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추천이 아닌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이슈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희소금속 비축량 57일분 → 100일분 늘린다.
-정부는 오는 (5일) 제 4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희소금속 산업 발전대책 2.0'을 발표했다.
-정부는 희소금속 평균 비축량을 현재보다 2배 가까이 늘려 100일분을 확보하고, 2025년까지 희소금속 100대 핵심기업을 발굴해 육성할 예정이다.
-희소금속은 지각 내 부존량이 적거나 추출이 어렵지만, 산업적 수요가 큰 금속원소이다. 미래차, 배터리, 풍력, 태양광 발전 등에 쓰이는 핵심 소재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희소금속 수요는 급증하고 글로벌 확보 경쟁도 치열해지지만, 매장, 생산량은 일부 국가에 집중된 탓에 수급 불안 우려가 상존했다.'며 '우리 산업계가 안심할 수 있는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은 희토류를 포함한 4대 핵심 품목 공급망 강화 전략을 펴고 있고, 중국도 올 초 희토류 관리 조례 초안을 발표하면서 주요 국가들이 희소금속 확보 경쟁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희소금속 안심국가' 실현을 목표로 희소금속 평균 비축물량을 현행 56.8일분에서 100일분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전용 비축기지 확보와 증축을 검토하고, 현재 조달청과 광물자원공사로 이원화된 희소금속 비축, 관리 기능도 광물공사로 일원화할 계획이다.
-폐PCB, 귀금속 잔재물 등 희소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유용폐기물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희소금속이 포함된 폐자원을 재활용하는 방안도 확대한다.
-2025년까지는 희소금속 100대 핵심 기업을 발굴, 육성하기로 했다.
-현재 35종의 희소금속을 가공, 처리, 재활용하는 국내 기업은 125곳이다. 우리 기업들은 원료 기초 소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지만 , 화합물, 금속, 부품 등 중간소재와 최종재에서 경쟁력 우위를 보이고 있다.
-또한, 희소금속 산업 지원 근거 등을 법에 명시하고, 민관 합동 '희소금속 산업발전 협의회'를 꾸려 민간의 해외투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우리나라가 선정 관리중인 희소금속>
구분 | 원소명 |
알칼리족(6종) | 리튬, 마그네슘, 세슘, 베릴륨, 스트론륨, 바륨 |
반금속(9종) | 게르마늄, 인, 비소, 안티몬, 비스머스, 셀레늄, 텔루륨, 주석, 규소(실리콘) |
철족(2종) | 코발트, 니켈 |
보론족(5종) | 붕소, 갈륨, 인듐, 탈륨, 카드뮴 |
고융점 금속(11종) | 타이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븀, 탄탈륨,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망간, 레늄 |
백금족(1종) | 백금, 루테늄, 오스뮴, 팔라듐, 이리듐, 로듐 (총 6원소) |
희토류(1종) | 스칸듐, 이트륨, 란타늄, 세륨, 프로세디움, 네오디뮴, 프로메튬, 사마륨, 유로퓸, 가돌리늄, 터븀, 디스프로슘, 홀뮴, 어븀, 톨륨, 이터븀, 루테륨 (총 17원소) |
2020.11.06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희귀금속 (희토류) 관련주
'주식공부 > 이슈+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주식 이슈 + 일정] 유럽 이어 미국도 전기차 전환 압박. (2) | 2021.08.08 |
---|---|
[국내주식 이슈 + 일정] 내년 OLED TV 연 700만대 시장 성장 (2) | 2021.08.07 |
[ 국내주식 이슈 + 일정] 삼성전자 'K-메타버스 연합군' 합류 (0) | 2021.08.04 |
[국내주식 이슈 + 일정] 테슬라 '인공지능의 날' (0) | 2021.08.03 |
[국내주식 이슈 + 일정] 넷마블 스핀엑스 인수 (0) | 2021.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