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셀트리온, 휴마시스 진단키트 위반 소송

 

- 셀트리온과 휴마시스는 지난 2020년 6월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 및 공급 계약을 통해 키트를 공동 개발, 셀트리온 미국 법인을 통해 미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납품을 시작했다.

 

- 하지만 공급 부족 문제로 충돌했고, 현재 두 회 사는 진단키트 위반 소송 중이다.

 

- 지난 1월 31일 셀트리온이 휴마시스를 상대로 코로나 19 진단키트 계약 위반에 관한 손해배상 및 선급금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했고, 

 

- 셀트리온은 휴마시스가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 소장을 13일 송달받았다.

 

 

 


 

 

셀트리온 주장

- 휴마시스가 코로나 19 납기일을 어겨 영업 손실을 봤다.

 

- 휴마시스가 물량 납품을 지연하는 와중에 진단키트 시장 가격은 추락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셀트리온은 상당한 재고 및 그에 따른 영업 손실을 부담했다.

 

- 공동 개발자로서 책무를 외면하고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휴마시스 공급에 의존하던 파트너사에 상당한 피해를 주었다.

 

- 납기 지연 사유로 주장하는 식품의약품 안전처 수출제한 조치도, 수출 공급 계약은 조치 이전에 체결한 예외사항이기 때문에 합당한 이유가 될 수 없다.

 

 

휴마시스 주장

- 셀트리온이 920억 원 규모의 진단키트 공급 계약을 일방적으로 해지했다.

 

- 지난해 4월 셀트리온이 판매 부진을 이유로 휴마시스에 생산 중단과 납품기한 연장을 요청했다.

 

- 셀트리온은 연장된 납기일이 다가오자 일반적으로 단가 인하를 요구했으며 단가 인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계약을 파기했다.

 

- 셀트리온의 요구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영업 실패의 책임을 협력업체의 손실로 전가하려는 전형적인 시도로, 이는 공정거래위원회 예규 '부당한 위탁취소, 수령거부와 반품행위에 대한 심사지침'을 정면으로 위반한 것이다.

 

 


 

양측이 요구하는 손해배상액

- 셀트리온과 휴마시스는 상대에게 각각 602억 원과 1205억 원을 요구했다.

 

 


 

셀트리온

-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 개발/ 생산업체.

 

- 레미케이드(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의 바이오시밀러가 89개국에서 판매허가를 받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중.

 

- '허쥬마'(유방암치료제) 14년 1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허가를 받음.

 

- 트룩시마(혈액암치료제)

 

- 화이자가 보유하고 있는 램시마 판매권을 승계한 기업.

 

- 질병관리본부 국책과제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 중.

 

 

 

 

휴마시스

- 체외진단의료기기 개발 및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암진단분야, 가정용 자가진단제품군, 약물중독진단, 뇨분석제품군 등 면역화학검사분야의 약 100여 개의 제품을 개발, 생산.

 

- 주요 제품으로는 POCT 자동면역분석장비, 심혈관질환 POCT 다중검사시약, 뎅기열 검사제품, 호흡기질환 검사제품, 말라리아 약제 동반진단 제품, 산부인과질환 다중 POCT 검사제품 등이 있음.

 

- 20년 9월 식약처로부터 셀트리온과 함께 공동 연구개발한 코로나19 항원 진단키트 'Humasis COVID-19 Ag Test'에 대해 수출용 허가 승인.

 

- 유럽 체외 진단 시약 인증인 CE-IVD를 획득.

 

 

 

 

반응형

 

*국민연금

- 국민연금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로, 국민 개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여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를 말한다.

 

- 국민연금은 1988년 제도 시행 이후 34년 만에 가입자 2,200만명, 수급자 600만 명, 기금 900조 원 규모의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하였다.

 

 

*국민연금공단 기금 포트폴리오

 

- 국민연금은 기금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매월 말 기금 포트폴리오 구선 현황을 공개하고 있다.

 

- 2022년 11월 말 기준 국내주식의 비중은 15.1% 이다.

 

(출처 : 국민연금 홈페이지)

 

 

(출처 : 국민연금 홈페이지)

 

*국민연금공단 Top 10 투자종목

1. 삼성전자

2. SK하이닉스

3. NAVER

4. 현대차

5. 삼성SDI

6. 삼성바이오로직스

7. 카카오

8. LG화학

9. 기아

10. 현대모비스

 

 

*2023년 국민연금공단 순매수, 순매도 종목

 

순매수 종목

순매수 변동 지분수 지분 변동률 최종 지분률
진에어 1440232주 2.76% 10.07%
GS리테일 696302주 0.66% 9.95%
삼양식품 45315주 0.61% 10.12%
덴티움 177603주 0.44% 9.96%
DL이엔씨 149749주 0.39% 11.36%

 

 

순매도 종목

순매도 변동 지분수 지분 변동률 최종 지분률
OCI -249031주 -1.04% 8.25%
DB손해보험 -233152주 -0.33% 9.99%
포스코인터내셔널 -392763주 -0.32% 9.83%
롯데케미칼 -86574주 -0.25% 7.47%
제일기획 -206946주 -0.18% 9.99%
삼성엔지니어링 -335659주 -0.17% 9.05%
DGB금융지주 -210802주 -0.13% 9.92%
유한양행 -94455주 -0.12% 9.98%
효성중공업 -7969주 -0.08% 5.96%
SK케미칼 -8738주 -0.05% 6.32%
KT -121954주 -0.04% 9.95%
현대백화점 -3697주 -0.02% 8.03%

 

 

 

반응형

*인도 북부지역 리튬 매장 확인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리튬이란?

- 리튬(Lithium)은 금속원소로서, 가장 가볍고 가장 적은 전하를 가진 원자 중 하나이며, 특정한 화학적 특성을 가진다.

 

- 1817년 스웨덴의 25세 화학자 요한 아르프베드손이 발견하였고, 영국의 화학자 험프리 데이비가 1818년 처음으로 전기분해를 통해 순수한 리튬 원소를 추출해냈다.

 

 


 

리튬이 사용되는 분야

- 리튬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대표적인 5개의 분야가 있다.

 

1. 전기전지 

- 리튬이 포함된 전기전지는 가장 고용량의 전지 중 하나로, 휴대용 전자 제품,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서 사용 된다.

 

2. 전기자동차 배터리

- 리튬이 포함된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가장 고용량의 배터리 중 하나이다.

 

3. 약품

- 뇌와 마음의 건강에 유익한 특성이 있어 약품으로도 사용된다.

 

4. 제약 산업 

- 리튬은 여러 화학적 반응에 사용되어 제약 산업에서도 사용된다.

 

5. 금속

- 리튬은 금속으로서도 사용되고, 알루미늄 등과 함께 합금으로 사용된다.

 


 

인도 북부지역 리튬 매장 확인

- 10일 (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인디아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인도 지질조사연구소는 북부 잠무, 카슈미르의 레아시 지역에 590만t의 리튬이 매장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현재 이용 가능한 리튬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리튬이 매장된 나라는 칠레(920만t)이며 호주(570만t), 아르헨티나(220만t) 순이었다.

 

- 먄약 인도에서 발견된 리튬이 모두 개발 가능한 리튬으로 확인되면 인도는 추정 매장량 기준 세계 2위인 '리튬 강국'으로 올라서게 된다. 

 

- 또한, 전기차 시대를 맞아 수요가 폭증하고 있어 관련 업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인도 자체 정부가 육성 중인 전기차 산업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리튬 관련주 6종목

1. 에코프로

- 온실가스저감시스템 등의 환경오염 방지 관련 소재/ 설비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 양극활물질 등 2차전지 사업을 분할하여 에코프로비엠을 신규 설립한 뒤 종속회사로 보유.

 

- 필터프레임 및 양극소재용 리튬사업을 영위하는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을 종속회사로 보유.

 

 

2. 포스코케미칼

- 내화물의 시공 및 보수, 각종 공업로의 설계, 제작 및 판매, 석회제품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설립.

 

- 전기차 배터리를 제조할 때 필요한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를 니켈비중 90% 개발 중.

 

-포스코그룹이 아르헨티나 리튬 호수 보유 및 염수리튬 상용화 공장 착공.

 

- 동사는 22년 11월 양극재를 생산하는 광양공장을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의 연산 9만 톤 규모로 증설 완료.

 

 

 

3. 하이드로리튬

- 일본 SE사와의 합작을 통해 설립된 토목용 특수자재 전문 생산업체.

 

- 이차전지 소재 제조 및 판매사업, 전기전자 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폐전지 재활용 사업, 광물자원개발 및 판매업 등을 신규사업으로 시작했으며, 탄산리튬, 블랙파우더 등 원자재를 상품으로 매입.

 

- 최대주주 리튬플러스는 저순도 탄산리튬 화합물을 정제하여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을 제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리튬플러스의 금산공장이 수산화리튬 양산에 성공하면 동사는 수산화리튬 제 2공장을 추진할 예정.

 

 

 

4. 코스모화학

- 국내 유일 이산화티타늄 및 황산코발트 등 제조업체.

 

- 합성수지, 고무, 제지, 페인트, 섬유 등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을 국내 독점 생산/ 판매중이며, 폐수처리제 등도 제조/ 판매 중.

 

- 22년 6월 159억원규모 신규시설(탄산리튬 생산설비) 투자 결정 공시.

 

 

 

5. 포스코엠텍

- 포스코 계열의 철강포장 및 철강부원료 사업 영위하는 업체.

 

- 포스코에서 생산되는 철강제품의 포장을 수행하고 있으며, 철강부원료인 알루미늄 탈산제를 포스코에 공급중.

 

- 포스코그룹이 아르헨티나 리튬 호수 보유 및 염수리튬 상용화 공장 착공.

 

 

 

6. 천보

- 화학물질 및 제품 제조업체로 디스플레이소재, 반도체공정소재, 2차전지소재, 의약품 중간체 및 정밀화학의 사업분야를 영위.

 

- SN, DPN 및 AN 등의 다양한 리튬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를 생산하고 있으며, 2016년 말에 중대형 리튬전지용 전해질인 LiFSI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 공장을 가동.

 

 


 

2023.01.12 - [주식공부/이슈+일정] - [국내주식 이슈+일정] 국내 울진 지역 리튬 광산 발견

 

[국내주식 이슈+일정] 국내 울진 지역 리튬 광산 발견

*국내 울진 지역 리튬 광산 발견 -국내에 리튬을 채굴할 수 있는 광산들이 발견돼 정부 연구기관이 올해 내로 매장량을 파악할 예정이다. -이평구 지질연구원장은 '작년에 우리나라 광산을 뒤져

hjs9310.tistory.com

 

2020.10.18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전기차 관련주

 

[국내주식] 전기차 관련주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로,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는 것이 아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자동차를 말한다. (사진 : 데

hjs9310.tistory.com

 

 

 

반응형

*메디톡스, 대웅제약 균주소송

 

- 2017년 10월 소송을 제기한 지 5년 4개월 만에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합의 61부는 메디톡스가 대웅제약을 상대로 낸 영업비밀 침해 소송에서 메디톡스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 소송의 쟁점은 보톡스로 불리는 보툴리눔 톡신 균주의 출처이다.

 

(출처 : 동아일보)

 

보툴리눔 톡신이란?

- 보툴리눔 톡신은 박테리아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에 의해 생성되는 신경독이다.

 

- 보툴리눔 독소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지만 의료 및 미용 치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은 A유형이다.

 

- 의학적 치료에서 보툴리눔톡신은 근육 경련, 떨림, 과도한 발한 및 일부 유형의 만성 통증과 같은 다양한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 미용 치료에서는 일반적으로 주름과 잔주름, 특히 이마와 눈 주위의 주름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 보툴리눔 톡신 자체는 생물학적 테러에 쓰일 수 있을 만큼 독성이 강해 세계적으로 보툴리눔톡신 균주를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메디톡스 대웅제약 균주소송 1심 결과

-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이 자신들의 균주를 훔쳐 톡신 사업을 하고 있다고 주장해왔고, 대웅제약은 국내 토양에서 균주를 얻었다고 맞섰다. 

 

- 2017년 10월 소송을 제기한 지 5년 4개월 만에 결과가 나왔는데,

 

- 재판부는 대웅제약의 균주가 메디톡스 균주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여, 대웅제약이 메디톡스에 400억 원을 배상하고, 대웅제약이 가지고 있는 균주를 메디톡스에 넘겨주는 것은 물론 이미 만든 균주 완제품과 반제품을 모두 폐기하라고 1심 판결이 나왔다.

 

 

대웅제약의 대응

- 메디톡스는 1심 판결에 '명확한 판단'이라고 했고, 대웅제약은 '명백한 오판'이라고 주장했다.

 

- 대웅제약은 판결 직후 즉각 강제집행정지 신청을 내고 항소하겠다 했다. 

 

-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사업은 단기적으로 집행정지 신청 수용 여부에 달려있다.

 

- 집행정지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제품 생산이 올스톱 되고, 받아들여지면 사업은 계속할 수 있지만 2심 판결에 나올때까지 사업이 계속 불확실해진다.

 

 


 

메디톡스

- 보톡스로 널리 알려진 보툴리눔 독소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전문의약품업체.

 

- 주요 사업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A형 독소 및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바이오 의약품의 연구/ 개발 및 제조/ 판매 영위.

 

- 주요 제품으로 보툴리눔 독소 제제 기반 제품인 '메디톡신'과 필러제품인 '뉴라미스' 등이 있음. 

 

 

 

대웅제약

- 의약품 생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 주요 제품으로는 나보타(보툴리눔 톡신 제제), 우루사(피로회복, 간장해독), 올메텍(고혈압치료제), 가스모틴(기능성소화제)등을 보유.

 

- 뇌기능개선제 글리아타민을 생산해 대웅바이오에 공급.

 

 

 

 

반응형

*하이브 SM 인수

 

- 하이브는 이수만 SM 프로듀서가 보유한 지분 14.8%를 4천228억 원에 인수한다고 10일 공시했다.

 

- 이수만의 지분율은 18.46%로 하이브는 이번 거래로 최대주주에 등극한다.

(출처 : 연합뉴스)

- 하이브에는 방탄소년단,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뉴진스, 르세라핌 등,

 

- SM에는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샤이니, 엑소, NCT, 에스파 등 경쟁력 있는 IP(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어 이 모든 아티스트들이 한 지붕 아래 있는 초대형 기획사가 탄생할 예정이다.

 

 


2023.02.09 - [주식공부/이슈+일정] - 에스엠 경영권분쟁

 

에스엠 경영권분쟁

*에스엠 경영권 분쟁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 에스엠은 음악 전문 종합엔터테인먼트 업체로 EXO, 소녀시대, 샤이니, 동방신기, 레드벨벳, NCT, 에스파 등의 소속가수를 보유한 업체이다. - 주요 사업

hjs9310.tistory.com

 

- 현재 카카오가 7일 9.05%를 확보하는 유상증자를 골자로 SM과 손을 잡았다.

 

 


*하이브의 계획

- 방시혁 의장은 '하이브는 이수만이 추진해 온 메타버스 구현, 멀티 레이블 체제 확립, 지구 살리기를 위한 비전 캠페인과 같은 전략적 방향성에 전적으로 공감했다' 며 '하이브의 역량을 투입해 글로벌 시장에서 K팝의 위상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또한 하이브는 'SM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이수만의 의지를 확인했다' 며 '이미 이사회 중심 경영을 통해 최고 수준의 지배구조 투명성을 갖춘 것은 물론, 멀티 레이블 전략 운영과 팬덤 플랫폼 개발 등 업계 선진화를 주도한 만큼 SM의 지배구조개선 과정에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라고 의지를 드러냈다.

 

- 이수만은 개인 차원에서 보유하던 SM 관계사 지분도 하이브에 양도해 지배구조 개선 작업에 전폭적으로 협조하기로 했다.

 

- 하이브는 주당 12만원에 SM 소액 주주가 보유한 지분 공개매수에 나선다고 밝혔다. 현재 공개 매수를 위한 자금조달은 이미 마친 상황이다.

 


- SM은 다음 달 주주총회를 열 예정으로 현재 막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이브

 

- 음원, 음반/ 엔터테인먼트

 

- 방탄소년단을 보유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업체.

 

- 아티스트의 발굴, 육성 및 음악 제작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세븐틴, 뉴이스트 등을 보유한 (주)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여자친구 등을 보유한 (주)쏘스뮤직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

 

- 아티스트로부터 창출된 지적재산(IP)의 사업화를 담당하는 도메인 조직 (주)빅히트쓰리식스티, (주)빅히트아이피, (주)비엔엑스, (주)수퍼브, (주)빅히트에듀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반응형

*에스엠 경영권 분쟁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 에스엠은 음악 전문 종합엔터테인먼트 업체로 EXO, 소녀시대, 샤이니, 동방신기, 레드벨벳, NCT, 에스파 등의 소속가수를 보유한 업체이다.

 

- 주요 사업으로 음반 제작, 퍼블리싱, 공연 및 제작 등이 있으며, 영상콘텐츠 제작 및 매니지먼트, 여행업 등을 영위하는 코스닥 상장사 SM C&C를 계열사로 보유 중이며, SM Life Design의 최대주주이다.

 

 


 

에스엠, 카카오 경영권 분쟁

 

카카오

-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에스엠은 카카오 대상으로 1119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 123만 주를 발행하며, 이와 함께 1052억 원어치의 CB를 발행해 카카오에 넘긴다.

 

-CB가 향후 보통주로 전환된 경우 카카오는 에스엠 보통주 114만주를 확보, 에스엠 지분율 9.05%를 보유한 2대 주주에 올라서게 된다.

 

*CB (Convertible Bond, 전환사채)

- CB(전환사채)는 일정한 조건에 따라 채권을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으로,

- 전환 전에는 사채로서의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고, 전환 후에는 주식으로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 전환사채 보유자는 주가가 전환가격을 넘을 경우 주식으로 전환해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고, 주가가 전환가격보다 낮아지면 만기까지 보유해 발행 당시 확정한 만기보장수익률 만큼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이수만

- 이수만의 법률대리인인 법무법인 화우는 이수만 프로듀서가 8일 오후 서울동부지법에 신주 및 전환사채 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수만 측은, '기존 주주가 아닌 제 3자에게 신주와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경영상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것이어야 하고,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필요한 한도에서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최소로 침해하는 방법을 택해야 만한다.'며 '이번 신주 및 전환사채 발행 결의는 위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지 못한 위법한 결의'라고 주장했다.

 


- 카카오가 확보하는 지분은 9.05%이지만, KB자산운용(3.83%), 얼라인파트너스와 특수관계자(0.91%), 이 프로듀서를 제외한 경영진(0.66%)이 합세할 경우 국민연금(8.96%)과 소액주주의 결정에 따라 이수만 프로듀서가 보유 중인 19%가량의 지분 영향력이 사실상 무의미해질 수 있다.

 

- 현재 증권시장은 '경영권 분쟁은 주가에 호재'라며 카카오와 에스엠 목표가를 일제히 올리고 있다. 

 

- 에스엠 지배구조가 개선되면서 높은 이익 성장을 예측하기 때문이다.

 

- 에스엠 엔터테인먼트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이슈에 따른 관련주 공부하는 글입니다.)

 

에스엠 관련주 4종목

 

1. 에스엠

- 음악 전문 종합엔터테인먼트 업체.

 

- EXO,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샤이니, 동방신기, 레드벨벳, 에스파, NCT 등의 소속 가수를 보유.

 

- 주요 사업으로 음반 제작, 퍼블리싱, 공연 기획 및 제작 등이 있음.

 

-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매니지먼트, 여행업 등을 영위하는 코스닥 상장사 SM C&C를 계열사로 보유.

 

- SM Life Design의 최대주주.

 

 

 

2. SM C&C

-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영향 콘텐츠 제작, 매니지먼트 사업, 여행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 광고대행 부문 매출 비중이 높음.

 

- 7년 SK 플래닛에서 분할된 M&C(마케팅앤컴퍼니)를 인수하여 광고대행업을 영위.

 

 

 

3.SM Life Design

- 특수인쇄 제조 및 미디어제작, 영화콘텐츠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 홈비디오사업 파트는 월트디즈니, 쇼박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판씨네마 등 주요 영화사와 부가판권 판권 계약을 맺어 DVD와 Blu-ray, 4K UHD를 대여점, 음반매장, 주요 서점 및 대형 할인매장을 통해 유통.

 

- 에스엠이 동사의 최대주주.

 

 

4.디어유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그룹 계열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업체.

 

- 주요 서비스인 'DearU bubble(디어유 버블)'이라는 아티스트와 프라이빗 한 메시지로 소통하는 서비스를 출시하여 팬-아티스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 (주)에프엔씨엔터테인먼트, (주)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주)제이와이피엔터테인먼트, (주)더블유엠엔터테인먼트, (주)엠앤에이치엔터테인먼트, (주)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 (주)미스틱스토리 등이 디어유버블 서비스에 참여 중.

 

- 이 외 스마트 노래방 앱 everysing, 아티스트 팬 커뮤니티 플랫폼 Lysn, 아날로그 손 편지 서비스 DearU letter 등의 서비스 사업도 진행 중.

 

 

 

 

 

반응형

*마이크로소프트 AI 챗봇 기능 탑재된 빙 검색 엔진 공개

 

- 마이크로소프트는 7일(현지시간) 오픈 AI의 대화형 기술을 접목한 검색엔진 '빙'과 웹브라우저 '엣지'의 새로운 버전을 전격 공개했다.

 

 

-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는 AI와 통합된 빙 검색 엔진을 시연하면서 '검색이 다시 시작된 새로운 날이고, 패러다임이다. 빠른 혁신이 다가오고 있다' 면서 'AI 기반 챗봇은 소프트웨어 카테고리 대부분을 재편할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AI 기반 검색은 제한된 프리뷰 형태로 공개됐다. 

 

- 현재 빙에 접속해 보면 검색엔진이 질물을 할 수있는 횟수가 제한되고 데스크톱에서만 쓸 수 있다.

 

(현재 접속을 해보면 검색한 질문에 대한 답은 아직 볼 수 없고 예시들만 보여지는 것 같습니다.)

 

- 마이크로 소프트는 정식 버전을 대기자 신청자들에게 공개하고 몇주 안에 수백만명이 쓸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새 Bing에 빠르게 액세스 하는 방법

 

 

 

 

- 현재 제한된 프리뷰 형태라 개인이 한 질문에는 나오지 않지만 앞으로는 오른쪽 창처럼 질문에 대한 AI의 답이 나올 예정이다.

 

 

 


 

* 마이크로소프트 관련주 3종목 

1. 브리지텍

-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

 

- 콜센터 솔루션 및 IP 기반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클라우드 환경의 소프트웨어 임대사업 등을 영위.

 

- AI 콜센터와 음성인식/ 화자인증, IP 기반의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 공급.

 

- 마이크로소프트의 뉘앙스 커뮤니케이션 인수 소식 속 뉘앙스 커뮤니케이션과 파트너 관계 부각 이슈로 상승이 나온 적이 있음.

 

 

2. 이노뎁

- 국내 최초의 VMS 전문기업으로, 인공지능 영상보안 솔루션 개발을 주사업으로 영위.

 

- 메타버스 기술로 평가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혼합현실 기반 웨어러블 기기인 '홀로렌즈' 관련 협력.

 

 

 

3.SGA

- 통합 보안과 임베디드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는 기업.

 

- 공공분야에서의 대규모 SI 사업 수주 경험 보유.

 

- 서버보안 기업 레드게이트, 응용보안 기업 비씨큐어, 보안관제솔루션 기업 이오소프트, 종합분석시스템 전문업체 센트리솔루션 등 인수를 통해 R&D 인력 및 특허, 인증 등의 기술자산 확보.

 

- 마이크로소프트 '챗봇GPT' 관련 중대 발표 소식 속 MS와 파트너십 체결 이력 부각.

 

 

 

반응형

*애플페이 국내 상륙 확정

 

- '애플페이'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비접촉식 간편 결제 서비스이다.

 

- 2014년 첫 출시 이후 세계 75개국에서 쓰이고 있는 애플페이가, 곧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다.

 

 

 

- 현재 정확한 국내 도입일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금융당국이 지난주 애플페이 국내 도입이 가능하다고 유권해석을 내리면서 3월 중 국내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월 6일 관련주식 상승

- 애플페이 내달 출시 전망으로 2월 6일 관련주들의 상승이 나왔다.

 

- 애플페이 관련주인 하인크코리아, 한국정보통신, 이루온, 셀피글로벌 등과

 

- KG모빌리언스 등 일부 전자결제 관련주들이 상승했다.

 

 

1. KG모빌리언스

- 가상화폐/ 모바일콘텐츠/ 삼성페이/ 핀테크/ 인터넷은행/ 전자결제

 

- KG그룹 계열의 휴대폰 결제서비스 업체.

 

- 온라인 휴대폰결제를 중심으로 ARS, Phone-bill 결제, 계좌이체, 선불카드, 상품권 결제까지 다양한 결제수단을 서비스 중.

 

- M-0TP, 휴대폰 본인 확인 서비스를 영위 중이며, 온라인결제에만 사용되었던 휴대폰결제를 오프라인에도 사용할 수 있는 오프라인 휴대폰 소액결제도 서비스 중.

 

- 20년 2월 신용카드 전자결제업을 영위하는 (주) KG올렛 흡수합병.

 

 

2. 하인크코리아

- 모바일 등 IT 디바이스의 커버, 무선충전기, 이어폰 케이스와 같은 웨어러블 액세서리 제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 QR 코드나 근거리 무선통신 등으로 바로 주문이 가능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바로다를 제공 중. 

 

- 22년 12월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등의 액세서리 연구개발 및 제조, 유통업체 비엔티인터내셔널 흡수합병.

 

 

 

 

3.이루온

- 5G/ 삼성페이/ SNS/ 모바일솔루션

 

- 이동통신 솔루션 및 부가서비스 전문기업.

 

- NFC에 사용되는 무선통신 USIM 칩을 생산. 

 

 

4.한국정보통신

-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삼성페이/ 핀테크/ 전자결제

 

- 신용카드 부가가치통신망(VAN) 사업자.

 

- 신용카드단말기인 이지체크를 통해 신용카드조회서비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현대카드는 카드 결제 단말기 위탁 관리업체인 동사 등 대형 밴사 6곳 및 카드단말기 제조사와 계약을 맺고, 애플페이 서비스에 필요한 NFC(근거리무선통신) 단말기 제조 및 시스템 개발 작업에 착수함.

 

 

 

 

반응형

*삼성전자 퀄컴 구글과 확장현실 XR 기기 공동개발 선언

 

- 삼성전자가 퀄컴, 구글과 확장현실, 즉 XR 기기 공동개발을 공식 선언했다.

 

(출처 : 한국경제 TV)

 

- 구체적인 기술 개발 로드맵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삼성전자는 XR기기, 퀄컴은 반도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구글은 기기에 내장되는 운영체계(OS)와 서비스를 각자 맡아 제품을 만들 예정이다. 

 

- 아직 XR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800만 대 수준으로 스마트폰 시장의 1%에 불과하지만, 오는 2030년 스마트폰 시장과 맞먹는 연 10억 대 규모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XR이란?

- XR은 가상현실(VR), 증강 현실(AR) 및 혼합 현실(MR) 기술에 대한 총칭을 나타내는 확장 현실의 약어이다.

 

- XR 장치는 완전히 가상이든 디지털 콘텐츠를 실제 세계에 오버레이드하든 컴퓨터 생성 환경에 사용자를 몰입시키도록 설계되었다. 

 

XR기기

- XR기기의 예로는 VR헤드셋, AR스마트 안경, VR과 AR의 측면을 결합한 MR 디바이스 등이 있다. 

 

 


*2월 2일 상승종목

- 삼성전자, 퀄컴, 구글과 XR 협업 사실 공개 소식 등으로 메타버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테마가 상승이 나왔다. 

 

- 그 중 상승폭이 높은 6 종목을 살펴보자.

 

1. 신도기연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가상현실/ 증강현실

 

- 합착기 및 탈포기 등의 디스플레이 장비 및 수소연료전지 관련 장비 제조, 판매업체.

 

- OLED, 폴더블, 마이크로 LED 등의 제조에 필요한 합착기, 탈포기 등을 국내외 기업에 공급 중.

 

- 마이크로 LED는 VR, AR 등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안경형 디바이스'에 적용할 최적의 디스플레이로 평가받고 있음.

 

 

2.웨이버스

 

-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기업으로 공간정보 플랫폼 기반 사업, 국토/ 지적/ 부동산 공간정보 SI사업, 전자정부지원 사업, 공간정보 SM사업, IT 컨설팅 및 인프라 구축 사업 등을 영위.

 

- 공간정보 사업은 빅데이터, AR, VR, 메타버스 등 신사업이 발전하는데 필수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3.나무가

 

- 카메라 모듈, 부품/ 가상현실/ 스마트폰/ 갤럭시부품주/ 휴대폰부품

 

- 카메라 모듈 및 무선데이터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 생산 제품은 스마트폰/ 태블릿/노트북 카메라 모듈, 무선 데이터 모듈, 3D 깊이인식 카메라모듈 등.

 

 

4.디어유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그룹 계열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 업체.

 

- 주요 서비스인 'DearU bubble(디어유 버블)' 이라는 아티스트와 프라이빗 한 메시지로 소통하는 서비스를 출시하여 팬-아티스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신규 사업으로 메타버스 산업에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가상현실 속에서 아티스트와 교류할 수 있는 메타버스 공간 제고 예정.

 

 

5.엔피

 

- 광고콘텐츠 기획 및 제작 솔루션을 보유한 콘텐츠 크리에이티브 기업으로, 기업과 제품의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이를 광고콘텐츠로 제작하여 고객사에 납품하는 Brand Experience 사업을 영위.

 

- 메타버스의 환경까지 실시간으로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구축하여 온/ 오프라인 구분 없이 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는 XR 콘텐츠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XR기반 실감형 콘텐츠 제작을 위한 국내 최대 스케일의 LED Wall 기반 XR STAGE 보유.

 

 

6.바이브컴퍼니

-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제공업체. 

 

-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사회전반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요 기술제품은 SOFIA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AI Analytics 제품과 AI Assistant 제품 등이 있음.

 

- 메타버스 등에 활용되는 디지털 트윈 영역의 연구개발 및 사업을 진행 중.

 


 

2020.11.16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가상현실(VR) 관련주

 

[국내주식] 가상현실(VR) 관련주

-'가상현실'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을 말한다. -증강현실(AR)과의 차이점은 증강현실(AR)이 실제 현실에 가상의 정보

hjs9310.tistory.com

 

2020.11.15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증강현실(AR) 관련주

 

[국내주식] 증강현실(AR) 관련주

-증강현실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 세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마치 실제 공간에 사물

hjs9310.tistory.com

 

2021.03.07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메타버스 관련주 (Metaverse)

 

[국내주식] 메타버스 관련주 (Metaverse)

-메타버스는 가상공간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아바타 등을 활용해 소통할 수 있는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가상현실보다 진보된 개념으로 웹

hjs9310.tistory.com

 

 

 

반응형

*오아시스마켓 IPO

 

(출처 : 네이버)

 

- 오아시스는 컬리에 이은 국내 새벽 배송 업계 2위 업체이다.

 

- 지난 2011년 오프라인 매장으로 설립된 오아시스는 2018년 온라인 플랫폼 '오아시스 마켓'을 선보이며 신선식품 새벽 배송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 회사이다. 

 

 


 

오아시스마켓 IPO 일정

 

(출처 : ZDNETKorea)

 

- 오아시스마켓은 2월 7~8일 수요예측을 진행한 뒤, 14~15일 청약을 거쳐 2월 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전망이다. 

 

- 공모 주식수는 523만 6천주, 주당공모가액은 3만 500원 ~ 3만 9천500원으로 공모예정금액은 1천597억 원 ~ 2천68억 원이다. 예상 시가총액은 9천679억 원에서 1조 2천535억 원이다. 

 

 


 

 

 

오아시스마켓 관련주

 

지어소프트

 

 

-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소매유통/ 광고

 

- IT서비스와 광고사업, 이커머스 사업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 IT서비스부문은 유무선 시스템 개발, 운영, 유지보수 및 마케팅 등 IT 전 영역에 대한 토털 서비스 제공.

 

- 광고사업부문은 온/오프라인, 모바일, SNS 광고&마케팅 등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서비스를 제공.

 

- 유통 및 이커머스 사업부문은 친환경 유기농 식품을 주로 유통하는 서울 및 수도권에 7개 직영점을, 당사 및 자회사 연결 기준으로 총 37개 직영점을 운영.

 

- 신규사업으로 자회사인 (주)오아시스를 통해 이커머스 플랫폼을 마련하여 오픈마켓 운영 중.

 

 

흥국에프엔비

 

 

- 음식료업종

 

- 비열처리 프리미엄 식음료 분야의 연구개발 및 제조 전문업체.

 

- 과일농축액, 스무디와 같은 음료베이스와 주스 등의 과일/ 채소음료류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 매출은 주로 커피 프랜차이즈, 외식 프랜차이즈, 도매상, 온라인 등에서 판매하여 발생.

 

- 과일주스와 베이커리 등의 간편사업을 마켓컬리를 통해 진행.

 

- 스타벅스, 이디야 등에 제조사 개발 생산(ODM) 등의 방식으로 식음료를 납품하는 것과 함께 쿠팡, 마켓컬리, 오아시스 등에 제품을 공급.

 

 

태경케미컬

 

 

- 여름

 

- 탄산가스를 공급받아 고순도의 액체탄산과 드라이아이스의 제조 공급.

 

- 하절기에 음료 및 빙과 부문에서의 추가수요로 인한 특수 발생과 기온이 상승할 경우 수요가 증대하는 등의 계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

 

- 쿠팡, 마켓컬리, 오아시스 등 '새벽배송' 업체들을 대부분 고객사로 확보.

 

 

헥토파이낸셜

 

 

- 핀테크/ 전자결제(전자화폐)

 

- 전자금융 및 결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핀테크 업체.

 

- 간편결제 플랫폼 '010페이' 앱 내 머니 충전 수단으로 '휴대폰 소액결제' 기능을 추가.

 

- 휴대폰 결제로 머니 충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010PAY 고객들은 BNPL(선 결제 후 지불) 방식으로 010PAY 머니를 충전해 원스토어, 코레일, CJ CGV, 오아시스마켓 등 온라인 '내통장결제' 가맹점을 비롯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010PAY 체크카드'를 이용해 결제할 수 있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