 케이블TV/IPTV/위성방송/온라인 등의 플렛폼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으며, 영화 제작, 투자 및 배급사업을 진행중. 

-아울러 음반 및 음원 제작/투자/유통 및 뮤지컬과 콘서트 등 공연사업을 진행중.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각각 지분 51%/49% 씩 출자하여 합작회사를 설립했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스튜디오드래곤의 최대주주.
에프엔씨엔터 -음원, 음반/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음반기획 제작, 유통업 및 매니지먼트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회사.

-FT아일랜드, 씨엔블루, AOA, 엔플라잉, SF9, 체리블렛, 유재석, 정형돈, 노홍철, 이국주, 이동건, 정해인 등 과 전속계약 체결.

-미디어콘텐츠 제작 사업을 영위하는 (주)에프엔씨프로덕션, (주)에프앤씨스토리를 종속회사로 보유.
큐브엔터 -엔터테인먼트

-음반 기획, 제작 및 매니지먼트업체로 장현승, 허경환, 이휘재, BTOB, CLC, 펜타곤, (여자)아이들 등이 소속되어 있음.

-빅히트엔터 피인수 기대감.
SM C&C -여행/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광고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콘텐츠 제작(드라마, 예능프로그램 등), 매니지먼트사업, 여행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광고대행 부문 매출 비중이 높음.

-상승이슈 : 슈퍼엠 빌보드 200 1위.
카카오 -가상화폐/ 블록체인/ 인터넷은행/ 핀테크/ 모바일콘텐츠/ 인터넷대표주/ 엔터테인먼트/ 음원, 음반/ SNS/ K-뉴딜지수/ 음성인식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디지털 음원사이트인 멜론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방탄소년단 음반 판매 증가 소식으로 인한 수혜주로 부각.

-국내 대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다음 운영을 통해 검색, 이메일,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제공중.

-모바일 결제 서비스 사업 진출 및 자회사 GroundX 등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 연구 진행중.

-카카오M을 흡수합병해 음반 기획, 제작, 판매 및 온라인 음원 유통사업과 종속회사 (주)스타쉽엔터테인먼트,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 등을 통해 매니지먼트 사업 영위.
IHQ -영화/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음원, 음반

-국내 톱스타들이 포진된 매니지먼트 사업본부 IHQ를 비롯해 드라마, 음반, 공연, 영화 제작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종합엔터테인먼트 그룹.

-유료방송, 프로그램 공급, 광고대행 등 미디어 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Comedy TV, Dramax, K STAR, Life U, CUBE TV 등의 채널을 운영.

-주로 계열사로 (주)썬파워프로 등이 있음. 
팬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드라마, 교양/ 예능프로그램 등의 방송영상물제작 및 드라마 OST 등의 음반제작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요작품으로 해를 품은 달, 최고의 연인, 동백꽃 필 무렵, 두번은 없다, 청춘기록 등이 있음.

-신규사업으로 영화제작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나리오 개발 및 웹툰, 소설 등 원작확보를 통해 자체제작 및 공동제작을 준비중.

-연기자 매니지먼트 등을 주된 영업으로 하는 (주)팬스타즈컴퍼니를 종속회사로 보유.

-이낙연 인맥주(박종술 사장이 전남 영광 출신으로 서울대 법대 동문)
바른손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모바일 게임/ 영화/ 가상현실/ 모바일콘텐츠

-주요 사업으로 크게 영화제작 및 투자, 외식사업, VR관련 사업을 영위.

-계열사를 통해 영화사업(시오필름) 및 게임소프트웨어개발사업(레드모바일), 홈인테리어 도소매업(주 바른손 누보) 등을 영위.

-코스닥 상장사인 바른손이앤에이 지분 보유.

-기생충 관련주

-관리종목 지정 우려.

-문구류 필기류 불매운동 반일.

-모더나 지분 보유(코로나19)
제이콘텐트리 -영화/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신문/방송)

-중앙일보 계열의 지주사업과 영화 및 방송 콘텐츠 투자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멀티플렉스극장(메가박스 등) 운영 사업을 영위하는 메가박스중앙(주)과 드라마 제작 및 콘텐츠 유통사업 등을 영위하는 제이티비씨스튜디오(주)등을 자회사로 보유.

-자회사 제이티비씨스튜디오(주)는 드라마를 제작하고 드라마를 포함한 시사, 예능 프로그램 유통 및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유통을 주업으로 영위중.
삼화네트웍스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드라마제작을 중심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업체.

-경쟁력 있는 PD와 지명도 높은 작가와의 계약을 통해 드라마 제작의 기반을 마련하는 등 드라마 제작에 초점을 맞춰 영업활동을 전개.

-TV시리즈 제작 외에 O.S.T 앨범제작, 머천다이징, 영화 제작/ 배급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진행.

-더블유에스엔터테인먼트 등을 종속 회사로 보유.

-홍정욱.
스튜디오드래곤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CJ그룹 계열의 드라마 등 방송영상물 제작업체.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부가사업 등을 영위.

-<미생>, <도깨비>, <시그널>, <미스터선샤인> 등을 제작.

-주요 매출처는 최대주주 CJ ENM이 보유하고 있는 tvN 및 OCN 등임.

-최대주주 CJ ENM.
키이스트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TV방송용 드라마 및 영화 등의 영상콘텐츠를 기획/ 제작하여 공급하는 프로덕션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부가적으로 IP를 활용한 영상 콘텐츠의 유통과 배우,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도 영위중.

-자회사 SMC는 일본활동 팬클럽 관리.

-일본에 있는 자회사인 스트림미디어코퍼레이션을 통하여 방탄소년단과 일본 매니지먼트 전속 계약을 맺었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초록뱀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TV드라마 제작을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사업과 드라마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부가사업(OST, 컬러링, 캐릭터상품, 테마파크 개발) 등을 영위하는 업체.

-대표작품은 올인, 주몽, 불새, 하이킥 시리즈, K팝 스타 시리즈, 추노, 로비스트, 프로듀사, 나의 아저씨,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등.

-100억 규모의 에이프로젠KIC CB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W홀딩컴퍼니 자회사. 방탄소년단 드라마 제작하며 한류관련주.

-W홀딩컴퍼니는 2010년 10월 초록뱀 유상증자에 400억원 참여하면서 3276만여주 (27.53%)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대주주.
지니뮤직 -음원, 음반/ 엔터테인먼트/ 가상현실/ 모바일콘텐츠

-KT그룹 계열의 디지털음악서비스 업체.

-온라인 음악서비스 및 음악 유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방탄소년단 BTS ERD MUSTER 블루레이 CD를 한정판 판매 한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갤럭시아에스엠 -엔터테인먼트

-효성그룹 계열의 스포츠 판권사업 및 스포츠마케팅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Property(스포츠협회/ 스포츠 연맹/ 스포츠구단/ 스포츠선수 등 원천권리보유자)에 대한 마케팅권리를 활용하여 각종 스폰서쉽, 머천다이징, 이벤트 사업 등을 진행하는 스포츠 마케팅을 주사업으로 영위.

-쇼트트랙 심석희 등의 선수를 매니지먼트 중.
NEW -영화/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2008년 영화투자배급사로 설립.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중.

-천만 관객 이상의 <7번방의 선물(2013)>, <변호인(2013)>, <부산행(2016)>과 <더킹(2017)>, <독전(2018> 등의 영화와 드라마 <태양의 후예(2016)>를 흥행시켰으며,

-방송프로그램 기획, 투자 및 제작(스튜디오앤뉴), 영화 부가판권 유통대행(콘텐츠판다), 음원투자 및 유통(뮤직앤뉴), 스포츠마케팅/매니지먼트(브라보앤뉴), 영화 등 영상콘텐츠 VFX 제작(엔진비주얼웨이브) 사업을 통해 종합 미디어컨텐츠 그룹으로 성장.

-20년6월 영화관 사업 분할해 주식회사 씨네큐 설립.
아이오케이 -증강현실(AR)/ 엔터테인먼트

-방송인(연기자, 예능인 가수 등) 매니지먼트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고현정, 조인성, 이영자 등이 소속된 종합엔터테인먼트 기업.

-비덴트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사채를 보유중이며 주식으로 모두 전환시 지분율은 18.04%.

-무선인터넷 기반 솔루션 개발업체인 포인트아이(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화장품

-2005년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심엔터테인먼트로 설립되었으며, 최근 사명을 화이브라더스코리아에서 플리토로, 다시 산타클로스로 변경함.

-동사는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을 중심으로 영화, 드라마, 드라마OST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뷰티풀마인드 코리아(홈쇼핑 유통업), 메리크리스마스(영화 제작 및 배급), 화이인베스트먼트(창업투자), 매드맨포스트(영상 및 특수효과) 등이 있음.

-(주)뷰티풀마인드코리아는 화장품 제조, 수입, 판매 사업 진출을 목적으로 설립.
판타지오 -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연예 매니지먼트, 영화제작, 음반 제작을 영위하고 있으며, 강한나, 임현성 등의 연예인이 소속되어 있음.

-종속회사 (주)판타지오뮤직에 위키미키, 아스트로 등의 가수들이 소속되어 있음.

-판타지오 홍콩, 판타지오 일본, (주)판타지오픽쳐스, (주)솔리드씨앤엠, (주)판타지오뮤직 등 엔터테인먼트 계열사를 종속회사로 보유.
TJ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모바일콘텐츠

-노래반주기 사업 전문업체.

-종속회사 TJ커뮤니케이션(주)을 통해 노래반주콘텐츠를 유/ 무선 인터넷,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IPTV, 스마트TV 등의 새로운 매체를 통해서도 제공중.
큐로홀딩스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영화·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 제작, 연예인 매니지먼트 등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커피 관련 사업도영위하고 있으며,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종속회사인 Curocom Energy, LLC을 통해 자원개발 사업도 영위.
버킷스튜디오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영화

-IPTV, 케이블방송, 스마트TV, 아이패드 등 스마트디바이스 기반을 중심으로 영화, 영상, 교육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업체.

-온라인 콘텐츠 유통의 필수 기술인 필터링 기술을 자체 보유.

-모바일서비스 (대량문자 발송) 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세종메가박스 영화관 운영.

-연예기획 및 매니지먼트 업체 (주)아티스트컴퍼니 지분 보유.

 

 

2020/09/18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게임관련주

 

[국내주식] 게임관련주

- 최근 게임주들은 코로나 19 변동성에도 흔들림 없이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또한 카카오게임즈 성공적 상장 이후, 게임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하반기에도 언택트(비대면)문화를

hjs9310.tistory.com

 

2020/11/05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화장품 관련주

 

[국내주식] 화장품 관련주

-증시 일정 중에 화장품 관련 섹터가 상승 할 수 있는 이슈가 2가지가 남아있다. -첫번째는 11.11 중국 광군제이다. -광군제는 중국에서 11월 11일을 가리키는 말로 독신절(솔로데이)라고도 한다. 200

hjs9310.tistory.com

2020/10/24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여행관련주 (여행, 항공, 면세점 )

 

[국내주식] 여행관련주 (여행, 항공, 면세점 )

-인천을 출발해 강릉, 포항, 부산, 제주상공을 거쳐 인천공항으로 되돌아오는 경로인 이른바 '한반도 일주 비행'이 등장했다. -코로나 19로 외국 여행길이 막히고 비행기를 타고 싶어하는 수요는

hjs9310.tistory.com

 

반응형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6일 국민미래포럼 강연에서 야권을 재편해 새로운 혁신 플랫폼을 만들어 대한민국의 구체적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서울시장 출마 질문에 '정권 교체를 위해 어떤 역할이라도 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네이버 인물정보 : 안철수)

 

-안철수 대표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안철수 관련주

 

 

써니전자 -전자산업의 부품인 수정진동자 및 응용제품, 통신산업의 광전송장치 등 생산업체.

-수정진동자 사업부문 매출비중이 대부분을 차지.

-안철수 (안철수 연구소 기획이사로 재직했던 송태종이 과거 써니전자 대표이사로 재직한 바 있다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다만, 당사의 사업은 안철수 의원과 과거 및 현재 전혀 관련이 없다고 조회공시 답변.)
안랩 -보안주(정보)/ 클라우드 컴퓨팅/ K-뉴딜지수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대표 정보보안업체.

-V3, TrusGuard, AIPS 등의 보안서비스 사업 및 보안 컨설팅, 관제서비스, 보안 SI 사업 등을 영위.

-안철수 (안철수 의원이 설립한 회사로, 안철수 의원이 동사의 최대주주)
까뮤이앤씨 -건설중소형

-건설, 토목공사 등의 종합건설업과 Precast Concrete(P.C) 제품의 제조, 판매업, 부동산 임대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안철수(표학길 사외이사가 2017년 대선시 안철수 대표의 지지모임 '국민과 함께하는 전문가 광장' 상임대표를 역임한 적 있음.)
자이글 -웰빙 생활가전 전문업체.

-적외선 가열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 전기 가열 조리기 등 친환경 웰빙 관련 제품을 제조, 개발 및 수출.

-주요 제품으로 자이글 핸썸, 자이글 플러스, 자이글 웰빙, 자이글 심플 등이 있음.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기획단 대변인 이도형을 사외이사로 선임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산소발생기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신규 특허 취득.
링네트 -사물인터넷/ 재택근무, 스마트워크/ NI(네트워크통합)

-컴퓨터 네트워크의 설계, 통신 장비 공급, 설치 및 유지보수를 포함하는 NI 사업과 화상회의시스템, Storage시스템(저장장치), 인터넷 전화, 클라우드 가상화 등의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안철수 (이주석 대표이사가 안철수 의원과 서울대 동문이라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다믈멀티미디어 -시스템반도체

-소비자용 멀티미디어 반도체를 개발, 판매하는 기능형 시스템반도체 설계전문회사.

-MCU칩 개발사. 주요 매출품목은 라디오수신칩 62%, 음원재생칩 38%.

-안철수 (정연홍 사장이 안철수융합연구소 재직시절 부교수로 활동했던 점이 시장에서 부각. / 다만 회사측은 안철수 국민의당 전대표와 사업적 관련성이 없다고 해명.)
한일네트웍스 -보안주(정보)/ NI(네트워크 통합)/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홍정욱/ 사외이사 하버드 동문

-암호화폐의 원천기술인 블록체인 관련 보안 이슈에 부각.

-안철수(안랩이 동사의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주요 고객사인 점이 시장에서 부각.)
콤텍시스템 -네트워크솔루션 통합 전문기업

-아스콘/ NI(네트워크통합)/ 제4이동통신

-과거 실감형 원격강의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비대면 비즈니스 디지털 혁신 기술개발)

-안철수 (안랩 임성완 이사가 콤텍시스템 출신이란 점이 시장에서 부각.)
오픈베이스 -보안주(정보)/ 지능형로봇, 인공지능(AI)/ NI(네트워크통합)/  4차산업 수혜주/ 탄소나노튜브/ 사물인터넷/ 스마트팩토리

-IT서비스 전문업체.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킹 솔루션 사업, 보안솔루션 사업, 대용량 저장장치 및 제반사업인 스토리지솔루션사업, 서버솔루션사업, ITO 서비스사업 등을 영위.

-인공지능 데이터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 및 예측 플랫폼 개발.

-자회사 (주)데이타솔루션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솔루션 사업을 영위.

-(주)나노베이스 (국내 최초 나노튜브 순도 충정기기 개발)를 관계기업으로 보유중.

-안철수 (정진섭 최대주주 및 사내이사가 안철수 의원과 서울대 동문인점이 시장에서 부각. 안랩의 V3검색 엔진에 XTEN 솔루션 공급. 다만, 조회공시 요구 답변을 통해 안랩과 사업적인 거래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안철수 의원과는 아무 관련성이 없다고 밝힘.)
프리엠스 -건설기계/ 화폐, 금융자동화기기

-건설용 중장비 전장품과 차량 자동제어기기 제조 및 판매업체.

-금융단말기를 OEM 생산방식으로 제조.

-이재명 (주도식 회장 이재명 지사와 중앙대 동문)

-안철수 (홍순영 사외이사가 안철수 기부재단 상임이사로 알려지면서 시장에서 부각. /다만 홈페이지를 통해 홍순영 사외이사는 과거 안철수 기부 재단해 재직한 이력이 없으며, 현재도 안철수기부재단과 무관하다고 밝힘.) 
대창솔루션 -조선기자재/ LNG테마

-원자력발전소 해체/ 북한 광물자원개발

-안철수 (박정호 대표이사가 부산고 (안철수 의원 모교) 총동문회장을 역임했다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에스넷 -보안주(정보)/ 4차산업 수혜주/ 사물인터넷/ 스마트홈/ RFID/ NI(네트워크 통합)

-네트워크통합을 근간으로 하는 소프트네트워크 솔루션 전문업체.

-네트워크 통합시스템 구축 및 자문, 유지보수 사업을 영위.

-안철수 (박효대 대표이사가 안철수 의원과 같은 지역, 대학교, MBA 동문이란 점이 시장에서 부각.)
한창제지 -제지

-산업포장재인 백판지와 고급특수판지를 생산하여 내수 및 수출 판매하는 업체.

-매출 대부분이 백판지에서 발생.

-주요 원재료인 펄프와 폐지 등의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펄프의 경우 국내 자원의 공급기반이 취약해 대부분 수입에 의존.

-황교안

-안철수 (최대주주 김승한씨가 안철수 전 의원과 부산고 동문인 점이 시장에서 부각.)
케이씨피드 -사료

-양계용, 양돈용, 축우용 등의 가축 가금용 배합사료 제조업체.

-주요 상표 톱플러스(양계용), 한돈애(양돈용), 하누애(축우용) 등이 있음.

-안철수 (케이씨피드 창업주 사위인 황창규 KT회장이 안철수 의원과 고교 및 대학 동문인 점이 시장에서 부각.)
휴맥스 -휴맥스그룹 계열사로 게이트웨이 사업과 자동차 전장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게이트웨이부문의 주요 제품으로 셋톱박스, 비디오게이트웨이, 브로드밴드 게이트웨이 등이 있으며,

-전장부문의 주요 제품으로 카 인포테인먼트, 카셰어링 솔루션 등이 있음.

-종속회사 위너콤을 통해 차량용 안테나 사업 영위.

-대우건설과 휴맥스 EV를 통한 전기차 충전기사업 협업

-안철수(변대규 회장과 안철수 의원간의 인맥으로 시장에서 부각.)
휴맥스홀딩스 -지주사

-자회사 휴맥스, 대우건설과 휴맥스 EV를 통한 전기차 충전기 사업 협업.

-자회사 휴맥스, 차지인/ 현대오일뱅크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 협약 체결.

-안철수 (변대규 회장과 안철수 의원 간의 인맥으로 시장에서 부각.)
마크로젠 -줄기세포/ 원격진료/ 유전자 치료제, 분석/ 고령화 사회/ 코로나19

-서울의대 유전자이식연구소를 모태로 설립된 생명공학기업.

-다양한 생물 종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결과를 발송해주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그 외 올리고 합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공급 서비스, 임상진단서비스, 개인유전체분석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

-신규사업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기술개발 및 판매, 특허기술을 활용한 유전자가위서비스 제공, 임상진단시약 생산판매 등을 진행중.

-모더나 (마크로젠 자회사 소마젠이 미국 모더나와 RNA 서비스 공급계약 체결)

-안철수(서정선 회장과 안철수 의원간의 과거 서울대 의대 시절 인맥으로 시장에서 부각.)
브리지텍 -음성인식/ 핀테크/ 인터넷 은행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

-콜센터 솔루션 및 IP 기반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클라우드 환경의 소프트웨어 임대사업 등을 영위.

-주력사업은 콜센터 솔루션으로 금융권, 통신사,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기업체 등에 공급.

-안철수 (이상호 대표이사와 안철수 의원간의 인맥으로 시장에서 부각. 안철수 정치포럼 상임간사 위촉)

 

 

 

반응형

 

-희토류는 21세기 최고의 전략자원으로 불린다.

 

(네이버 백과사전. 희토류 산화물 사진)

 

-실제로 2010년 일본과의 영유권 분쟁에서 일본이 중국 선원을 구금시키자 중국이 일본에 대해 희토류 수출금지 카드로 경제적 압박을 가했고 일본이 체포했던 중국 선원을 곧장 석방한 사례도 있다.

 

-또한 미 중 무역전쟁에서도 희토류가 미국을 압박하는 자원무기로 쓰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 희토류의 수입 루트가 막힐 경우 IT업계와 첨단 전자제품업계, 군수업계 전기자동차 업계, 합금이나 촉매제 업계, 레이저 소자 업계가 직격탄을 맞는다. 제품 생산 자체가 안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과 호주 등은 다시 폐광된 광산을 재가동하거나 새로운 생산지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희토류 수입을 대체할 예정이고

 

-희토류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도 국내외 희토류 광산을 직접 개발하는 등의 안정정인 희토류 수급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국내 희귀금속(희토류)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희귀금속 (희토류 등) 관련주

 

 

유니온 -희토류/ 미중 무역갈등/ 시멘트, 레미콘

-백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등 내화재, 터널시공자재 등 특수시멘트를 판매하는 시멘트 전문업체.

-여과기, 탈수기의 환경기계등 사업도 영위중.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유니온머티리얼 등을 보유.

-유니온머티리얼 페라이트 마그네트 소재 생산 (자동차 전장용 모터나 컴프레서의 소재로 사용되지만 향후 희토류를 대체할 소재로 주목 받고 있음.)

-코스피 상장사인 OCI 지분 보유.
유니온머티리얼 -희토류/ 공작기계/ 미중무역갈등

-페라이트 마그네트 (자동차용 및 가전용 모터의 소재(자석) 등) 및 세라믹 (절삭공구, 마그네트론스템, 수도밸브용 디스크, 기타 산업용 세라믹 제품 등) 제조/ 판매 업체.

-파라이트 마그네트 소재 생산 (자동차 전장용 모터나 컴프레서의 소재로 사용되지만 향후 희토류 대체할 소재로 주목 받고 있음.)

-종속회사인 유니온툴텍(주)와 유니온툴텍공구(유한공사)를 통해 호환성 공구 사업도 영위.
티플랙스 -희토류/ 비철금속/ 남북경협주

-스테인리스 봉강 절삭가공 및 후판 전문업체.

-원재료인 스테인리스 봉강을 조달 받아 기계, 선박, 플랜트, 반도체 등 전방산업에 필요한 부품소재를 공급.

-또한, 스테인리스 후판사업 및 특수금속 소재인 티타늄, 니켈합금, 사업에도 진출하여 석유화학, LNG, 담수화설비 등에 산업용 소재를 공급.

-현재 티타늄이나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등의 특수 소재를 유통하는 기업으로 대북 광물 경협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에 희토류 관련 재료에 민감하게 반응을 함.
노바텍 -희토류

-영구자석 및 관련 응용제품 개발, 생산업체.

-중국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희토류의 원재료 네오디뮴을 생산해서 삼성전자에 납품.

-최근에는 베트남에 생산 거점을 마련해서 현지 조달을 진행.

-희토류를 사용해서 만든 네오디뮴 자석 (Nd-Fe-B)을 이용한 시장에도 진출.
쎄노텍 -대북주/ 2차전지/ 희토류

-분쇄/ 분산용 세라믹 비드 사업부 및 분체 사업부로 구성되어 제품을 생산 판매중.

-세라믹 비드는 국내 유일의 생산업체로서 페인트/ 잉크, 제지, 광물생산 업체에 공급중.

-2차전지용 초소형비드의 국산화 성공하는 등 2차전지 재료들을 혼합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세라믹 비드제품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

-국내 유일 희토류 분쇄기 세라믹비드를 생산중.
POSCO -철강/ 환율하락/ 액화천연가스/ 2차전지/ 희토류

-국내 철강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와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종합제철업체.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단일 사업장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인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중.

-주요 계열사 (주)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강판(주), (주)포스코ICT, (주)포스코케미칼, (주)포스코엠텍, (주)포스코건설 등을 보유.

-자회사 포스코엠텍이 희토류 사업 영위.
포스코엠텍 -북한광물자원개발/ 비철금속

-포스코 계열의 철강포장 및 철강부원료 사업 영위하는 업체.

-2012년부터는 철강제품 포장 및 탈산제 공급 뿐만 아니라 포스코 동판재공장, 페로실리콘공장, 페로망간공장 등 3개 공장을 위탁운영중.

-희귀금속을 추출하는 업체인 나인디지트 및 리코금속을 흡수합병.
혜인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태양광에너지/ 환율하락수혜/ 4대강 복원/ 건설기계

-건설기계 및 육상용 발전기, 선박 및 산업용 엔진/ 발전기 수입판매 전문업체.

-해군 차기고속정 사업 및 훈련지원정 관련사업 영위.

-태양광발전사업을 영위하는 (주)혜인산업을 흡수 합병.

-비금속광물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주)혜인자원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음.

-자회사인 혜인자원이 현재 몰리브덴 광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희토류 개발을 하고 있음.
에스맥 -터치패널/ 아이폰/ 스마트폰/ 희귀금속/ 코로나19

-비보존

-2004년 삼성전기에서 분사한 휴대폰용 터치스크린 모듈 제저업체. 주요 고객사 삼성전자, 동우화인켐 등.

-일본 닛샤프린팅과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아이폰 시리즈에 터치스크린패널(TSP) 공급.

-혈장치료제관련주 (자회사 다이노나가 혈장치료와 관련된 항체 추출 기술 보유.)

-희토류 (국내 유일 희토류 공정 기술 보유기업 '지아이엘'의 지분 51%를 52억원에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됨.)

-작년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에이프로젠 그룹 주식 보유.

-관계사 다이노나 고형암 항체치료제 'DNP002', 임상 1상 식약처 승인.
EG -수소차/ 희귀금속 (희토류 등)

-페라이트 자성소재 제조, 판매업체.

-전기 전자기기의 주요 부품인 페라이트 코어의 주원료가 되는 자성재료용 산화철과 페라이트용 복합재료를 공급중.

-플랜트 엔지니어링 사업과 무역사업 (철스크랩 및 소비재 관련)도 영위.

-(주)EG메탈을 (바나듐, 몰리브덴 제조, 판매업체)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전고체 전지핵심소재 개발진행.

-현재 희토류를 대체할만한 희귀금속을 개발, 생산중.
에코마이스터 -남북경협주/ 철도주/ 폐기물처리/ 희토류

-금속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사업장 폐기물인 철강 및 비철금속 슬래그를 재활용하는 환경사업과 철도차량 차륜가공기계, 철도차량 계측 및 검수 장비를 공급하는 철도사업 영위.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국책과제로 '희유금속 재자원화 공정의 슬래그 처리기술'을 개발한 적 있음.
LG상사 -종합상사/ 자원개발/ 희토류

-LG그룹 계열의 종합무역상사, 에너지/팜 부문(석탄, 팜 등), 산업재/ 솔루션 부문(화학, 프로젝트, 전기/전자 부품 등), 물류 부문(복합운송주선, 창고보관업 등) 등을 영위.

-인도네시아의 석탄 광산, 팜농장 및 베트남, 카자흐스탄의 석유 가스 광구 등의 사업을 영위.

-북한에 있는 희토류 등 자원을 개발 하려는 움직임 보임.
대원화성 -희토류

-합성피혁(PU), 벽지(D&D, 4U, 비원 등) 및 DMF정제 사업을 영위.

-합성피혁부문 매출 비중이 높으며 특히, 높은 해외수출 비중 보유. 신발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세계적인 스포츠용품 메이커들에게 공급 중.

-캐나다 몰리브덴광개발(Lucky ship)프로젝트 투자사업도 진행 중. (희토류)
삼화전자 -희귀금속(희토류 등) /전기차/ 수소차

-삼화콘덴서그룹 계열사로 TV, 모니터, 통신기기 등 각종 전자기기 핵심 부품인 페라이트 코어(희귀금속) 전문 생산업체.

-수소, 전기차/ 버스/ 열차 등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전송용 트랜스, 고효율 전원장치 등을 생산.

 

 

반응형

 

-증시 일정 중에 화장품 관련 섹터가 상승 할 수 있는 이슈가 2가지가 남아있다.

 

-첫번째는 11.11 중국 광군제이다.

 

-광군제는 중국에서 11월 11일을 가리키는 말로 독신절(솔로데이)라고도 한다. 2009년 광군제를 맞아 중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그룹이 자회사인 타오바오몰을 통해 독신자를 위한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시작하면서 광군제는 중국 최대 쇼핑일로 탈바꿈했다.

 

-이 후 대부분의 온라인 쇼핑몰이 행사에 동참하면서 미국 최대쇼핑시즌인 '블랙 프라이데이'나 '사이버 먼데이' 만큼의 최고의 소비시즌으로 자리잡았다.

 

-이 기간에 화장품 소비 증가 확률이 기대되는 만큼 각 업체들도 광군제를 겨냥해 기획 제품을 늘리는가 하면 마케팅 강화등의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두번째 이슈는 중국 왕이의 방한이다.

 

-다음달 일본 방문을 추진 중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한국도 방한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졌다.

 

-아직 왕이 외교부장의 방한이 확정은 아니지만 정부는 "시 주석의 올해 방한 성사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두고 있다"고 전했고 왕 부장의 방한이 확정되면 시 주석 방한 관련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화장품이 중국소비 관련주에 속하는 만큼 한중 외교관계에 따라 매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한한령이 해제되면 수혜를 받게 될 섹터중에 하나이다.

 

 

-아직 상승 이슈가 남은 만큼 화장품 관련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화장품 관련주

 

LG생활건강 -음식료 업종/ 여름/ 화장품

-LG그룹 계열의 화장품, 생활용품(치약, 비누, 샴푸, 세제 등)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후, 숨, 오휘, 빌리프, 이자녹스, 수한방, CNP코스메틱스, 더페이스샵 등의 화장품 브랜드와

-엘라스틴, 온더바디, 페리오, 테크, 자연퐁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 보유.

-코카콜라음료 해태에이치티비, 더페이스샵, 태극제약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코카콜라, 스프라이트, 환타, 파워에이드, 미닛메이드, 조지아, 평창수, 토레타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코카콜라음료, 해태에이치티비 등의 지분 보유.

-20년 7월 (주)데페이스샵, (주)씨앤피코스메틱스, 캐이엔아이(주)를 흡수합병 결정.

-최대주주 : (주)LG/ 주요주주 국민연금공단
한국화장품제조 -화장품

-한국화장품 제조를 담당하고 있는 화장품제조 전문업체.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 등 1,600여 종류를 생산.

-기존 한국화장품 제품 생산뿐만 아니라 외부 화장품 업체의 제품을 생산하는 OEM 및 ODM 사업도 진행중.
한국화장품 -화장품

-한국화장품제조 ((구)한국화장품)에서 화장품 판매 및 부동산 임대사업 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회사.

-주요 상표로 산심, 잼미라클 등이 있으며, 주요 유통경로는 시판, H&B사업(방문판매), 백화점, 홈쇼핑사업부 등임.

-브랜드샵 관련 화장품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주)더샘인터내셔날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
클리오 -화장품

-색조화장품 전문업체. '틴티드 타투킬브로우' 등 히트상품이 속한 '클리오'를 메인 브랜드로 보유.

-메이크업 브랜드 '페리페라' 및 스킨 케어 브랜드 '구달', 헤어&바디 전문 브랜드인 '힐링버드', 더마 코스메틱 전문 브랜드 더마토리의 5가지 브랜드를 보유.

-모든 제품 생산을 코스맥스(주), (주)한국화장품제조, (주)코코, (주)씨앤씨인터내셔널 및 기타 국내외 OEM/ ODM 업체로부터 매입.
MP한강 -화장품

-세계각국으로부터 수입된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의 국내 독점 공급과 전문 유통을 맡고 있음.

-Kiss My Face와 키스미, 캔메이크 등 해외 브랜드의 독점 에이전트임.
잇츠한불 -화장품

-달팽이크림으로 알려진 화장품업체.

-외주생산방식으로 화장품을 생산해 판매하고 있었지만, 한불화장품과의 흡수합병을 통해 생산부터 R&D, 마케팅, 유통까지 아우르는 종합 화장품 기업으로 발전.

-주식회사 네오팜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체) 종속회사로 보유.
컬러레이 -중국기업/ 화장품

-화장품용 진주광택안료 제조업체 저장컬러레이과기발전유한공사(자회사) 를 종속회사로 보유한 홍콩지주회사.

-저장컬러레이과기발전유한공사 지분 100%를 보유.

-화장품용 안료의 연구개발 및 판매업 영위하는 컬러레이코리아 자회사 편입.
토니모리 -화장품/ 면세점

-국내외 화장품 전문 판매업체. 주요 제품으로 스킨케어, 메이크업, 기타 제품 등이 있음.

-주로 국내 3대 화장품 외주 생산업체인 코스맥스(주), (주)코스메카코리아 등에서 생산.

-하나투어, 제이에스티나 등과 함께 (주)에스엠면세점 컨소시엄에 참여해 지분 보유중.

-면세사업 확장을 위해 16년 6월 세한텍스프리(제주세한면세점)주식 취득.
네이처셀 -화장품/ 치매/ 줄기세포/ 음식료업종/ 코로나19

-음료/ 식품 사업과 줄기세포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발효 및 건강기능식품사업, 음료사업 등 식품사업과 줄기세포치료제 판매사업, 줄기세포해외임상, 줄기세포 배양배지사업,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사업 등 줄기세포사업을 영위.

-코로나19 살균소독제 출시.

-네이처셀 부모·자녀·형제 등의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동종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아스트로스템-V'의 1/2a상 임상시험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폐렴 환자 대상) -현재 임상시험계획 보류됨.
강스템바이오텍 -코로나19/ 제대혈/ 화장품/ 줄기세포

-줄기세포 치료제의 개발, 제조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동종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치료제연구, 개발업체.

-주요 제품으로 퓨어스템-에이디®(아토피피부염), 퓨어스템-알에이®(류마티스 관절염), 퓨어스템-시디®(크론병) 등을 보유.

-주요 판매처는 대웅제약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화장품 업체 코스온과 줄기세포 배양액이 첨가된 화장품 브랜드  'GD11' 판매중.

-강경선 서울대교수 (인공간 재건 영구성과 국제 학술지 게재)
코리아나 -화장품

-라비다, 자인, 녹두, 세니떼, 비취가인, 앰플엔, 프리엔제, 엔시아, 텐세컨즈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체.

-기초화장품 및 색조화장품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피부관리샵(세레니끄)도 운영중.
세화피앤씨 -화장품

-다양한 형태와 색채의 염모제와 두발용 화장품을 자체 개발, 생산.

-TV홈쇼핑을 통해 소개된 '리체나 샴푸형 염모제' 브랜드 보유.

-주요 제품으로는 이지스피디, 하이스피디, 하이스피디프로 등의 염모제와 라헨느 볼륨커버스틱, 모레모 워터트리트먼트미라클 10 등의 헤어케어 제품.
코스맥스 -화장품

-화장품제조자개발생산(ODM)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화장품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코스맥스차이나, 코스맥스인도네시아, 코스맥스아이큐어, 코스맥스닷랩 등을 자회사로 보유.
한국콜마홀딩스 -백신, 진단시약, 방역/ 화장품

-부동산임대사업과 자회사를 관리하는 지주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한국콜마, 콜마비앤에이치, 콜마파마 등의 자회사를 보유.

-미국 백신 전문회사인 Altimmune, Inc.社 지분 보유.

-주요 종속회사 및 자회사는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연구개발 및 제조를 주사업으로 하고 있음.

-2020년 5월 27일 종속회사인 콜마파마 지분을 매각하기로 결정했음. 또한 계열사인 한국콜마의 제약사업 부문도 함께 매각될 예정임.
한국콜마 -화장품

-화장품, 기능성화장품 등의 개발, 제조(ODM, OEM)업체. 화장품 부문 매출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

-국내에는 세종(화장품 기초 및 색조/ 제약 공장), 부천(화장품 색조 공장), 서울(종합 기술원), 에이치케이이노엔 등 8개 사업장을, 해외에는 중국, 미국, 캐나다 등 5개 법인을 운영중.
콜마비앤에이치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OEM/ ODM 업체로 한국콜마의 계열사임.

-주요 건기식 제품에는 헤모힘, 유산균 등이 있음. / 주요고객사 애터미, 종근당건강 등.

-애터미향 매출 비중이 전체의 70%를 차지.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아모레퍼시픽그룹 계열의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체.

-화장품사업(설화수, 헤라, 아이오페, 한율, 라네즈, 마몽드, 오딧세이 등), DB(Daily Beauty) & Sulloc사업부문(미쟝센, 해피바스, 덴트롤, 려, 송염, 메디안, 설록차 등)을 영위중.

-특히, 해외시장의 경우 채널 확장 및 호주, 인도 등 신규 국가에 진입하는 등 진출 지역을 다변화하고 5대 글로벌 챔피언 브랜드(설화수, 라네즈, 마몽드,이니스프리, 에뛰드하우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성장 확대를 지속중.
제이준코스메틱 -화장품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체.

-주요제품은 블랙 물광 마스크팩, 베이비 퓨어 마스크팩, 로즈블로썸 마스크팩, 골드 스노우 블랙마스크, 멀티 비타 톤업 마스크팩 등.

-16년 8월 화장품(마스크팩) 직접 제조를 통한 화장품 사업 추진을 위해 마스크팩 제조업체 (주)에스피엘 인수.

-종속회사로 (주)제이앤오, (주)제이준에이치앤비, (주)에프앤엔터테인먼트 등을 보유.
에이블씨엔씨 -화장품

-화장품과 생활용품 제조 판매업, 화장품 유통 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화장품 브랜드 미샤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샤 On-Line/ 직영/ 가맹 사업도 영위.

-미국, 일본, 중국 등에 현지법인을 두고 현지화 전략을 추진.

-종속회사로 미팩토리, 북경애박신화장품상무유한공사 등을 보유.
동성제약 -제약업체/ 화장품/ 코로나19

-염모제(세븐에이트 등), 소화제(정로환) 등 의약품 및 에이씨케어, 아토24 등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제약업체.

-염모제를 비롯한 두피관련 제품 등에 높은 기술력과 시장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매출 대부분을 차지.

-2014년 식약처로부터 2세대 광과민제 '포토론'이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받고 연구임상을 진행중.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성분의 아나덱사주 판매)
현대바이오랜드 -화장품/ 치아치료/ 고령화 사회

-SK그룹 계열의 화장품원료산업(마치편추출물, ARBUTIN, 히아루론산 등), 건강식품원료(홍삼농축액분말, 마린키토올리고당, 글로코사민분말), 의약품원료(애엽, 연조엑스 등), 의료기기 사업(상처드레싱, 콜라겐 마스크팩 등) 영위 업체.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형성을 돕기 위한 필수적인 제품인 치과용 콜라겐 멤드레인 사업도 영위.

-SK 바이오팜 뇌전증 신약 미FDA 판매 승인 속 상한가.
연우 -화장품

-화장품 포장용기 전문 제조업체.

-주요 제품은 펄프형 용기, 튜브형 용기, 견본용 용기로 구분됨.

-국내 최초로 화장품 디스펜스 펌프를 개발하는 등 펌프형 및 튜브형 용기 부문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 보유.

-주요 고객사로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을 보유.
승일 -화장품

-썬그룹 계열사로 에어졸 및 일반관 제조기업.

-식용유관, 참기름관, 장류관, 페인트관, 윤활유관 등 다양한 용도의 공캔을 생산하는 일반관 사업도 영위.

-모기살충제 에어로졸 및 부탄가스 수혜주

-화장품용 에어졸 생산.

애니젠 -화장품

-펩타이드 바이오소재 (산업용/ 의약용) 및 아미노산, 펩타이드 기반 항암, 항당뇨 및 진통 등의 글로벌 혁신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소재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 의약용 펩타이드 소재(루프로렐린, 임상용 펩타이드 등), 연구 개발용 펩타이드 소재(주문자 펩타이드, 카탈로그 펩타이드 등), 화장품용 펩타이드 소재(아지렐린, 매트릭실, 쿠퍼펩타이드 등) 등이 있음.

YG PLUS -광고/ 화장품

-(주)와이지엔터테인먼트 계열사로 광고대행업과 MD제조 및 유통판매업을 영위하는 업체.

-광고대행업은 광고주의 의뢰를 받아 광고표현물을 제작.

-MD제조 및 유통판매업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소속 아티스트 및 당사 캐릭터인 크렁크(KRUNK)의 MD(응원봉, 피규어, 의류 등)를 기획,제작,유통.

-NAVER와 음악 사업 공동 추진.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체 코드코스메인터내셔널(주)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대봉엘에스 -화장품

-아미노산 관련 원료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 생산/ 판매업체.

-아미노산 제조관련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원료의약품, 화장품원료, 식품 첨가물 등을 제조하여 국내 및 일본, 미국, 동남아시아 시장 등에 공급 중.

-특히 원료의약품(API) 사업에서는 고혈압 치료제, 호흡기 치료제 약물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잇음.
제닉 -화장품

-화장품(수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기초화장품, 생활용품)을 개발 및 제조/ 판매하는 업체.

-'하유미팩'으로 알려져 있는 수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대한 특허 보유.

-국내 홈쇼핑 및 국내/ 해외 화장품 브랜드 샵 ODM/OEM으로 판매중.

-최대주주 솔브레인.
국제약품 -제약업체/ 마스크/ 황사, 미세먼지/ 화장품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체.

-주요제품으로는 항생제, 큐알론점안액(각결막상피장해 치료 및 건성안 치료), 타겐에프연질캅셀(당뇨병에 의한 망막변성 및 눈의 혈관장애 개선 등) 등이 있으며, 의약외품으로 황사방역용 마스크도 판매중.

-덱사메타손 : 델타후로렌정을 보유, 생산. (성분명 덱사메타손 0.75mg)

-국제피앤비(주) 지분 보유. (오리지널 로우, 이오에브리원 등의 화장품 및 원료의약품 등의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영위.)
코스메카코리아 -화장품

-화장품 연구개발 및 개발생산 전문업체.

-화장품 OEM/ODM 전문기업으로 기초 화장품과 색조화장품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

-세계 최초로 3중 기능성비비크림, 톤업크림, DPF 기술 등을 개발.

-잉글우드랩(주)을 종속회사로 보유.
잉글우드랩 -화장품

-미국내에서 기초화장품의 ODM(생산자 개발방식) 제조 및 OEM(주문자 상표부착방식) 제조 등 화장품 제조업을 영위하는 잉글우드랩 유한회사를 17년 10월 흡수합병함에 따라 실질적인 사업을 영위.

-신규사업으로 색조화장품 사업도 진행중.
애경산업 -마스크/ 화장품

-애경그룹 계열의 생활용품 및 화장품 제조업체.

-생활용품 주요 브랜드로 스파크, 케라시스, 더마앤모어, 2080치약, 트리오 등이 있으며, 화장품 주요 브랜드로는 에이지루웨니스, 루나, 포인트 등을 보유.

-3단 황사 방역 마스크 출시.
글로본 -화장품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로, 자체 화장품 브랜드 RUE KWAVE를 런칭.

-국내 뿐만 아니라 중국, 미주지역, 동남아시아 등에 진출했으며, 두바이를 비롯한 중동시장에 진출 추진중.
케어젠 -화장품

-화장품 및 생물의약품 전문 제조업체.

-세포의 성장, 증식 및 분화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이 단백질의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와 기술을 바탕으로 화장품(코스메슈티컬)제품과 수출용 의료기기(Dermal Filler)제품을 생산/판매.

-안면미용, 탈모/두피관리, 바디/비만관리 등 전문테라피용 제품과 기능성화장품, 탈모/두피관리 등 홈케어용 제품 생산.

-코로나19 펩타이드
씨큐브 -화장품

-산업용(도료, 벽지, 건축자재 등)과 자동차용(자동차도료 등), 화장품용(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등) 등에 사용되는 진주광택안료 전문생산업체.

-화장품 사업부분이 매출액의 50% 가까이 차지.
코웨이 -황사, 미세먼지/ 화장품/ 수자원/ 여름/ 공기청정기/ 제습기

-환경가전 전문업체.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연수기 등의 환경가전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정수기/ 비데/ 공기청정기 등 렌탈 사업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

-매트리스, 의류청정기, 전기레인지 등으로 렌탈 제품 Line-up을 지속적으로 확대중.

-국내 화장품 사업에 진출하여 고기능성 화장품(리엔케이 등) 등을 판매.

-수처리기기 등 산업설비 제조업체인 웅진코웨이엔텍(주)을 종속회사로 보유.
한국주철관 -강관업체/ 철강중소형/ 수자원/ 화장품

-수도, 가스배관용 강관, 밸브류등 공급.

-주요 수요처 : 조달청 및 각급 자자체, 수자원 공사 등.

-화장품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엔프라니(주)를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미원상사 -화장품

-계면활성제, 자외선안정제, 산화방지제, 고무첨가제, 전자재료 등 첨단 화학제품 생산, 판매업체.

-생활용품 및 화장품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와 전자재료,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등이 주요 매출 품목.
프로스테믹스 -줄기세포/ 화장품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 AAPE SERIES 등을 판매.

-신규사업으로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및 항암치료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사업 진행중.

-프로스테믹스가 오티케이씨앤티 흡수합병.
씨티케이코스메틱스 -화장품

-완제 화장품을 외주생산하여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업체에 수출하는 무공장제조업체.

-주요 판매 제품은 색조 및 기초 화장품으로 색조 화장품 매출 비중이 높음. 매출 대부분은 수출에서 발생.
오가닉코스메틱 -중국기업/ 화장품

-중국 소재 중간지주회사 외상독자기업(WOFE) 푸젠통호무역유한공사(통호무역)를 100% 자회사로 보유한 홍콩 지주회사.

-실질 사업을 영위하는 손자회사 해천약업은 중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샴푸, 바디워시, 바디로션 등의 피부케어, 클린징 제품 등과 모기퇴치약, 파우더 등과 같은 여름용 화장품을 생산, 판매하는 유아용 화장품 전문 업체임.

-손세정제 판매/ 의료용 마스크 생산 개시

-홍콩 화장품 기업 지분 인수를 위한 169.78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세원셀론텍 -줄기세포/ 제대혈/ 화장품

-화학 플랜트기기 (석유화학, OIL & GAS, 발전 플랜트 등의 설비), 유공압기기 (자동차설비, 공작기계, 철강 설비 등) 제조, 세포치료제/ 제대혈보관사업, 콜라겐 화장품 제조/ 판매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에프앤리퍼블릭 -화장품

-코스메틱 브랜드를 중심으로 해외 화장품 유통마케팅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 매출은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마스크팩 등의 화장품 상품매출.

-매니지먼트 업체 (주)에프앤엔터테인먼트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리더스코스메틱 -골판지 제조/ 화장품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체. 주요제품으로 마스크 팩, 기초화장품, 혼합액, 포장제 등을 판매.

-주요 상표로 인솔루션, 메디유 등이 있음.

-16년4월 골판지 사업부를 물적분할해 신규 법인 (주)산성피앤씨를 설립한 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코스닥 상장사인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 판매 및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개발업체 프로스테믹스의 최대주주임.

-상승이슈 : 자회사 프로스테믹스, 中 코로나19 치료에 '악템라' 투약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화장품

-2005년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심엔터테인먼트로 설립되었으며, 최근 사명을 화이브라더스코리아에서 플리토로, 다시 산타클로스로 변경함.

-동사는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을 중심으로 영화, 드라마, 드라마OST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뷰티풀마인드코리아(홈쇼핑 유통업), 메리크리스마스(영화 제작 및 배급), 화이인베스트먼트(창업투차), 매드맨포스트(영상 및 특수효과) 등이 있음.

-(주)뷰티풀마인드코리아는 화장품 제조, 수입, 판매 사업 진출을 목적으로 설립.
바이온 -줄기세포/ 화장품

-줄기세포치료제 제품개발 및 건강기능식품의 원료 제조판매, 화장품 제조판매 및 부자재 생산, 자동차부품 제조판매 등을주요 사업으로 영위.

-투자사 미래셀바이오, 첨생법 수혜에 따른 재평가 기대감.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업체인 (주)미래셀바이오와 화장품 기계개발 및 제작업체인 (주)코스메틱스탠다드 지분 보유.
코디 -LED장비/ 반도체 장비/ OLED/ 화장품

-색조화장품 (립, 파우더 등) ODM/OEM 제조/ 판매, 화장품 용기 제조/ 판매, 디스플레이 검사부분 (Probe Unit, Probe Card 등) 제조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에스디생명공학 -마스크/ 황사, 미세먼지/ 화장품/ 중국소비관련주

-화장품 제조, 판매업체. 트러블 케어 제품을 포함한 기초 스킨케어 제품 및 마스크팩을 주요 제품으로 판매.

-탈모관련 특허로 상한가.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관련 특허 취득.

-황사방역용 마스크인 SD더조은 황사방역용 마스크 판매.
아우딘퓨쳐스 -화장품

-화장품 제조업체. 화장품 ODM 및 자사 브랜드(NEOGEN DERMALOGY, NEOGEN Code9, NEOGEN Agecure,Sur.Medic+, re:p 등)를보유.
코스온 -화장품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등 화장품 제조 및 판매 업체.

-주요 생산제품은 국내외 홈쇼핑 및 온라인 판매, 수출을 위주로 판매.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OEM/ODM 사업을 영위중.

-프랑스 "아가타(AGATHA)" 라이센싱으로 ODM사업을 병행.
CSA 코스믹 -화장품/ 수자원

-화장품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19년9월 건설자재 제조 및 전문건설 공사 부문을 분할해 젠트로그룹을 신설.

-2015년 신규사업 확대를 위해 화장품 사업을 사업 목적으로 추가했으며, 각 연령대별로 세분화하여 색조 및 기초 화장품 위주의 16브랜드(16brand)와 뷰티&라이프스타일 제품 위주의 Wonderbath 브랜드, 조성아뷰티의 마인드 철학을 기반으로한 홈쇼핑 전용브랜드 조성아뷰티를 보유중.

 

 

 

 

반응형

 

-11.2일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국내 소부장 기업 4곳에 741억원 투자를 진행했다고 한다.

 

-미코세라믹스 216억원, 뉴파워프라즈마 127억원, 엘오티베큠 189억원, 케이씨텍 207억원 등 4개 반도체 소부장 기업에 741억원을 동시에 투자했다.

 

(삼성 소부장 기업 투자현황 - 금융감독원)

 

-앞서 지난 7월엔 에스앤에스텍과 와이아이케이에 각각 659억원, 473억원을 투자했다.

 

-삼성이 투자한 소부장 기업에 대해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삼성 소부장 관련주

 

 

미코

-반도체 재료, 부품/ 코로나19

-반도체 세라믹 부품 제조

-고체산화 연료전지(SOFC) 관련 기술 보유. 연료전지 스택을 개발해 정부의 녹색인증 획득.

-반도체/ 태양광/ 디스플레이 산업부문의 정밀세정 및 특수코팅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사 코미코를 종속회사로 보유.

-코로나19 검사 진단키트 및 유전자 추출키트 제작업체 미코바이오메드의 최대주주.

-20년 10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주)미코파워 설립 결정.

-자회사 미코바이오메드가 코로나19 진단키트 및 진단장비 중국 수출 추진중./ 세네갈에 진단키트 수출.

뉴파워프라즈마

-OLED/ 반도체 재료, 부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LCD, OLED, Solar 등) 박막공정 및 식각공정 장비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 공급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공급하는 장비회사 (원익IPS, 주성엔지니어링, ASM등)에 제품을 공급.

-매출구성은 Cleaning System 58.76%, RF System 29.75%, 기타매출 11.49%로 이루어져 있음.

엘오티베큠

-반도체장비/ OLED/ LCD장비/ 태양광에너지/ 인공태양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셀 제조, 2차전지, 철강 및 일반산업 등에 사용되는 Fore Vacuum 용 건식진공펌프 생산, 판매 업체.

-인공태양개발 사업에 참여한 솔리스 회사 지분 18% 보유.

케이씨텍

-3D낸드/ 반도체 재료, 부품

-케이씨 (구 케이씨텍)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및 소재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전공정 장비 및 소모성 재료 제조/ 판매.

-반도체 CMP/세정 장비, 디스플레이 Wet-station/Coater 장비, 반도체 Slurry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의 Line-up을 보유.

에스앤에스텍

-시스템반도체/ LCD부품, 소재/ 일 수출 규제 관련주/ 반도체 재료, 부품

-블랭크마스크가 주력인 회사. 해당 제품은 반도체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포토 마스크 원재료.
(블랭크마스크는 반도체 및 LCD, OLED 노광 공정의 핵심재료인 포토 마스크의 원재료)

-주요고객사로는 삼성전자, SMIC 등이 있음.

-EUV용 페리클 개발도 진행. (포토마스크의 오염 방지 및 수명 연장)

와이아이케이

-반도체 메모리 검사 장비를 제작 판매/삼성전자 납품

-반도체 제조공정 중 EDS 테스트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검사 장비를 제작 및 판매.

-주요 제품으로는메모리 웨이퍼 테스터로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MT6133임.

-NAND향 메모리 웨이퍼 테스터의 수요 증가로 삼성전자(MT6122), SK하이닉스 향 판매가 증가할 전망. 반도체 제조장비 부속품도 판매.

-삼성전자의 일본 의존도 낮춤.

-자회사로 프로브카드 세라믹기판 업체 샘씨엔에스 두고 있음.(삼성전자가 활용하는 세라믹기판의 56%를 담당)

 

 

 

2020/10/26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삼성관련주

 

[국내주식] 삼성관련주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25일 오전에 별세하였다. -고 이회장 지분 상속에 따른 지분 변화가 예상되고, 삼성그룹주 지배구조 개편이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삼

hjs9310.tistory.com

2020/09/17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삼성전자 관련주 (삼성전자 협력사)

 

[국내주식] 삼성전자 관련주 (삼성전자 협력사)

삼성전자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업체. -주력 사업인 플래시메모리와 D램이 세계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갤럭시 시리즈 호조로 스마트폰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hjs9310.tistory.com

 

 

반응형

 

-키오스크는 '신문, 음료 등을 파는 매점'을 뜻하는 영어단어로, 정보통신에서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 자동화를 통해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를 말한다.

 

 

-키오스크 관련주들은 세계 주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개발 본격화 소식,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키오스크 관심 등의 이슈로 상승한다.

 

-키오스크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키오스크 관련주

 

 

케이씨에스 -키오스크/ SI(시스템통합)/ 철도

-프로그래밍 및 시스템통합(SI) 전문업체.

-주요사업으로 NSK System,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 도로/ 교통 인프라 사업, KIOSK단말사업 등을 영위.

-KIOSK 단말사업 (티켓발매기, 무인민원발급기, 주유기셀프 Unit 등)

-신규사업으로 디바이스 암호화 사업과 일부 신규 솔루션 사업 등을 추진중.
한네트 -화폐 금융자동화기기/ 키오스크

-한국컴퓨터지주 계열의 점외 현금자동지급기 사업 영위 업체.

-키오스크 판매 및 용역제공 (지하철역, 대형 유통점, 편의점, 휴게소 등 CD사업)

-상승이슈 : 한국은행 내년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시험 유통/ 중국 디지털 위안화 공개 실험 진행.
한국전자금융 -화폐, 금융자동화기기/ 키오스크

-한국 신용정보(NICE) 그룹 계열의 금융자동화기기 관리 서비스 전문업체.

-금융권 등을 대상으로 화상감시시스템사업, KIOSK사업, 무인주차장 사업과 가맹점 네트워크 사업도 진행중.
윈스 -보안주(정보)/ 키오스크

-정보보안솔루션 개발, 공급 및 네트워크 보안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

-5G보안 및 소프트웨어/ 보안장비

-종속회사인 시스메이트가 무인키오스크 사업 영위. (지분 53.33%)
싸아이테크 -키오스크/ DMZ 평화공원

-IT사업 및 유통, 부동산사업 영위업체.

-관공서/ 학교 또는 서비스기업의 자동증명발급기, 티켓발권기, 디지탈 광고 KIOSK, 디지탈 안내 KIOSK, 하이파이 오디오, 통신미디어 제품 등을 제조 판매하는 IT 사업부문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

-도서관리자동화시스템 개발업체 (주)나이콤, 교육용 웹/ 액 및 모바일 플랫폼 개발업체 (주)로드와이즈 등 종속회사로 보유.
케이씨티 -키오스크 / 화폐, 금융자동화기기

-금융단말 시스템 및 특수단말 시스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자동화기기(Smart ATM, mini CD기, 지능형순번대기시스템, 무인지로공과금수납기, OutDoor Kiosk, Information Kiosk 등), 금융단말기(영업점 창구용 통합 단말, 금융통합단말 솔루션xOP*era, 통장프린터, 카드발급기, 핀패드, 신분증스캐너 등)를 공급.

-공공분야에서는 마권발매기, 무인마권발매기, 무인환급기, 토토발매기, 로또발매기, VIP용 재석
발매기, 신용카드 무인관세 수납기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시장에는 J-TOTO복표발매기, LiveScanner, DSD, Mult Functon Kiosk, All-in-one PC 등을 공급.

-최대주주는 한국컴퓨터지주
SGA솔루션즈 -보안주(정보)/ 키오스크/ SI(시스템통합)/  사물인터넷/ 4차산업 수혜주/ 블록체인/ 핀테크/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서버보안, 응용보안, 앤드포인트보안 및 물리보안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는 통합보안솔루션기업.

-통합보안솔루션기업 SGA솔루션즈 고밀도 2차원 바코드 솔루션기업 '보이스아이'를 인수.

-종속회사인 SGA 임베디드가 POS, ATM 무선단말기, 키오스크 등에 SGA보안기술이 내재된 보안솔루션 개발중.
푸른기술 -철도/ 키오스크/ 4차산업 수혜주/ 화폐, 금융자동화기기/ 남북경협주

-무인자동화기기관련 제품 생산 업체.

-금융자동화(현금 입출금기 및 현금 방출기 관련 모듈 및 시스템 등), 역무자동화(승차권 발매기, 교통카드충전기 및 자동게이트시스템 등), 특수단말기시스템 (마권발매기, 스포츠토토 발매기, 대형마트 푸드코트 식권발매KIOSK, 공항/ 항만 등의 세금환급 KIOSK 등) 등의 사업 영위.

-코레일, 고속철도, 지하철 등 국내 주요노선에 역무자동화 제품 공급.

-모듈 부분에서 ATM용 통장인쇄모듈을 주요 자동화 기기업체에 공급중.

-시스템부분에서 한국전자금융에 현금자동화지급기 등을 납품.
비티원 -가상화폐/ 키오스크/ 패션, 의류

-신발사업 및 바이오에너지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요식업/ 노래방/ PC방 프랜차이즈 30여개점 및 전국 영업대행사 20여개사 등에 키오스크 렌탈 서비스 제공.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을 운영중인 비티씨홀딩컴퍼니가 비티원의 지분 보유.

 

 

반응형

 

 

-혈장치료는 완치된 환자의 혈액에서 항체가 들어 있는 혈장을 분리해 환자에게 수혈하듯 투입되는 치료법이다.

 

-혈장치료와 혈장치료제의 차이점은 혈장치료가 혈장을 직접 주입하는 반면, 혈장치료제는 완치자의 혈액 속 포함된 항체 및 면역글로불린을 농축, 제제화해서 사용한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코로나19관련 임상시험은 치료제 17건, 백신 2건 등 총 19건이다. 이 중 제약업체가 진행하는 임상은 16건으로, 1상 임상이 6건(항체치료제, DNA백신 등), 2상 임상이 8건(혈장분획치료제 등), 3상 임상이 2건 등이다.

 

-세계 각국이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방역당국은 치료제는 연내, 백신은 내년까지 최소 1개 이상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혈장치료/ 혈장치료제와 관련 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혈장치료제/ 혈장치료 관련주

 

 

녹십자 -남북경협/ 겨울/ 백신, 진단시약, 방역/ 유전자치료제, 분석/ 제대혈/ 코로나19/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코로나19 혈장치료제 (항체를 분획해 만드는 혈장치료제 'GC5131A'를 개발)
시노펙스 -PCB/ 수소차/ 태블릿PC/ 갤럭시 부품주/ 수자원/ 스마트폰

-FPCB 모듈 사업과 멤브레인/ 필터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현대차 수소차 분야 협력기업으로 수소차 연료전지 분리막 개발 및 상용화 진행중.

-혈장분리용 멤브레인 제품 개발 성공 부각.

-수자원(수처리설비)

-방사능 제거 수처리시스템 필터 제조 및 공급 기술 보유.

-자회사 멤브레인필터 마스크 미국 FDA 정식 등록.
에스맥 -터치패널/ 아이폰/ 스마트폰/ 희귀금속/ 코로나19

-2004년 삼성전기에서 분사한 휴대폰용 터치스크린 모듈 제조업체. 주요 고객사 삼성전자, 동우화인켐 등.

-비보존

-일본 닛샤프린팅과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아이폰 시리즈에 터치스크린패널(TSP)공급.

-혈장치료제 관련주 (자회사 다이노나가 혈장치료와 관련된 항체 추출 기술 보유.)

-관계사다이노나 고형암 항체치료제 'DNP002', 임상 1상 식약처 승인

-희토류

-작년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에이프로젠 그룹 주식 보유.
레몬 -갤럭시 부품주/ 휴대폰 부품/ 전자파/ 마스크/ 코로나19

-전자파 차폐소재(EMI)및 나노섬유 멤브레인 생산업체.

-EMI관련 제품군으로는 방열 쉴드캔, 도전원단/Tape, 5G PCB SMD 등이 있으며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의 Flagship Model에 채택되어, 현재 GALAXY S 시리즈 제품에 납품되고 있음.

-나노관련 제품군으로는 아웃도어용 나노섬유 멤브레인 원단, 여성용 위생용품, 호흡기 마스크, 미용 마스크팩 원단 등이 있음.

-코로나19 혈장치료 (혈장 분리막 연구개발 실적 보유.)
톱텍 -태양광에너지/ OLED/ 스마트팩토리/ LCD장비/ 마스크

-FA사업, ESS사업, 나노관련사업 등을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레몬을 종속회사로 보유. (전자파 차폐소재 및 나노섬유 멤브레인 등을 생산하는 회사)

-코로나19 혈장치료 (레몬 최대주주)

-태양광관련사업 (태양광발전시스템, 태양광모듈판매)영위.

-태양광 모듈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하는 (주)티앤솔라를 종속회사로 보유.
일신바이오 -동결건조기, 초저온 냉장고 등 바이오장비 제조업체.

-혈장치료제 생산 기대감. 혈액 및 시약냉장고 동결 건조기 등 생산.

-극저온 백신 보관 기술 부각 속 초저온 냉동고 시스템 개발 국책과제 수행 사실 재부각.
한국유니온제약 -코로나19 (혈장치료, 혈장치료제/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 유니온토브라덱스 (덱사메타손 성분) 점안액 판매.

-혈장치료 (정부 연구과제인 혈장보충제 숙신산 젤라틴 생산기술 개발 과정에 참여한 이력 있음)
서린바이오 -코로나19 혈장치료 (혈장 단백질 연구를 비롯 혈액으로 진단하는 의료분야에 사용 가능한 바이오맴스칩 개발)
바이오톡스텍 -코로나19

-2대주주 셀트리온

-코로나19 혈장치료 (비임상 CRO사업을 통해 혈장과 혈청 공시료 판매중)
나노엔텍 -원격진료/ 고령화 사회/ 코로나19/ 의료기기

-나노바이오 및 진단의료기기

-SK케미칼 치매치료패치 및 FDA 시판 허가 획득 소식에 일부 SK그룹주 강세 속 급등.

-코로나19 혈장치료 (혈액서 혈장을 추출하는 혈구분리 칩 기술 특허 보유)
필로시스헬스케어 -코로나19 (혈장치료)

-잡화, 의류 등의 유통사업과 바이오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관계사 필로시스 국내 최초로 검체 채취키트 미 FDA 허가 획득.

-262.54억원 규모 코로나 진단 레피드키트 공급계약 체결

-코로나19 혈장치료 (5분만에 순수 혈장을 분리하는 기술 미국 FDA로부터 승인)
경남바이오파마 -스포츠행사 수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코로나19 혈장치료 (연세대 신약개발 벤처기업인 '리퓨어생명과학'과 함께 코로나19 완치자 혈장 유래 치료 항체 공동연구 개발에 대한 본 계약 체결)

 

 

반응형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두주자 중 한 곳인 미국 바이오업체 모더나가 백신 세계 출시를 준비중이다.

 

 

미국 바이오업체 모더나

-이미 백신 공급 계약을 한 각국 정부로부터 11억달러 (약 1조 2찬억원) 규모의 착수금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의 후원을 받는 글로벌 백신 공동 프로젝트 '코백스(COVAX)와도 협상이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모더나와 관련 있는 국내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모더나 관련주

 

 

파미셀 -코로나19/ 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치료제의 제조, 판매 연구개발, 성체줄기세포보관사업 및 줄기세포배양액 함유 화장품개발사업 등을 담당하는 바이오사업부문과 생물화학제품 및 정밀화학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케미컬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바이오 전문업체.

-주력파이프라인으로 셀그램 보유

-미국 FDA 승인 코로나 진단키트 제조사 '서모피셔 사이언티픽'에 원료 공급.

-모더나 (뉴클레오시드 생산 사실 부각)

-렘데시비르 (렘데시비르 원료인 '뉴클레오시드'를 생산)
에이비프로바이오 -공작기계/ 원자력발전소 해체

-모더나 관련주 (모더나 창립멤버 사내이사 영입 사실 부각) /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 관련주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노인 대상 강력한 면역 반응)
바른손 -주요 사업으로 크게 영화제작 및 투자, 외식사업, VR관련 사업을 영위.

-계열사를 통해 영화사업(시오필름) 및 게임소프트웨어개발사업 (레드모바일), 홈인테리어 도소매업(주 바른손 누보) 등을 영위.

-코스닥 상장사인 바른손이앤에이 지분 보유.

-기생충 관련주

-관리종목 지정 우려

-문구류, 필기류 불매운동 반일

-모더나 지분 보유 (코로나19)
바른손이앤에이 -가상현실/ 모바일게임/ 영화/ 게임/ 영상콘텐츠

-기생충 관련주

-모더나 (계열사 바른손, 모더나 지분 보유)/ 코로나19
마크로젠 -줄기세포/ 원격진료/ 유전자 치료제, 분석/ 고령화 사회/ 코로나19

-서울의대 유전자이식연구소를 모태로 설립된 생명공학기업

-다양한 생물 중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결과를 발송해주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그 외 올리고 합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공급 서비스, 임상진단서비스, 개인유전체분석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

-신규사업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기술개발 및 판매, 특허기술을 활용한 유전자가위서비스 제공, 임상진단시약 생산판매 등을 진행중.

-모더나 (마크로젠 자회사 소마젠이 미국 모더나와 RNA 서비스 공급계약 체결)
소마젠 -유전자 치료제, 분석

-모더나 (모더나는 소마젠의 고객사, 1년에 100만불 가량 시퀀싱 서비스 제공)

-2014년 미국 모더나와 DNA 및 RNA 염기서열 분석 서비스 계약 맺음. 현재 사업 파트너 관계유지.

-서비스 제공자는 마크로젠
에스티팜 -제약업체/ 모더나

-유럽소재 글로벌제약사와 458.71억원 규모 원료의약품 공급계약 체결

-렘데시비르 (렘데시비르의 핵심 주 원료인 '뉴클레오티드'를 생산 중)

-모더나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중. (RNA 치료제나 백신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재료는 뉴클레오시드)

-에스티팜은 CMO 업체로 RNA치료제, 백신 재료인 뉴클레오시드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 설비 보유.
대화제약 -치매/ 제약업체

-모더나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중. (RNA 치료제나 백신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재료는 뉴클레오시드)

-모더나 (대화제약은 반기 사업보고서에서 종속회사인 중앙연구소의 박영택 연구소장이 디뉴클레오시드폴리포스페이트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 갖고 있다고 명시)

 

 

반응형

 

 

-렘데시비르는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가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한 항바이러스제이다.

 

-에볼라 치료에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면서 개발이 중단되었지만, 코로나 19 입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효과를 보여 코로나19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제 승인을 받았고, 트럼프 대통령이 병원 입원 치료 기간 중에 투약했던 약물에도 속했다.

 

-렘데시비르를 개발한 길리어드사이언스는 렘데시비르 덕에 매출9억달러가 증가했다고 한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 연구 결과에서는 렘데시비르가 환자의 입원 기간을 줄이거나 사망률을 낮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치료 효과에 대한 논란도 있다.

 

-WHO는 23일 렘데시비르 사용 지침이 3~4주 내 나올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

 

 

렘데시비르 관련주

 

 

파미셀 -코로나19/ 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치료제의 제조, 판매 연구개발, 성체줄기세포보관사업 및 줄기세포배양액 함유 화장품개발사업 등을 담당하는 바이오사업부문과 생물화학제품 및 정밀화학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케미컬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바이오 전문업체.

-주력파이프라인으로 셀그램 보유

-미국 FDA승인 코로나 진단키트 제조사 '서모피셔 사이언티픽'에 원료 공급.

-모더나 (뉴클레오시드 생산 사실 부각)

-렘데시비르 (렘데시비르 원료인 '뉴클레오시드'를 생산)
비씨월드제약 -제약업체/ 코로나19

-종근당과 코로나19 치료제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코로나19 렘데시비르 (뉴클레오시드 유도체 관련 특허 보유)
에스티팜 -제약업체

-유럽소재 글로벌제약사와 458.71억원 규모 원료의약품 공급계약 체결.

-코로나19 렘데시비르 (렘데시비르의 핵심 주 원료인 '뉴클레오티드'를 생산중)
맥스로텍 -3D프린터/ 공작기계/ 스마트팩토리/ 코로나19(렘데시비르)

-자동차 생산 자동화 시스템 분야 업체.

-국내에서 유/ 무선 갠트리로봇 시스템을 모두 생산/ 공급

-경영권 인수를 추진 중인 성운파마코피아, 코로나 19 치료제 베클루리주(성분명 렘데시비르) 원료의약품 상용화 기술 국내 최초 개발.
진원생명과학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진단시약, 방역/ 유전자 치료제 분석/ 코로나19

-렘데시비르 (진원생명과학의 2대 주주인 미국 바이오기업 '이노비오'는 코로나19 백신을 개발중이며, 동사는 정부 지원과 함께 백신 후보물질 'INO-4800'의 국내 임상시험을 진행중. 이노비오가 진원생명 과학의 12% 지분 보유)

-미국 제약사 이노비오와 에볼라 백신 공동 개발.

 

 

반응형

 

 

-크래프톤이 상장을 위해 본격적인 채비를 갖췄다.

 

-기업공개를 위해 대표주관사 미래에셋대우, 공동주관사로 크레딧스위스증권,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제이피모간증권회사, NH투자증권을 선정했다.

 

-크래프톤은 배틀로열 게임인 '플레이어언노운스 배틀그라운드'의 성공으로 세계적인 게임개발사로 떠올랐고 실적은 매년 급 성장하고 있다.

 

-주식 시장에 상장할 경우 9월 IPO 대박을 낸 카카오게임즈를 뛰어 넘는 성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크래프톤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크래프톤 관련주

 

 

카카오게임즈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포털 'DAUM' 서비스를 활용하여 모바일게임과 PC게임의 퍼블리싱 및 채널링사업을 영위.

-검은사막, 패스 오브 엑자일, 프렌즈마블, 프렌즈팝, 프린세스 커넥트, 테라 클래식, 달빛 조각사, 가디언 테일즈 등.

-카카오게임즈 - 위메이드 '미르4' 전략적 사업 제휴 체결.

-카카오게임즈는 크래프톤의 지분을 2019년 말 약 16만주 2.07%를 보유.
TS인베스트먼트 -일자리/ 창투사/ 4차산업 수혜주

-크래프톤 기업공개 추진 속 크래프톤 지분 보유사실 지속부각.
아주IB투자 -창투사

-크래프톤 관련주/ IPO추진 소식 속 포트폴리오 보유 사실 부각.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업체 아테아파마슈티컬스, 나스닥 상장 추진 속 투자 사실 부각.
넵튠 -모바일게임(스마트폰)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대신밸런스제1호스팩이 온라인/ 모바일게임 업체 넵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변경 상장.

-프렌즈 사천성, 라인 퍼즐 탄탄, 탄탄 사천성 등 스포츠, 퍼즐, RPG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게임을 개발 서비스하고 있음.

-온라인게임 배틀그라운드의 개발사 '크래프톤'의 지분 보유중.

-블럭체인, e스포츠, MCN사업을 신규로 진행중.

-스포츠 베팅게임 출시.
이노테라피 -크래프톤 IPO추진 (종속회사를 통한 지분 보유)
와이팜 -갤럭시 부품주/ 5G/ 휴대폰부품

-크래프톤의 지분 0.01% 보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