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자력발전은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원자력 육성정책을 발표하면서 생성된 섹터이다.

 

 

-에너지 수요증가와 친환경 정책, 경제적인 부분 등을 감안하여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이 부각된데다 국내 업체들의 해외 원자력 발전소 건설 수주가 이어지는 등 관련 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되었지만

 

-점차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해체, 수출 산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원자력발전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원자력발전 관련주

 

 

한국전력 -환율하락 수혜/ 태양광에너지/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전력설비/ LNG(액화천연가스)/ 남북경협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판매,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기타(발전소 설계 및 정비 등) 사업을 영위.

-국내에서 독점적 시장점유율로 안정적인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해외에선 화력/ 원자력/ 수력 등의 발전사업과 유연탄, 우라늄 등의 자원개발사업 등을 영위. 또한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진행중.

-거래소 상장업체인 한전KPS, 한국전력기술(한전기술)을 비롯하여 한국수력원자력(주), 한전원자력연료(주), 한전KDN(주) 등의 계열사를 보유.

-미 콜로라도 30MW 태양광발전소를 운영중이며, 한국전력-LG CNS 컨소시엄이 미 괌 태양광발전 60MW, ESS42MWH사업 수주.

-18년 3월 미 캘리포니아 235MW 태양광발전소를 인수해 북미시장 진출 확대

-LNG(액화천연가스) 가격 하락에 따른 실적 개선효과 있음.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점도 LNG 판매가격 등 한국전력공사의 연료비와 전력 구입비를 낮추는 요인.

-셰일가스 도입으로 인한 비용감소 전망에 따른 수혜 기대감.

-상승이슈 : 전기요금 연료비연동제 도입 및 저평가 매력 부각.
에이프로젠 KIC -원자력발전

-하드페이싱, 단열공사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다수의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특수보일러 단열재를 공급.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신약 개발등을 위해 계열사 에이프로젠과 협력해 신약 개발 계획 중.

-종속회사를 통해 의약품사업 및 게임사업 등을 영위 중.

-20년 4월 (주)에이프로젠 및 (주)에이프로젠헬스케어앤게임즈를 흡수합병키로 결정.

-비보존.
한전기술 -원자력발전/ 원자력발전소 해체.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소 및 플랜트 관련 엔지니어링 업체.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수화력발전소의 설계, 발전설비 Q&M, 플랜트 건설 사업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영위.

-원자력발전소 설계사업의 경우 국내 사업은 한국수력원자력이 발주하는 국내원자력발전소의 설계 및 엔지니어링을 맡고 있음.

-신한올 3,4호기 종합설계, 신고리 5,6호기 종합설계, UAE원전 건설에 한전 컨소시엄으로 참여하여 설계기술을 해외로 수출한 바 있음.
한전KPS -원자력발전/ 원자력발전소해체/ 전력설비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설비 정비 전문업체.

-국내 발전설비정비 선도기업으로서 전력설비정비(화력, 원자력/ 양수, 송변전, 대외, 해외) 이와 관련되는 기술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영위.
태광 -원자력발전/ 조선기자재

-각종 산업용(석유화학, 정유, 발전담수, 조선업 등) 배관자재(관이음쇠류) 제조/ 판매업체.

-국내 대형 조선소, 건설업체, 화학, 원자력발전소, ENG회사 등 배관산업 전 분야에 걸쳐 국내외로 납품.
일진파워 -핵융합에너지/ 원자력발전

-발전소 경상정비공사 전문업체.

-하동화력발전소, 일산복합화력, 당진화력, 울산복합화력, 한수원 고리원자력본부 등 현재 가동중인 발전소에 인력이 상주하며 경상정비 등의 업무를 수행.

-화공기기 제조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일진에너지를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화공기기 분야에서 설계 등 기초단계부터 제작 및 설치보수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국내 화력발전소 및 석유화학, 정유 및 제철 플랜트의 경상정비 및 유지 보수공사도 수행중.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중소형 원자로(SMART) 개발사업과 다목적 연구용원자로 개발사업에 주요 파트너로 동참했으며, 핵융합 핵심 원료인 삼중수소 취급 기술을 보유.

-한국원자력 연구원과 공동 개발을 통해 트리튬 저장 용기 개발.

-핵융합 핵심 원료인 삼중수소 취급 기술 보유.
현대건설 -남북경협/ 테마파크/ 원자력발전/ GTX/ 건설대표주

-현대자동차 계열의 국내 대표적인 종합건설업체.

-힐스테이트 브랜드 보유.

-토목, 주택, 원전 시공 등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

-국내 원전 건설의 선두주자로 국내 최대 시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신고리 1,2호기와 신고리 3,4호기 시공에 대표사로 참여 중에 있으며, 국내 첫 원자력발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시공에도 참여함.
효성중공업 -전력저장장치/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수소차/ 풍력에너지

-탄소섬유 생산설비를 갖추어 국내외 시장에 수소가스 충전 전용 탄소 섬유를 공급.

-수소가스 압축패키지와 수소충전기, 수소가스 냉각 시스템 등을 대부분 국산화 함.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한 수주경부선, 호남선, 중부내륙선, 고속도로 휴게소 내 수소충전소 총 4개소 건설사업 모두 수주.

-풍력발전의 핵심 부품인 증속기와 발전기 부문에서 검증된 설계 기술과 생산 역량을 갖춤.

-미국 니콜라.

-ESS 설비 핵심 부품으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전력 계통에 공급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 주는 전력변환 장치(PCS)와 ESS운영 프로그램인 전력 제어 시스템(PMS)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는 등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음.

-영국에서 50MW급 ESS 프로젝트 수주.

-발전 후 전력의 변전 및 변압기 설치 기술 보유.

-원자력발전소용 345KV 변압기, 765KV변압기, 800KV 2점절 가스절연 개폐기 등을 국내 최초 개발했으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극초고압 차단기인 1,100KV GIS(가스절연개폐장치)를 개발함.
HRS -재난, 안전/ 원자력발전

-규소,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특수 실리콘 소재의 개발 및 제조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전기, 전자 및 자동차, 통신, 의료 등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와 원자력 발전소나 건물에 사용되는 실리콘 방화 제품을 제조, 판매중.

-10년 7월 유럽의 힐티(HILTI) 사와의 원자력발전소용 방화제 판매 독점권 부여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보성파워텍 -전기차/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전력산업 기자재 생산 전문업체.

-발전소, 변전소 철골 및 송배전 기자재 등 전력산업에 사용되는 기자재 개발 및 제작,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

-주요제품으로 중전기기류, 송배전자재류, 철구조물 등. 한국형 원자력발전소의 철골구조물을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한국전력공사에 매출이 집중됨.

-반기문

-개성공단 입주기업.
디케이락 -원자력발전/ 남, 북, 러 가스관 사업/ 수소차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제조업체.

-계장용 피팅 및 밸브는 조선, 해양플랜트, 원자력, 화력, 수력 발전설비, 반도체, CNG 및 수소용 자동차 산업, 해외 정유시설의 대형 플랜트 등에 주로 사용.

-수소차 인프라의 핵심부품인 '수소 충전소용 초고압 밸브 국산화 개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

-국내 최초로 ASME(미국 기계기술자협회)로부터 원자력 발전주기자재 제작인증서인 'N'과 부품 생산 자격인 'NPT'획득
S&TC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S&T그룹 계열로 석유화학, 석유정제 및 GAS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공랭식 열교환기와 복합화력발전소에 사용되는 배열회수보일러(H.R.S.G),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복수기,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에 사용되는 탈질설비(De NOx) 등을 생산/납품중.

-미국 Foster Wheeler North America Corp(FWNAC)와의 기술도입 계약으로 원자력발전소는 물론 화력발전소와 LNG복합화력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복수기에 대하여 설계 및 제작과 설치에 관한 국내 독점실시권을 취득.

-특히, 원자력발전분야는 미국의 FOSTER WHEELER와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을 상대로 수주활동을 진행.
비엠티 -조선기자재/ 원자력발전/ 스마트팩토리

-산업용 정밀 피팅 및 밸브, 전기분전반 생산/ 판매 업체.

-주 매출 품목인 배관자재와 전기통신자재를 국내 외 반도체, IT, 조선/ 해양플랜트, 발전(원자력), 석유가스 플랜트 건설 및 각 설비에 공급중.
우진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산업용 계측기 및 제어장치 제조/ 판매 업체.

-원자력발전소용 계측기, 철강산업용 자동화장치, 설비진단시스템, 유량계 및 유량시스템, 신소재 사업을 영위.

-축적된 계측기 관련 기술력을 응용하여 원자력발전소용 계측기를 핵심 사업으로 영위.

-이재명 (사외이사 중대동창회 회장)

-이낙연 (삼부토건 지분 보유)

-상승이슈 :  자회사 '우진 재팬'을 통한 일본 방사능 제염사업 진출 기대감.
하이록코리아 -조선기자재/ 원자력발전/ 철도

-계장용 관 이음쇠 및 밸브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

-주요 생산제품은 유압용 밸브, 초정밀 피팅, 모듈 및 기타 관련 제품으로써 Fluid & Control System 산업에서의 필수부품으로 사용됨.

-수요처는 조선, 해양, 석유화학, 발전소, 반도체, 항공산업, 플랜트, 군수 등 산업전반에 사용되고 있음.

-한국전력으로부터 원자력발전소용 초정밀 Fitting(관이음쇠)제품의 제조승인을 획득해 다수의 원자력발전소에 제품을 공급.
태웅 -조선기자재/ 원자력발전/ 풍력에너지

-원자력발전, 풍력발전, 플랜트산업, 조선 및 선박엔진, 산업기계 등 수요 산업에 사용되는 핵심 단조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자유단조 전문 제조업체.

-신규 사업으로 제강사업부를 설립 했으며, 단조사업부의 핵심 원재료로 사용되는 잉곳 및 라운드블룸을 생산/ 공급중.

-풍력산업에 사용되는 단조부품을 생산. 풍력발전용 Main Shaft, Tower Flange 등을 생산하여 세계 전문풍력 업체에 납품중.

-원자력발전 주기기에 소요되는 단조품을 생산.
금화피에스시 -원자력발전/ 전력설비

-국내외 플랜트 건설 및 발전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경상정비등을 영위 할 목적으로 설립된 플랜트 전문건설업체.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중 핵심 부분인 원자로 건설공사 시공 경험을 보유.

-원자로, 증기발생기, 터빈, 발전기 등을 설치. 신월성 1,2호 주설비공사를 수행.

 

 

한신기계 -스마트팩토리/ 원자력발전

-공기압축기 전문 제조업체.

-업계 1위 업체로 피스톤형, 스크루형의 전 기종에 걸쳐 생산 공급하는 국내 유일의 업체.

-원자력 발전소용 공기압축기를 국내 주요 원전에 공급.

-중국 청도에 현지 법인인 청도한신콤프레셔기계유한공사를 설립.

-2017년부터 AIR TANK 등을 생산.
오르비텍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항공기 부품

-원자력사업, ISI사업, 항공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원자력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선안전관리, 방사성폐기물 규제 해제, 방사선 계측사업 및 관련제품 생산/ 판매 등, ISI 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설비 가동전 /중 검사 및 비파괴기술검사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2013년에는 항공기 정밀부품 제조업에 진출하여 AS9100 국제 품질인증 획득.

-항공기 부품 제조업 영위하는 에이에스티지를 계열사로 보유.

-후쿠시마 원전 오염 지역 세슘 오염 토양 무산제얌 공정기술 및 장비개발 과제 진행 중.
LS ELECTRIC -전력저장장치(ESS)/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태양광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전기차/ 스마트팩토리

-LS그룹 계열의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제조, 공급업체.

-스마트그리드, 태양광, HVDC, 친환경 전력기기, 전기차 전장부품 등 그린에너지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중.

-태양광발전시스템 사업 및 모듈/ 인버터, 제어기기 제조 사업 영위.

-금속사업 등을 영위하는 LS메탈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ESS화재 차단 기술 개발.

-중국 ESS 시장 진출. / ESS용 PCS(전력변환장치)를 만드는 중국 기업 창저우쿤란 지분 19% 인수.

-발전 후 전력의 변전 및 변압기 설치 기술 보유. 울진 원자력 발전소 3, 4호기, 영광 원자력발전소 5, 6호기에 주제어반 및 관련 계측기기를 공급한 경험 보유.
한양이엔지 -3D낸드(NAND)/ 우주항공산업/ 원자력발전/ 반도체 장비

-반도체/ 디스플레이 유틸리티 설비 및 관련 장비 제조 업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Fab 설비에 필수적인 고순도(UHP) 특수가스설비 및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

-화학물질중앙공급장치 제조를 비롯한 일반산업플랜트, 바이오제약플랜트, 정밀화학 및 전자재료 산업설비, 태양광 관련 제조시설 등과 원자력 발전설비(원자력 폐수처리설비) 및 우주항공분야에도 진출.

-원자력 사업참여 필수 인증인 전력 산업기술기준인증(KEPIC)를 획득하고, 원자력 발전 설비부문 중 폐수처리 설비를 담당.

-코스닥 상장업체인 한양디지텍과 동일한 기업집단에 속해있으며, 한양네비콤의 지분 보유.

-특수가스설비 기술을 바탕으로 나로호 발사체 관련 설비에 참여함.

-나로호 탑재된 GPS(위성항법장치) 수신기 및 안테나를 만든 한양네비콤의 지분 보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광명전기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스마트그리드/ 태양광에너지

-수배전반 및 배전제어장치, 가스절연개폐장치(GIS)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로 원자력 발전소에 수배전관을 납품.

-중전기 전문 제조업체로 태양광발전 시스템 시공 사업도 영위.

-동사의 제품들은 빌딩과 대규모 플랜트에서 원자력발전소에 이르기까지 전력이 공급되는 모든 건물에 설치, 운영중.

-피앤씨테크(주) 지분 보유.
성광벤드 -원자력발전/ 조선기자재

-관이음쇠 전문 제조업체.

-조선업, 석유화학 플랜트사업, 원자력공사, 발전설비 산업 등에 쓰이는 금속관이음쇠(ELBOW, TEE, REDUCER 등)를 생산, 판매.

-ASME(원자력제조인증), JIS(일본공업규격), API(OIL 및 GAS 생산설비용 관이음쇠 품질보증서) 등에서 품질인증서를 취득하는 등 기술력을 보유.
조광ILI -남 북 러 가스관 사업/ 조선기자재/ 원자력발전

-산업용 밸브 생산업체로 조선기자재, 원자로 설비, 석유화학플랜트, 건설기자재 등에 사용되는 특수밸브를 생산, 판매.

-주력제품으로 안전밸브가 있음.

-가덕도 신공항(가덕도에 부동산 보유)

-상승이슈 :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 사상 최고치 경신.
GS건설 -건설대표주/ 원자력발전/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S그룹 계열의 국내 선두권 대형 종합건설업체.

-플랜트(정유/가스, 석유화학, 발전소, 전력제어), 건축, 주택("자이" 아파트 브랜드 보유), 인프라(도로, 철도) 사업 등을 영위.

-평창 알펜시아 B공구 건설사업(GS건설 컨소시엄), 수서~평택간 수도권 고속철도(평택~경부고속철도)공사, 캐나다 오일샌드 생산시설 건설 등에 참여.

-삼성물산, 대우건설과 함께 신월성원자력 1, 2호기 건설에 참여하여 원자력 사업에 진출. 현대건설, SK건설과 신울진원자력 1, 2호기 건설을 추가로 수주.
에너토크 -원자력 발전/ 수자원

-전동액츄에이터 및 감속기 제조, 판매업체.

-주요 제품인 전동엑츄에이터는 발전플랜트, 상하수도 시설, 정수장, 가스회사, 조선소 및 제철소 등에서 액체 및 기체 등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 장비임.
대림산업 -건설대표주/ GTX/ 원자력발전

-대림그룹 계열사로 건축, 토목, 플랜트 등의 종합건설사업과 석유화학사업을 영위.

-건설사업부가 영위하는 사업은 토목, 건축, 플랜트, 발전/환경사업 등이며, e편한세상 브랜드를 보유.
-원전 시공기술을 보유한 몇 안 되는 국내 건설사 중 하나.

-영광원자력 5, 6호기의 주설비공사를 진행하였으며, 영광원전 온배수 저감시설, 고리원전 소내정전 대처설비공사도 준공.

-또한, 울진 1, 2호기 증기발생기 교체(SGR)사업에서 시공자로 선정된바 있으며, 현대건설, SK건설과 신고리원자력 1, 2호기 주설비 공사에 참여.

-석유화학사업부는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화합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에 해당되며, 주요제품으로 PB, PE, FILM 등을 생산.

-유가증권 상장업체인 (주)대림건설, 대림씨엔에스(주) 등을 계열사로 보유.

-20년3월 필름 사업부문을 분할해 대림에프엔씨 주식회사 설립.

-건설사업부문 및 석유화학사업부문을 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디엘이앤씨 주식회사(가칭), 디엘케미칼 주식회사(가칭)를 설립하는 회사분할 결정
대우건설 -수자원(양적/ 질적 개선)/ 건설대표주/ GTX/ 원자력발전

-시공능력 상위의 대형종합건설업체.

-토목 및 건축, 주택, 도심재생, 발전, 플랜트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푸르지오 등의 브랜드를 보유.

-다수의 국내외 원자력발전소 관련 시공 경험과 세계적인 원전 시공 관련 기록을 보유.

-원자로 건물 및 원자로 자관설치 세계 최단기간 완공, 구조물 안정성 테스트(SIT), 종합 누설률 테스트(ILRT) 세계 최고기록 등을 보유.

-삼성물산, GS건설과 함께 신월성원자력 1,2호기 건설에 참여.
두산중공업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 발전/ 셰일가스/ 수자원/ 핵융합에너지/ 전력설비/ 풍력에너지

-두산그룹 계열사로 발전설비사업(원자력, 화력, 풍력, 열병합 등), 담수/수처리 및 산업설비사업, 주단사업, 건설사업 등을 영위.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수화 플랜트, 환경설비 등을 제작 및 공급.

-해수담수화 전 Process(다단증발법, 다중효용증발법, 역삼투압법)를 EPC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 역량 보유.

-원자로 용기 제작이 가능한 단조설비를 가진 세계적인 회사중 하나이며, 국내 첫 원자력발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주기기 공급사로 참여.

-두산인프라코어(주), 두산건설(주) 등을 자회사로 보유.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에서 대형복합화력발전 설비를 수주하는 등 다수의 복합화력발전플랜트를 건설 경험 보유.

-3MW급 풍력 발전 시스템인 WinDS 3000을 개발했으며, 국내업체 최초로 국제 형식인증 취득. 30MW 규모의 국내 최초 해상풍력단지 건설 외 국내외 다수 프로젝트에 공급.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 부품 생산에 참여.
에스앤더블류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조선기자재

-선박엔진 부품 및 산업부품(산업볼트), 단조품 생산/ 판매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선박(디젤)엔진용 부품인 엔진볼트, 밸브 및 시트링, 캠 및 캠축 등.

-두산중공업 등에 볼트, 스크류 등을 공급. 신고리/ 월성/ 울진/ 영광원자력 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원자력 ASMESEC3 볼트류를 공급.

-원전산업단지 '지사융합산업단지개발(주)' 지분을 보유중임.

-주요 매출처로는 삼성중공업(주), 현대중공업(주), HSD엔진(주), STX엔진(주), STX중공업(주), MAN B&W DIESEL 등.

-가덕도 신공항(가덕도에 인근 토지 보유.)
비에이치아이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용, 제철용 산업설비 설계/생산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HRSG(배열회수보일러),보일러, Balance of Plant 등.

-원자력 발전 보조설비(원자로에서 나오는 열을 보일러로 전달하는 열교환기를 비롯한 각종 주변기기)를 생산.

-한국 에너지 기술평가원의 정부출연과제인 사용후핵연료 수송·저장용기 차폐체 개발 진행 및 수행 완료.

-주요 고객으로는 한국전력을 비롯한 전력회사 및 발전사업자, 대형건설사, 포스코를 포함한 제철회사 등.

-LNG복합화력의 핵심설비 HRSG(폐열회수장치) 생산 업체.

-셰일가스 개발로 천연가스 발전용 배열회수 보일러 부문의 수혜 예상됨.
우리기술 -철도/ 수자원/ 원자력발전소 해체/ AI/ 원자력발전/ 풍력에너지

-제어계측 전문업체

-시스템사업(원자력, 플랜트, 철도), SOC사업, 바이오사업, 신규사업, 임대사업으로 나누어 사업을 영위.

-지능형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는 (주)케이엠씨로보틱스를 손자회사로 보유.

-자회사 씨지오와 한국석유공사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 공급업체 선정.

-플랜트 사업은 수처리, 환경, 전력, 발전 등 다양한 플랜트에 자체 보유하고 있는 제어시스템과 PLC에 기반을 둔 솔루션을 제공.

-원자력사업의 경우 원자력발전소의 감시, 경보, 제어시스템을 100%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공급, 특히 원전의 핵심기술인 계측제어설비(MMIS)는 국산화에 성공하여 세계 4번째로 원전핵심기술 보유.

-(주)우리바이옴을 종속회사로 보유.(의학 및 약학 연구 개발업체)

-상승이슈 : SK건설과 해상풍력단지 사업 관련 MOU 체결 소식에 상한가
이디티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항공기부품/ 원자력발전

-방산분야 전자/ 제어 전문업체. 유도무기 및 항공전자 관련 제어 장치를 부품으로 자체 개발 및 생산하여 납품.

-민수부분에서는 발전소용 제어분야 부품으로 화력발전소용 통합감시 제어 시스템에 공급되는 제어보드와 원자력 발전용 터빈발전기 제어분야 부품들, 철도시스템 제어 보드들을 개발, 생산. 매출 대부분은 방위산업 부문에서 발생.
이엠코리아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항공기부품/ 수소차/ 원자력발전/ 공작기계/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남북러 가스관사업/ 철도

-CNC공작기계 완제품, 방위산업제품, 발전설비제품, TBM(터널보링머신) 등을 생산하는 업체.

-k-9/21 부품, T-50 항공기 부품 등 방산부품을 생산/ 납품

-공작기계 업체이나 제주도, 전북 부안, 대구, 광주 등에 수소충전소도 구축

-공장기계제조업체/ 인공태양 건설 관련 부품 제작 계약

-수소에너지/ 수소스테이션 사업 등을 영위하는 이엠솔루션을 종속회사로 보유.

-원자력, 수력, 화력발전소 등의 스팀터빈분야에 "고압및 저압용 Valve A'ssy" 와 "Front standard" Rotor a'ssy"등 주요 핵심부품을 국산화개발/납품 진행.

 

 

 

반응형

 

-줄기세포는 신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나 조직으로 분화 가능한 미분화 세포를 뜻한다.

 

 

-다양한 세포 손상 질환 치료와 희귀병,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수 있어 의학적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다만, 줄기세포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관련한 종목들의 시세는 구체적인 실적보다는 전망이나 기대감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높다.

 

-줄기세포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줄기세포 관련주

 

 

에이치엘비 -줄기세포

-합성수지선 건조업, 구명정, GRP/GRE Pipe 제조 등의 복합소재사업 영위 업체.

-코스닥 상장사 에이치엘비생명과학과 에이치엘비파워 지분 보유.

-바이오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업체인 화진메디칼/ 화진메디스를 종속회사로 보유.

-LSK Biopartners, Inc.(USA)(엘에스케이바이오파트너스)가 미국의 Betacat제약으로부터 암줄기세포에서 Wnt/beta-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항암제인 'Tegatrabetan(BC-2059)'의 한국 권리를 획득.

-2019년 11월 27일 LSK Biopartners가 Inc. HLB USA, Inc.에 흡수합병됐으며, 이후 HLB USA,Inc는 Elevar Therapeutics,Inc로 법인명 변경.

-상승이슈 : 리보세라닙 글로벌 권리 인수 완료 소식에 에이치엘비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에이치엘비생명과학 -줄기세포

-에너지 절약관련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업체.

-주요사업으로 에너지절감 시설투자와 관련 진단에서 설계(엔지니어링), 파이낸싱(PF), 시공, 사후관리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ESCO(Energy Service Company)투자사업을 영위.

-15년 12월 인공간 및 헬스 케어, 의약품 제조, 유통에 이르기까지 바이오 관련 사업을 목적으로 추가하고 바이오 사업 진출 선언.

-의약품 도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 (주)신화어드밴스와 바이오인공간 개발 업체인 에이치엘비셀(주)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관계사 LSK Biopartners, Inc.(USA)(엘에스케이바이오파트너스)가 미국의 Betacat제약으로부터 암줄기세포에서 Wnt/beta-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항암제인 'Tegatrabetan(BC-2059)'의 한국 권리를 획득했으며, 리보세라닙(아파티닙)의 글로벌 위암 3상을 완료하고 현재 데이터 통계처리 및 허가 전략을 수립중. 

-자회사 라이프리버가 식약처로부터 다기능성 간 줄기세포 치료제인 '헤파스템' 국내 임상 2b상 진행중.

-위암치료제 리보세라닙 치료목적사용 식약처 승인.

-상승이슈 :  리보세라닙 글로벌 권리 인수 완료 소식에 에이치엘비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차바이오텍 -면역항암제/ 줄기세포/ 제대혈/ 원격진료/ 고령화사회

-바이오사업 MSO(병원경영지원)사업, 제대혈 보관사업, 세포치료제연구사업을 주로 영위하는 업체.

-세포치료제 연구개발사업, 제대혈보관 사업(가족 제대혈 은행), 바이오 인슈어런스 사업(통합 줄기세포은행), IT시스템통합, 생물소재사업(화장품 원료공급), 화장품 특판사업 등을 영위중.

-각종 난치병 및 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 및 줄기세포 관련 핵심기술(세포동결기술, 대량배양기술 등)을 보유중이며, 바이오인슈어런스 사업(통합 줄기세포 은행)도 영위중.

-업계 상위의 제대혈은행(아이코드) 업체. 제대혈 줄기세포를 보관하였다가 치료에 필요시 공급하는 보관사업을 영위.

-미 바이오 기업 소렌토와 항암 면역 세포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국내에 합작사를 설립.

-코스닥 상장사 CMG제약을 종속회사로 보유.

-차움으로 대표되는 차별적인 개인 헬스케어 사업을 진행중.
강스템바이오텍 -코로나19/ 제대혈/ 화장품/ 줄기세포

-줄기세포 치료제의 개발, 제조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동종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치료제 연구, 개발업체.

-주요 제품으로 퓨어스템-에이디®(아토피피부염), 퓨어스템-알에이®(류마티스 관절염), 퓨어스템-시디®(크론병) 등을 보유.

-자체 개발한 다분화능을 가진 줄기세포를 인간 제대혈로부터 고순도로 분리하고, 대량배양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동종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약품) 연구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판매처는 대웅제약.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화장품 업체 코스온과 줄기세포 배양액이 첨가된 화장품 브랜드 'GD11' 판매중.

-강경선 서울대 교수 (인공간 재건 영구성과 국제 학술지 게재)

-20년 5월 식약처로부터 동종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성분 퓨어스템-RA주 (FURESTEM-RA Inj.) 가 코로나19 중증 폐렴 환자 대상 치료목적 사용 승인을 획득.
테고사이언스 -줄기세포

-상처치료, 피부재생의료 및 동물대체시험 등 바이오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자기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인 홀로덤®과 동종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인 칼로덤®, 3차원배양피부모델인 네오덤®, 자기유래 배양섬유아세포치료제 로스미르® 등을 개발하여 판매. 

-18년 3월 회전근개 세포치료제(자기유래 섬유아세포치료제)(TPX-114)에 대한 제 1/3상 임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아 임상시험을 진행중이며,

-20년 3월 회전근개 세포치료제(동종유래 섬유아세포치료제)(TPX-115)에 대한 제1/2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음.

-이 외에도 구강점막, 각막 및 연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진행중.

-화장품 개발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자회사 (주)큐티젠래버러토리스를 보유.
제일약품 -줄기세포/ 코로나19

-고지혈증 치료제(리피토), 신경병성 통증치료제(뉴론틴), 진통소염제(쎄레브렉스) 등의 의약품 생산 및 판매업체.

-뇌졸증 치료제, 항암제,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등의 파이프라인을 보유중이며 인간배아 줄기세포로부터 파킨슨병의 세포치료제를 개발해 기술이전한 바 있음.

-나파모스타트 (췌장암 치료제 나파모스타트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소식 속 나파모스타트메실산염 주성분 약제 '나파몬주' 생산하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한국 화이자와의 파트너십 (성석제 대표이사가 한국화이자 부사장 출신인 점과 화이자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녹십자셀 -면역항암제/ 줄기세포/ 제대혈

-녹십자그룹 계열의 바이오업체. 항암면역세포치료제사업, 제대혈은행사업, CMO 등의 바이오사업을 영위.

-면역항암제 이뮨셀-엘씨 보유.

-이뮨셀-엘씨가 미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간암/ 뇌종양(교모세포종)/ 췌장암에 대한 희귀의약품 지정.

-차세대 면역항암제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T세포) 개발중.
코아스템 -줄기세포

-줄기세포치료제의 개발 및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 제약업체.

-줄기세포기술을 기반으로 희귀/ 난치성질환에 대한 새로운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 생산 및 판매하는 사업 영위.

-전세계에서 5번째로 줄기세포치료제의 상용화에 성공. 비임상실험대행 및 효력, 효능분석 용역 제공 사업을 하는 (주)켐온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줄기세포 치료제 '뉴로나타-알' 10월 초 임상 3상 개시 기대감.

-상승이슈 : 뉴로나타-알주의 응급임상 요청 미국 FDA 승인/
프로스테믹스 -줄기세포/ 화장품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 AAPE SERIES 등을 판매.

-신규 사업으로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및 항암치료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사업 진행 중.

-프로스테믹스가 오티케이씨앤티 흡수합병.
에스씨엠생명과학 -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치료제, 유도만능줄기세포 등 고순도/ 고효능 줄기세포치료제 연구개발 및 제조 업체.

-층분리배양법을 활용하여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급성 췌장염, 중등증-중증 아토피피부염,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간경변 등의 질환들에 대한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 중.

-발모효능을 나타내는 유효 단백질물질 'CXCL1'을 활용한 화장품 브랜드 '이로로 디어스칼프(샴푸, 트리트먼트, 세럼 등)를 개발하고 한국콜마를 통해 생산하여 판매중.

-상승이슈 : 미국 합작사 코이뮨, 백혈병 치료제 임상 1,2a 상 중간결과 치료효과 확인 소식에 상한가/
파미셀 -코로나19/ 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치료제의 제조, 판매, 연구개발, 성체줄기세포보관사업 및 줄기세포배양액 함유 화장품 개발사업 등을 담당하는 바이오사업부문과 생물화학제품 및 정밀화학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케미컬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바이오 전문업체.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셀그램 보유.

-세계 최초의 급성심근경색증 줄기세포치료제(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 개발.

-미국 FDA 승인 코로나 진단키트 제조사 '서모피셔 사이언티픽'에 원료 공급.

-각종 바이러스 진단키트의 주원료로 쓰이는 뉴클레오시드를 생산 및 판매.

-모더나 (뉴클레오시드 생산 사실 부각)

-렘데시비르 (렘데시비르 원료인 '뉴클레오시드'를 생산)

 

 

조아제약 -구충제(펜벤다졸 등)/ 줄기세포/ 마스크/ 코로나19

-의약품 및 의약외품의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2002년 조아생명공학연구소에서 체세포 복제돼지를 생산하였으며, EPO 형질전환돼지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중.

-어린이 괴질 (아스피린 성분 약품 판매사실 부각)

-형질전환 돼지 추출물서 인간성장호로몬 분리.

-미세먼지, 황사 마스크 판매중.
바이오솔루션 -줄기세포

-줄기세포 응용기술 및 조직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첨단재생의학 제품과 동물실험 대체 독성 및 효능 평가용 인체조직 모델제품 제조 업체.

-세포치료제 및 인체조직모델, 화장품 원료 사업 등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중증 화상치료를 위한 분무형 자가 피부각질세포치료제인 케라힐, 케라힐-알로 등이 있으며, 인체줄기세포 배양액  STeM水(스템수)는 주름개선, 미백, 피부 탄력 회복의 기능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 판매중.

-관절연골재생용 세포치료제 미 FDA 임상 2상 시험계획 승인에 급등.

-JP모건 컨퍼런스 참여.

-세포치료제 카티라이프, 환자 90%서 100% 연골재생 효과 확인.
마크로젠 -줄기세포/ 원격진료/ 유전자 치료제, 분석/ 고령화 사회/ 코로나19

-서울의대 유전자이식연구소를 모태로 설립된 생명공학기업.

-다양한 생물 종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결과를 발송해주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그 외 올리고 합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공급 서비스, 임상진단 서비스, 개인유전체 분석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

-신규사업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기술개발 및 판매, 특허기술을 활용한 유전자가위서비스 제공, 임상진단시약 생산판매 등을 진행중.

-모더나 (마크로젠 자회사 소마젠이 미국 모더나와 RNA 서비스 공급계약 체결)

-안철수 (서정선 회장과 안철수 의원간의 과거 서울대 의대 시절 인맥으로 시장에서 부각)

-LG생명과학과 공동으로 개인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맞춤치료 분야 연구개발 및 시장진출을 위한 포괄적 업무 협약 체결.

-지분 보유한 이뮨메드가 서울대학교병원과 임상시험용 의약품인 'VSF(virus suppressing factor)'를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치료 목적으로 사용 승인 받고 투약 진행중.
동구바이오제약 -치매/ 줄기세포

-전문의약품 생산 및 판매업체.

-다년간 피부과 시장 처방 1위를 지속하고 있으며, 비뇨기과 처방시장에서도 상위권을 점유.

-CMO(생산대행) 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줄기세포 사업(화장품 등)도 영위.

-신규사업으로 줄기세포 추출키트 "SmartX"를 출시하여 KFDA 및 FDA, CE 인증 등을 획득했으며,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 성분 화장품 "Cell Bloom"을 런칭하여 코슈메슈티컬 분야에 진입. 

-치매치료제 신약개발바이오벤쳐 (주)디앤디파마텍 지분 보유.
안트로젠 -줄기세포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및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바이오 업체.

-크론병으로 인한 누공 질환에 대한 세계 최초의 지방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인 '큐피스템'의 의약품 시판 승인을 획득하여 제품화에 성공.

-큐피스템, 줄기세포배양액 등을 주요 제품으로 판매중.

-ALLO-ASC-CD(크론병 치료제), ALLO-ASC-DFU(당뇨성 족부궤양 치료제), ALLO-ASC-EB(수포성 표피 박리증 치료제) 등 임상시험 진행중. 
메디포스트 -제대혈/ 줄기세포/ 원격진료/ 고령화사회/ 치매

-업계 상위의 제대혈 은행업체.

-제대혈 보관, 건강기능식품 판매,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및 판매사업 등을 영위.

-동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력 R&D 파이프라인인 연골 재생 동종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은 인공관절수술을 대체하는 획기적인 치료법으로 평가.

-정부의 U-Healthcare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에임메드(각종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원격의료서비스 관련 솔루션 및 컨텐츠 개발중)의 지분 보유.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주 성분으로 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뉴로스템' 개발중으로 미국 1/2a상 예정.
녹십자랩셀 -면역항암제/ 줄기세포/ 제대혈/콜드체인

-녹십자그룹 계열의 바이오업체. NK면역세포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것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면역원성 제거된 NK세포에 CAR 유전자 도입으로 CAR-NK 개발 진행중

-제대혈은행사업도 영위.

-18년4월 제대혈은행의 품질관리 능력 제고 및 표준가이드라인을 위해 유럽최고의 품질 인증기관인 독일의 TUV STU group으로부터 ISO9001:2015 인증 획득.

-18년9월 난치성 염증질환 치료용 고활성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 제작 플랫폼 기술 개발 및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 제작 원천 기술 확보.

-국내 최대 백신 회사인 녹십자의 백신을 오랫동안 유통한 바이오 물류사업부문이 있음. (저온 유통 과정에서 제품에 손상이 없을지 미리 알아보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갖춤.)

-상승이슈 :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에 콜드체인(저온유통)테마 상승.
세원셀론텍 -줄기세포/ 제대혈/ 화장품

-화학 플랜트기기(석유화학, OIL & GAS, 발전 플랜트 등의 설비), 유공압기기(자동차설비, 공작기계, 철강설비 등) 제조, 세포치료제/ 제대혈보관 사업, 콜라겐 화장품 제조/ 판매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세포치료제인 콘드론(자기유래연골 세포치료제), 오스론을 생산/ 판매.

-제대혈 은행(베이비셀) 업체. 제대혈 줄기세포를 보관하였다가 치료에 필요시 공급하는 보관사업을 영위.
네이처셀 -화장품/ 치매/ 줄기세포/ 음식료업종/ 코로나19

-음료/ 식품 사업과 줄기세포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발효 및 건강기능식품사업, 음료사업 등 식품사업과 줄기세포치료제 판매사업(판매권), 줄기세포해외임상, 줄기세포 배양배지사업,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사업 등 줄기세포사업을 영위.

-코로나19 살균소독제 출시.

-자가 줄기세포를 활용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스트로스템'은 미국 FDA에서 임상 1/2상 진행중.

-네이처셀 부모, 자녀, 형제 등의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동종 지방 유래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아스트로스템-V' 의 1/2a 임상시험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폐렴 환자 대상) / 현재 임상시험계획 보류됨.
바이온 -줄기세포/ 화장품

-줄기세포치료제 제품개발 및 건강기능식품의 원료 제조판매, 화장품 제조판매 및 부자재 생산, 자동차부품 제조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투자사 미래셀바이오, 첨생법 수혜에 따른 재평가 기대감.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업체인 (주)미래셀바이오와 화장품 기계개발 및 제작업체인 (주)코스메틱스탠다드 지분 보유.

-상승이슈 : 투자사 미래셀바이오, 난치성 배뇨장애 세포치료제 국내 임상 1/2a 상 승인에 급등.
우리들휴브레인 -의료기기/ 줄기세포/코로나19

-의료기기, 의료용품 공급 및 골질환치료 목적의 줄기세포를 연구하는 메디컬 사업부문과 휘트니스 서비스 및 기구 등을 공급하는 생활건강사업부문, 의약품을 유통하는 의약품사업부문 등을 영위.

-줄기세포의 유전자 조작 및 생산기술 개발을 통한 디스크 손상, 척추압박골절 등의 난치성 척추질환 치료제를 개발중.

-13년, 14년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분화 증가 방법 관련 특허 취득.

-종속회사인 (주)그린벨시스템즈를 통해 스토리지사업부문도 영위.

-비비비 지분보유(셀트리온+비비비 진단키트)

-추미애 관련주 (친문)

-20년3월 자체 개발 코로나19 진단키트 유럽 CE-IVD 인증 획득.

-지분을 보유중인 비비비가 셀트리온과 협업해 Mark-B 항원진단키트를 개발했으며, 해당 진단키트가 유럽 CE 인증을 획득.

 

 

 

반응형

-자율주행차란 운전자가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 차량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최근 자동차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차업체 테슬라 뿐만아니라 국내외 주요 자동차업체들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도 자율주행차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등 관련 산업 육성에 대한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자율주행차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자율주행차 관련주

 

 

현대차 -수소차/ 전기차/ 자율주행차/ 자동차대표주

-대표 차종 : 아반떼, 소나타, 그랜저, 싼타페, 팰리세이드 등.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런칭. (G80, G90, G70 등)

-친환경 자동차인 하이브리드카, 연료전지차, 수소차 등을 통해 친환경 사업도 적극 추진. (18년 수소전기차 넥쏘 출시)

-차로 추종 보조(LFA), 원격 스마트 주차보조(RSPA) 등 자율주행과 관련된 선행특허 확보 및 일부 모델에 적용.
기아차 -자동차대표주/ 자율주행차/ 수소차/ 전기차/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현대자동차 그룹의 자동차 제조 및 판매 업체.

-대표 차종으로는 K3/K5/K7/K9 등 K시리즈를 비롯해 스포티지, 쏘렌토, 카니발, 쏘울, 프라이드, 레이, 니로, 스로닉, 텔루라이드 등의 라인업을 보유.

-특수차량(군용차 등)생산.

-자율주행 브랜드 '드라이브 와이즈'를 런칭했으며, 전기차 '쏘울 EV', '니로 EV' 등에 자율주행 기술 적용.

-19년 6월 사업 파트너사인 미국 자율주행업체 '오로라'에 전략투자를하고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
현대모비스 -자동차대표주/ 수소차/ 차량용블랙박스/ 자동차부품/ 전기차/ 스마트카/ 음성인식/ 자율주행차

-현대자동차 그룹의 국내 최대 자동차부품 제조 및 판매업체.

-국내외에서 운행 중인 모든 현대, 기아차에 소요되는 보수용품의 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A/S용 부품사업을 영위.

-현대차그룹에서 스마트카 솔루션을 총괄하고 있으며, 차선이탈경보시스템(LDWS), 차선변경 안전시스템(LKAS), 차간거리유지시스템(SCC), 자동주차시스템(SPAS), 주행간타이어상태확인시스템(TPMS) 등의 부품을 생산.

-사고기록계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AVN(오디오-내비게이션)생산.

-LG화학과 리튬이온 배터리팩(모듈) 개발과 생산을 전담하는 합작사(HL그린파워)를 설립.
만도 -자동차대표주/ 전기차/ 스마트카/ 전기자전거/ 자율주행차

-한라그룹 계열사로 제동, 조향, 현가장치 등을 개발/ 생산하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샤시부품과 전자조향장치, 차선변경 안전시스템, 자동주차시스템 등 전장부품을 개발/ 생산.

-차선변경 안전시스템(LKAS), 자동주차시스템(SPAS), 자동브레이크시스템(AEB), 차간거리유지시스템(SCC), 측후방사각지대 감시/경고시스템(BSD) 등 전장부품을 개발/ 생산.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되는 회생제동시스템 개발 및 정부의 자전거 산업 육성 사업 참여를 통해 체인이 없는 페달식 전기자전거를 세계 최초 개발.

-만도는 ADAS와 관련해 585개 특허 보유. '레벨2' 수준의 ADAS를 현대차, 기아차 주요모델에 납품. 레벨2는 고속도로 등에서 운전자가 손을 놓고 차량이 자율주행하는 수준.

-아마존 배송차량에 첨단운전자시스템(ADAS) 부품 등 공급 예정.
삼성전자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업체.

-신사업으로 자율주행차 관련 사업 추진.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개발 진행중.

-이탈리아 피아트크라이슬러 오토모티브(FCA)의 부품 계열사 마그네티마렐리 인수 추진.

-삼성벤처투자를 통해 미 델파이와 자율주행차 핵심부품 개발업체 쿼너지에 공동투자.

-자동차 전장부품업체인 미국의 하만인터내셔널 인수.
LG전자 -가상현실/ 전력저장장치(ESS)/ 마이크로LED/ LED/ 자율주행차/ 태블릿PC/ 4차산업수혜주/ 공기청정기/ AI/ 스마트폰/ IT대표주/ 5G/ 무선충전기술/ OLED/ 제습기/ 태양광에너지

-LG그룹 계열의 글로벌 가전 및 정보 통신기기 제조업체.

-구글 등 세계적 기업들과 자율주행차 개발 프로젝트를 공동 진행중.

-미 반도체업체 프리스케일사와 차세대 자율주행차용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핵심부품을 공동 개발하고 있음.
SK하이닉스 -IT대표주/ 반도체대표주/ 3D낸드/ 아이폰/ 자율주행차/ 태블릿PC/ 시스템반도체

-SK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

-주력 생산제품은 DRAM과 낸드플래시 및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아이폰X에 듀얼 렌즈 및 3D Sensing 기술 적용 등에 따른 3D NAND 탑재량 증가 전망.

-세계 최초로 CTF(Charge Trap Flash) 기반 4D 낸드플래시 구조의 96단 512Gb TLC (Triple Level Cell)낸드플래시 개발에 성공 및 128단 1Tb TLC 4D NAND 개발.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개발 진행중.
KT -드론/ 자율주행차/ 4차산업 수혜주/ 통신/ 5G/ RFID/ 핀테크/ 블록체인/ 스마트홈/ 클라우드컴퓨팅/ 모바일콘텐츠/ 인터넷은행

-국내 대표적인 종합통신사업자.

-차량 안전주행 보조시스템(ADAS) 개발업체 카비에 20억원 투자 결정.

-현대차, BMW, 벤츠 등 국내외 자동차 업체와 자율주행 관련 협력 체결.

-평창동계올림픽을 대비해 5G 자율주행버스 시범 운행.

-초저지연 영상전송 시스템 개발 및 5G 자율주행 시스템내 적용.
NAVER -가상화폐/ 블록체인/ 4차산업 수혜주/ 핀테크/ 모바일콘텐츠/ 모바일게임/ 인터넷대표주/ 게임/ SNS/ K뉴딜지수/ 음성인식/ 자율주행차

-인터넷포털서비스 네이버(한국, 일본)와 글로벌 메신저 LINE(라인) 등을 서비스 중.

-일본 자회사 라인(LINE)을 통해 블록체인 비즈니스 실시.

-자회사 네이버랩스가 자율주행차 기반 카셰어링(차량공유) 사업 진출을 추진중이며, IT업계 최초로 국토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 받음.
삼성전기 -자율주행차/ PCB/ 무선충전기술/ 갤럭시부품주/ 아이폰/ 폴더블폰/ MLCC

-종합전자부품 메이커

-모듈솔루션 사업부문(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등), 컴포넌트솔루션 사업부(MLCC, Inductor, Chip Resistor 등), 기판솔루션 사업부문(반도체패키지판, 고밀도다층기판, RFPCB 등) 을 영위.

-자율주행차 MLCC 생산. 전장용 MLCC 수요는 자율주행차 수요에 힘입어 초과 성장이 전망됨.
SK텔레콤 -4차산업 수혜주/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차/ 블록체인/ 통신/ 5G/ 스마토홈/ RFID

-SK그룹 계열의 국내 1위 통신사업자.

-서울대 지능형자동차 IT연구센터(IVIT연구센터)와 차량통신 및 영상인식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탐지거리를 확대하는 기술 공동 개발.

-인텔 등과 자율주행 기술 및 서비스의 공동 연구/ 개발을 진행중.
LG이노텍 -아이폰/ 무선충전기술/ 휴대폰부품/ 카메라모듈, 부품/ LED/ 자율주행차/ 스마트카/ 스마트폰

-LG그룹 계열의 첨단 소재/ 전자부품 전문업체로 차량용 카메라 등과 차량전장용 부품 등 전기 전자 제품 제조, 판매.

-18년 자율주행차용 통신모듈 C-V2X 개발했으며, 19년 10월 세계 최초 5G 퀄컴칩 기반 차량용 통신모듈 개발.

-아이폰X에 사용되는 RFPCB 및 듀얼 카메라 모듈, 무선충전모듈, 3D센싱 모듈 생산.
에이스테크 -통신장비/ 5G/ 스마트폰/ 4차산업/ RFID/ 자율주행차

-무선통신사업(고주파부품, Radio System, 기지국안테나, 모바일안테나)과 무선통신기술에 기반한 방산 및 차량용레이더안테나 사업을 영위.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무선통신기술에 기반한 방위산업 사업 영위. 방산용안테나 부문 개발업체(2008~)

-5G (삼성전자, 에릭슨) / 기지국 (스몰셀) 장비 및 부품 [안테나, RRH, RF부품, 스몰셀]

-RFID 안테나, RF Filter를 생산/ 판매. 중국에 현지공장을 설립하여 RF부품을 생산.

-안전주행 보조시스템(ADAS)을 구성하는 여러 센서 가운데 전파 특성을 이용해 물체의 거리와 각도, 속도를 탐지하는 차량용 레이더 관련 특허기술 보유.
엠씨넥스 -자율주행/ 스마트카/ 드론/ 바이오인식/ 갤럭시부품/ 차량용블랙박스/ 휴대폰부품/ 카메라모듈, 부품

-카메라 모듈 전문업체.

-초소형 카메라모듈 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카메라모듈(휴대폰용, 차량용 등) 및 기타모듈 (IP카메라, 블랙박스, MVR, 생체인식, 로봇 등)을 생산.

-차선이탈경보카메라(LDWS), 통신핸들조향연계 후방카메라(CAN), 졸음방지(DSM카메라), 나이트비젼 등을 개발중.

-'360도 어라운드 뷰(사방영상)' 시스템 기술 보유.

-드론용 카메라 사업에 진출.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Kyocera 등 국내/외 휴대폰 업체와 현대모비스, S&T모티브 등 자동차 관련 업체 등.

-갤럭시S 시리즈부터 보급형 스마트폰(M 등)까지 라인업을 다양화하여 카메라 모듈 등을 공급.
팅크웨어 -증강현실/ 자율주행차/ 차량용블랙박스

-내비게이션 및 Map S/W,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용 엑세서리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 상표로 아이나비 시리즈 등을 보유.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아이나비X1'을 출시하고 영화나 만화 속의 증강 현실 기술을 상용화함.

-순수 팅크웨어 기술력으로 구현한 증강현실 솔루션 익스트림 AR은 내비게이션 도로 영상에 경로정보를 결합해 실시간 길안내 제공.

-운전자 안전 보조 기능이 탑재한 자사 최초의 ADAS 전용단말기 상품 출시.

 

 

쌍용차 -자율주행차/ 자동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비중이 높은 자동차 제조/ 판매업체.

-CKD(반제품 상태 수출) 부품 등도 생산, 판매.

-평택공장(본사)에서 G4렉스턴, 렉스턴 스포츠, 뉴 코란도C, 코란도 스포츠, 티볼리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창원공장에서는 상기 차량의 가솔린 및 디젤 엔진 등을 생산.

-기초적인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불리는 차선유지보조시스템(LKAS), 스마트하이빔(HBA) 등의 기술을 자체 차량에 적용.

-상승이슈 : 최대주주 인도 마힌드라 그룹, 동사 채무 대신 변제 발언/
하이비젼시스템 -아이폰/ 3D프린터/ 자율주행차/ 카메라모듈, 부품/ 스마트폰/ 가상현실(VR)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에 들어가는 초소형 카메라모듈(CCM)의 자동검사시스템 전문업체.

-주요 상표로는 CCM 자동화 검사장비 부문 HVT-305 시리즈 등, 영상평가장치 및 기타부문 HylMAGE Pro V 시리즈 등, SD프린터 부문 CUBICON 시리즈 등.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LG이노텍 등.

-아이폰의 듀얼카메라, 3D센싱 카메라 탑재로 인해 카메라 관련주로 부각.

-가상현실(VR) 3D 콘텐츠에 대한 수요 증가. (3D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듀얼카메라 탑재 비중을 높이고, 그에 따라 듀얼카메라용 검사 장비 공급.)

-자율주행용 비젼센서 검사장비 개발.

-테슬라 자율주행 차량에 자율주행용 카메라 검사장비와 영상 처리보드 납품.

-자회사 퓨런티어, 글로벌 자동차 부품 회사에 자율주행 카메라모듈 캘리브레이션 장비를 공급.
아이쓰리시스템 -의료기기/ 자율주행차/ 방위산업

-적외선 영상센서 전문업체. 방산제품 매출비중 높음.

-자율주행의 기술로 알려진 적외선 영상센서 제조기술 보유. 자동차 야간 장애물 감지나, 자동긴급제동 (AEB)용 초소형 적외선 MEMS칩 개발 중.

-인텔 엣지 AI 솔루션 기반 및 코로나19 방역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발열측정 열영상 카메라의 기술 혁신과 사업 협력을 위한 MOU진행.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차량용블랙박스/ 스마트카/ 자율주행차/ 4차산업 수혜주

-자동차관련 전자부품 개발업체.

-커넥티드 및 자율주행 관련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내비게이션, HUD(Head Up Display), 자율주행과 관련된 안전보조장치인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차량용 블랙박스 등을 개발, 제조.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유통/ 판매업체 현대폰터스(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상승이슈 : 테슬라, 완전자율주행차 출시 기대감/ 현대차, 미래모빌리티 전담조직 신설/ 문 대통령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차 상용화 추진/
코리아에프티 -자율주행차

-자동차 연료탱크 내부 증발가스 포집 장치인 캐니스터, 연료 주입구와 연료탱크관 연결관인 플라스틱 필러넥, 차량 내부 인테리어 부품 등을 생산.

-신규사업으로 자율주행차 핵심기술인 자동긴급제동시스템(AEBS) 소프트웨어 센서 칩 '스마트코리아에프티 뉴로모픽 디텍터(SKND)'를 개발.
드림텍 -바이오인식(생체인식)/ 자율주행차/ 갤럭시 부품주/ LED/ 코로나19

-스마트폰용 PBA 모듈, 디스플레이 PBA모듈, 지문인식센서모듈, 헬스케어/ 의료기기 제품, IT 기술을 접목한 Convergence제품, 차량용 LED모듈, ADAS 모듈 및 HUD 모듈 등의 다변화 된 사업구성을 보유한 EMS 및 ODM 전문 기업.

-삼성전자의 1차 벤더.

-카메라 모듈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상장사 (주)나무가와 IT기기에 사용되는 광학센서와 센서 패키징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엑센도(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Galaxy S, Note 시리즈와 같은 Flagship 제품 및 A시리즈 등 중저가 제품에 각종 모듈, 부품을 공급하거나, 제품 및 완제품을 위탁생산하여 납품.

-2010년부터 삼성 갤럭시S 시리즈에 부품 공급을 개시했으며, 2016년 삼성향 지문센서 모듈 공급.

-ADAS 모듈 및 HUD 모듈 등의 사업 영위.

-관계사인 에이아이매틱스의 ADAS 제품 관련 모듈 공급 중.

-이스라엘 스타트업체 나노센트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모니터링용 '전자코 솔루션' 상용화 추진중. 20년 7월 전자코솔루션 유럽통합안정인증(CE) 체외진단기기 등록 완료.
옵트론텍 -카메라모듈, 부품/ 갤럭시 부품/ 자율주행차/ 휴대폰부품

-유리기반의 광학부품 전문기업.

-광학렌즈(CCTV, 차량용카메라, 프로젝터 등) 및 광학필터(휴대폰(스마트폰 포함) 등 모바일기기, 적외선 응용 카메라 등), 가변조리개(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등을 생산.

-전장 기반의 ODM 사업을 위하여 광학설계, 기구설계, 회로설계 기술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장용 자율주행시스템(Level 4)에 적용되는 카메라 렌즈의 개발에 성공하여 공급을 진행중.

-자율주행 카메라 렌즈 광학계 특허 취득.

-갤럭시 S10 시리즈에 카메라 필터를 납품.
칩스앤미디어 -자율주행차/ 가상현실

-비디오분야에 특화된 반도체 IP 전문업체.

-주요상표 : BODA, CODA 등.

-자율주행차 반도체 업체인 NXP에 부품 공급.

-MCU칩 설계사. 주요 매출품목은 영상칩 특허로열티 49%, 영상칩 라이선스 48%.

-VR(가상현실) 기기에 탑재되는 주요 코덱 기술 보유. (보유한 비디오 IP 기술이 VR 기기향 매출로 이어질 수 있음.)
한국단자 -전기차/ LED/ 자동차부품/ 자율주행차

-자동차 및 전자용 초정밀 커넥터를 주력 생산하는 종합 부품제조업체.

-자동차, 하이브리드카에 적용되는 커넥터들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LED TV 및 조명용 리드프레임 등도 생산.

-개성공단 입주기업.

-현대/ 기아차, 한국GM 등의 1차 전장업체와 가전업체인 삼성전자, LG전자 등에 제품 납품.

-자율주행차 개발에 따른 커넥터 수요 증가 전망.
유니트론텍 -자율주행차

-전자제품 제조 및 판매, 전자부품 및 반제품 무역과 도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19년 6월 산자부 주관 AI 기반 자율주행 모듈 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 참여 기업 선정 및 관련 기업 투자를 통해 자율주행 사업을 추진중.

-종속회사 지피아이, LG화학에 2차전지 필수 공정 장비인 디가싱 장비 공급.
라닉스 -자율주행/ 보안주(정보)/ 시스템반도체

-자동차와 사물인터넷의 핵심기술인 무선통신과 보안 및 인증관련 시스템반도체, LPWAN 플랫폼 사업 등을 영위하는 토털 시스템반도체 솔루션 업체.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핵심기술인 DSRC(단거리 전용통신) 통신 솔루션과 협력-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기술인 V2X 통신 통합 솔루션을 개발하여 고속도로 하이패스 시스템, 주차장 관리 시스템, 교통정보 시스템 사업 등을 영위.

-매출 대부분은 DSRC 칩과 모듈 등에서 발생.

-V2X(차량사물통신) 통합 솔루션 개발.
모트렉스 -스마트카/ 자율주행차

-운전자와 차량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Automotive HMI 기술을 바탕으로 IVI제품을 생산하여 판매 중인 자동차부품 업체.

-향후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율주행차량 시대에 대비하여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ADAS) 시장을 겨냥한 Head Up Display(이하 “HUD”), Dashcam 등을 개발하여 판매할 예정.

-전장 IT 사업 등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 현대/기아차 신흥국(인도, 멕시코, 호주 등) 수출 차량에 주력으로 제품 공급.

-아마존 알렉사 오토 적용 및 개발을 위한 MOU체결. (아마존 인공지능 비서 알렉사 탑재한 전기승합차 공개)
삼보모터스 -수소차/ 자율주행차/ 전기차

-현대기아차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개발소식에 강세.

-현대차와 수소차 연료전지 관련 기술을 공동개발.

-자회사 프라코가 스마트크루즈컨트롤(SCC) 커버 개발에 성공해 현대차 제네시스 'EQ900'과 'i30 유럽형' 에 공급.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관련 부품 등도 개발 중.

-이재명 (대표이사가 대구 안동향우회 회장)
인포뱅크 -모바일콘텐츠/ SNS/ 핀테크/ 자율주행차/ 전자결제/ 스마트카/ 모바일솔루션

-서비스사업(기업용메시징서비스 및 양방향미디어서비스, 스마트카 서비스 등), 기타사업(S/W 개발 및 솔루션 등) 영위 업체.

-양방향 미디어 서비스의 경우 지상파 및 주요 케이블 및 DMB 등 방송 부문의 독점체제를 구축했으며, 방송용 통합 플랫폼 '엠앤스튜디오 3.0'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제휴 관계를 확대 중.

-지식경제부 주관의 WBS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스마트카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차량용 전자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분야에도 진출.

-현대차 그룹에 스마트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급.

-이재명(성남창조경영 CEO포럼 운영위원)
켐트로닉스 -자율주행차/ 무선충전기술/ 갤럭시부품/ 스마트폰/ LCD부품, 소재/ 전자파

-전자용 부품 및 화학소재 전문업체.

-TV PBA 분야에서 국내 점유율 1위 기록.

-폴더블폰용 고경도 기능성 코팅액 및 폴더블용 UTG(Ultra Thin Glass) 개발중.

-신규사업으로 V2X 통신 기술 (자율주행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등) 개발.

-주요 매출처 동진쎄미켐, LG화학, 동우화인켐, KCC 등.

 

 

유니퀘스트 -자율주행차/ 바이오인식/ 4차산업 수혜주

-특정 지역 및 고객사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영업 및 테크니컬 마케팅 등을 전문으로 하는 반도체 솔루션 공급업체.

-무선단말기, 디지털 가전기기, 통신기기 등에 사용되는 비메모리 반도체 판매 및 솔루션 제공사업 영위.

-AI 기반의 자율주행 영상인식 알고리즘 연구/ 개발 업체인 (주)에이아이매틱스를 종속회사로 보유.

-현대/ 기아차에 LDW(차선이탈경보)를 공급한 바 있으며, ADAS 핵심기술인 알고리즘 기술을 통하여 모빌아이처럼 ADAS Chip 을 자체 생산 중.
아이에이 -시스템반도체/ 수소차/ 자율주행차/ 전기차/ 스마트카

-비메모리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으로 수소차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전력 반도체, 전력 모듈, 전력제어 변환 분야로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해 기술 개발에 매진 중.

-2020년 이후 국내 최초로 수소차 핵심부품인 고전력 SIC반도체를 양산할 계획.

-자동차 전장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중이며, 현대/ 기아차와 자동차용 반도체를 국산화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차량 인포테인먼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반도체를 국산화 하는 등 다양한 반도체를 개발.

-이 외 멀티미디어 통신 및 ASIC (주문형 반도체 설계) 분야와 관련된 사업을 영위 중.

-2017년 12월 자율주행용 ADAS 핵심 기술인 '카메라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국책 과제 참여.
텔레칩스 -증강현실(AR)/ 휴대폰부품/ 자율주행차/ 태블릿PC/ 스마트폰/ 시스템반도체

-디지털미디어 프로세서 등 멀티미디어와 통신관련 시장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제품에 필요한 핵심 칩 및 토탈솔루션을 개발/ 판매하는 비메모리 반도체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 DMP, Mobile TV 수신칩 등.

-카오디오, Display Audio, AVN(Audio/Video/Navigation) 등의 차량용 전장 제품에 AP 등 멀티미디어칩, 모바일 TV 수신칩, Connectivity 모듈을 공급.

-자동차 오디오ㆍ비디오ㆍ내비게이션 (AVN)용 반도체 AP칩, 셋톱박스 AP칩을 국산화.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구현해 낸 스마트글래스 시제품 개발한 경험 있음.
한라홀딩스 -자율주행차

-Halla(한라) 및 Mando(만도) 브랜드 권리를 소유하면서 지주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 용품 판매 및 유통 등의 사업도 영위.

-코스피 상장사 만도, 한라를 비롯해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 등을 자회사로 보유.

-동사와 독일 헬라(Hella)의 조인트벤처인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가 제동 및 조향 장치용 ECU, 센서류(Yaw&G, Torque, Wheel Speed Sensor 등) 및 ADAS용 센서를 생산 및 판매중.
캠시스 -갤럭시 부품주/ 스마트폰/ 전기차/ 카메라 모듈, 부품/ 휴대폰부품/ 자율주행차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생체정보인식 및 정보보안기술 응용제품, 전기자동차 및 관련 핵심부품에 대한 사업 영위 업체.

-휴대폰 카메라모듈을 주력 아이템으로 개발, 생산.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 공급. 해외 고객사로는 일본의 파나소닉 등.

-갤럭시 S10 시리즈에 전면 카메라 모듈을 공급.

-스마트카의 자율주행을 위한 실시간 센싱융합처리가 가능한 커넥티드 드라이빙 컴퓨팅 시스템, 클라우드 기반의 자율이동 서비스를 위한 협력적 주행 상황인지 및 개방형 플랫폼 기술 개발 국책과제 완료.

-이재명 (대표 중앙대 동문)
디에이테크놀로지 -2차전지/ 자율주행차

-2차전지 생산설비 제조 전문 기업.

-2차전지 설비 장폭 셀 스태킹 개발 완료.

-18년 11월 에스모, 위즈돔, 엔디엠과 함께 한국형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과 공유차량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4자간 MOU체결.

-동사와 위즈돔은 공유차량 서비스 활성화 및 자율주행 차량 도입을 위한 시범서비스 운영 등을 담당할 계획.
세코닉스 -카메라모듈, 부품/ 가상현실(VR)/ 갤럭시부품주/ 스마트카/ 휴대폰부품/ 자율주행차

-초정밀 카메라 렌즈 전문 제조업체.

-스마트폰용 카메라 렌즈, 차량용 카메라 렌즈, 광학부품 및 LED 확산렌즈 등을 생산.

-광량 LED 국산화를 통한 복합기능 LED 전조등 개발.

-MEGA급 디지털 카메라, 조향연동카메라, LDWS(차선인식), LKAS(차선유지지원), FCW(전방추돌경고), 이더넷 카메라, HBA(하이빔어시스트), DSM(운전자졸음인식), 사이드미러리스, HUD(헤드업디스플레이) 등의 기술 개발.

-주요 고객사로는 현대모비스, 르노삼성, 미국 젠텍스 등이 있음

-삼성전자 ‘기어 VR’에 초정밀 렌즈 제품을 납품.

-갤럭시S10 시리즈에 카메라 렌즈를 공급.
에이테크솔루션 -자율주행차

-대형 정밀 금형 전문업체.

-주력 금형인 가전용 사출금형으로는 DTV, 에어콘, 냉장고, 세탁기 외관금형이 있으며,

-디스플레이용 금형으로는 DTV 내부 Frame 금형, 모니터 금형이 있음.

-자동차금형으로는 대형 고장력 PRESS금형, 인테리어 사출금형, 범퍼, Inpanel 등 모든 부문의 금형을 제작.

-주요 매출처는 삼성 계열, 현대기아차계열, 계양전기 등.
대성엘텍 -자율주행차/ 자동차부품/ 4차산업수혜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으로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인 ADAS 시스템 및 AVM 제품군인 FCWS(전방추돌방지시스템), LDWS(차선이탈방지시스템) 등을 개발.

-17년5월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데이터 저장 장치(ADR) 기술개발 국책과제에 선정
트루윈 -자율주행차/ 5G

-자동차 운행에 있어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엑셀, 브레이크 및 엔진에 적용되는 센서(IR SENSOR, APS, BPS, TPS 등) 및 액츄에이터(OCV 등)를 개발, 제조 및 공급하는 업체.

-인쇄전자기술, 카메라 및 이미지 센서 기술을 보유.

-자율주행차 관련 '레이더 개발' 진행 중.

-자율주행자동차 등의 수요 증가에 대응 가능한 비즈니스모델 수립 등을 목적으로 18년8월 (주)시리우스를 흡수합병해 적외선 이미지(IR) 센서 개발 및 판매사업 영위.
앤씨앤 -CCTV&DVR/ 시스템반도체/ 차량용블랙박스/ 자율주행차/ 보안주

-영상보안장비에 특화된 멀티미디어 팹리스 반도체 설계업체.

-CCTV카메라와 DVR과 같은 영상보안기기의 영상처리반도체를 주로 생산중.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전문업체 (주)베이다스를 자회사로 보유.

-베이다스는 3D 어라운드뷰 모니터 관련 특허권 보유. 베이다스가 중국 롱혼 사와 어라운드뷰 모니터 시스템 공급계약 체결.

-19년 1월 차량용 블랙박스를 제조, 판매하는 앤커넥트를 흡수합병.

-19년 1월 주식회사 넥스트칩 물적분할. (자동차 카메라용 영상처리칩 사업)
THE MIDONG -자율주행차/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용 블랙박스 전문업체.

-유라이브 브랜드 및 ODM 브랜드를 통해 Full-HD, HD, VGA 등의 제품군을 출시.

-차선이탈경보기능(LDWS)를 선두로 앞차추돌경보 기능(FCWS)까지 탑재된 제품을 선보였으며, 이후 보행자 인식 알고리즘, 졸음운전경보, 앞차출발알림 기능등 영상 탐지 기반 알고리즘을 시장상황에 맞게 순차적으로 제품화할 예정.

-자체 보유한 영상인식 및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카 산업인 ADAS(첨단운전자 보조지원 시스템) 제품인 유라이브 알바트로스3 골드, 유라이브 알바트로스3등을 출시.

-상승이슈 : 테슬라 완전자율주행차 출시 기대감/ 현대차 미래 모빌리티 전담주직 신설/
파인디지털 -음성인식/ 자율주행차/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용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등을 개발, 판매하는 업체.

-'파인드라이브(Fine Drive)' 브랜드로 내비게이션을 생산하고 있으며, 음성인식 내비게이션을 국내 최초로 선보임.

-또한, '파인뷰(FineVu)' 브랜드로 우수한 기술력과 차별화된 디자인을 바탕으로 고급형블랙박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보급형 제품군도 출시.

-자회사인 (주)맵퍼스를 통해 전자지도 '아틀란, 파인맵'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음.
한국테크놀로지 -3D프린터/ 원자력발전소 해체/ 황사,미세먼지/ 자율주행차

-자동차 전장 및 기술엔지니어링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중.

-자동차 전장 사업은 ADAS 및 디지털 클러스터, 스마트카 커넥티비티 및 클라우드시스템 개발, 제조, 유통 등을 영위 중이며,

-기술엔지니어링 사업으로 고수분 저급석탄의 고품위화 사업, 석탄건조설비 및 발전설비 경상정비 사업, 통합 관제시스템구축사업을 영위.

-건설 사업을 영위하는 대우조선해양건설(주)을 (주)한국인베스트먼트뱅크를 통해 보유

-현대차, 국민대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발주한 총 500억원 규모의 '대중교통 시스템 연구와 V2X 상용차(트럭)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과제 공모'에 참여했으며, 18년6월 자율주행 연구개발 사업자로 선정돼 개발에 착수.
엔지스테크널러지 -자율주행차/ 4차산업 수혜주/ 모바일콘텐츠

-커넥티드카 솔루션 및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외부통신망과 효율적으로연결시켜주는 독자적인 커넥티드카 솔루션 기술인 "Nav-Link" 솔루션 및 커넥티드카의 중요한 컨텐츠인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Bring Go"를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

-"Nav-Link" 솔루션은 GM에서 생산되는 차종(SPARK, SONIC, TRAX 등과 같은 중,소형 차)에서 적용되고 있음.

-커넥티드카의 통신모듈 탑재와 함께 필수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OTA(Over the Air) 솔루션'을 개발했으며, 미래 자율주행차의 핵심기술인 Connected ADAS 관련하여 'e-Horizon 솔루션'을 선행 개발 중.

 

 

반응형

 

-국내 보험시장의 60~70%를 차지하고 있는 생명보험은 사람의 생사를 보험사고로 하고, 보험사고 발생시 손해의 유무나 다소를 불문하고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정액보험이란 점에서 보험사고 발생 시 그 손해를 실손보상하는 손해보험과는 차이가 있다. 

 

 

 

-생명보험 섹터는 금리 상승시 수혜 기대감, 보험손익 개선 전망, 코로나19 백신 기대감에 미국 금리 급등, 배당 매력 부각 등의 이슈로 상승한다.

 

-생명보험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생명보험 관련주

 

 

삼성생명 -생명보험

-삼성그룹 계열의 생명보험사로 국내 생명보험 시장점유율 상위권 업체.

-그룹 내 핵심 계열사 지분 보유.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삼성증권, 호텔신라, 삼성카드 등)

-최대주주 이건희. 주요주주 국민연금, 이마트.
코리안리 -생명보험/ 손해보험

-국내 유일의 전업 재보험 (보험회사가 인수한 계약의 일부를 다른 보험 회사에 인수시키는 것으로 '보험을 위한 보험'임) 회사.

-손해보험업과 생명보험업 영위.
한화생명 -인터넷은행/ 생명보험

-한화그룹 계열로 국내 최초로 설립된 생명보험사.

-주요 종속회사로 한화63시티, 한화자산운용, 한화손해사정, 한화라이프에셋, 한화손해보험 등을 보유.
미래에셋생명 -생명보험

-미래에셋금융그룹 계열의 업계 상위 생명보험사.

-개인보험(보장성보험, 생사혼합 보험, 생존(연금)보험, 변액 보험 등)과 단체보험(퇴직연금/ 보험, 단체보장성보험/ 저축성보험 등) 상품을 판매.

-특히, 노후준비 및 은퇴설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역량 및 최적화된 포지셔닝을 보유.

-18년 3월 PCA 생명 흡수합병.
동양생명 -생명보험

-업계 중위권 생명보험사.

-2009년 10월 국내 생명보험사 중 최초로 증시에 상장.

-'수호천사' 브랜드를 통해 높은 소비자인지도 보유.

-2013년 12월 동양그룹 기업어음(CP) 사태 이후 독립경영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동양그룹으로부터 계열분리.

 

 

 

반응형

 

- 손해보험은 생명보험의 주요보장은 물론 화재보험, 자동차보험, 배상책임보험과 각종 기업보험에 이르기까지 폭넓고 다양한 위험을 보장하나, 보험사고 발생시 물건 또는 그 밖의 재산적 손실을 보상하는 점(실손보상)에서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는 정액보험인 생명보험과 차이가 있다.

 

 

(출처 : 브릿지경제)

 

-손해보험 섹터는 금리 상승시 수혜 기대감, 손해율 개선 전망, 배당 매력 부각 등의 이슈로 상승한다.

 

-손해보험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손해보험 관련주

 

 

삼성화재 -손해보험

-삼성그룹 계열사로 화재, 해상, 자동차, 상해, 배상책임, 장기손해보험 등의 손해보험상품을 취급하는 업계 상위권 손해보험사.

-제3보험업과 개인연금, 퇴직연금, 각종 대출상품 등 다양한 금융상품도 판매.

-최대주주 삼성생명, 주요주주 국민연금공단.
코리안리 -생명보험/ 손해보험

-국내 유일의 전업 재보험(보험회사가 인수한 계약의 일부를 다른 보험 회사에 인수시키는 것으로 '보험을 위한 보험'임)회사.

-손해보험업과 생명보험업 영위.
DB손해보험 -손해보험

-DB그룹 계열의 업계 상위 종합 손해보험사.

-자동차, 장기, 특종, 개인연금, 화재, 해상, 해외원보험 등의 손해보험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DB금융투자, DB생명보험 등의 지분 보유.
흥국화재 -손해보험

-태광그룹 계열의 손해보험사.

-화재, 해상, 특종보험 등의 일반보험과 자동차보험, 질병, 상해, 재물 등의 장기손해보험업 등을 주력으로 영위중.
메리츠화재 -손해보험

-국내 최초로 설립된 메리츠금융그룹 계열의 종합손해보험사.

-장기 보장성보험 중심의 매출 전략이 강점.

-11년 3월 투자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해 메리츠금융지주를 설립.
롯데손해보험 -손해보험

-자동차, 화재, 해상 등의 손해보험 사업 및 이를 위한 자산운용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한화손해보험 -손해보험

-한화그룹 계열의 손해보험 회사.

-손해보험 및 겸영가능한 보험과 이를 위한 자산운용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현대해상 -손해보험

-업계 상위권 손해보험회사.

-국내 손해보험산업의 선두주자로서 해상, 화재, 자동차, 특종, 장기, 연금 및 퇴직보험(연금) 등 손해보험 전 부문에 걸쳐 사업을 영위.

-현대하이카손해사정(주), 현대하이라이프손해사정(주) 등을 100% 자회사로 보유.

 

 

 

반응형

 

-편의점은 주로 도로변이나 주택가 등 이용하기 편리한 곳에 입지하여 식료품을 중심으로 다품종 상품을 소량으로 판매하는 점포이다.

 

 

-대부분 프랜차이즈 가맹점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편의점은 연중 무휴,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에 더해 최근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비 문화 패턴의 변화로 이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편의점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편의점 관련주

 

 

롯데지주 -편의점

-구 롯데제과가 식품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함에 따라 투자사업 부문을 영위하는 롯데그룹 지주회사.

-롯데쇼핑, 롯데칠성음료, 롯데푸드 등의 투자사업 부문을 분할합병한 뒤 변경상장.

-롯데제과(주), 롯데칠성음료(주), 롯데쇼핑(주), (주)호텔롯데, 롯데케미칼(주) 등의 계열사를 보유.

-주요 종속회사인 코리아세븐이 편의점 사업을 운영중.
GS리테일 -편의점/ 소매유통/ 인터넷은행

-GS그룹 계열의 종합 유통업체.

-편의점사업(GS25)과 슈퍼마켓사업(GS슈퍼마켓) 등 기업형 소매유통업을 전문으로 영위.

-17년 6월 (주)왓슨스코리아를 소규모합병 완료해 H&B사업(랄라블라)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

-18년 1월 물류전문회사 '(주)지에스네트웍스'를 출범.

-파르나스호텔(주)을 주요 종속 회사로 보유.
유성티엔에스 -종합물류/ 편의점

-철강재 전문 종합물류업체로 공로운송, 하역, 철도운송 등 물류 전반에 걸친 활동을 수행중.

-물류부문에서는 포스코, 동부제철, 현대제철 등 국내 주요 철강업체와 다년간 물류계약을 체결하고 있고, 제지(전주페이퍼), 화학제품(롯데케미칼), 건설자재(삼성물산), 곡물(팜스코, 선진) 등 다양한 품목들로 영역을 확대함.

-휴게소사업부문은 화서(상주방향)편의시설/ 주유소, 구정(동해방향) 주유소, 치악(치악/ 부산방향)주유소, 서여주(마산/양평방향)편의시설/ 주유소, 문의(상주방향) 임시휴게소 사업장에서 매출이 발생.
BGF리테일 -소매유통/ 편의점

-BGF 계열의 편의점 업체.

-편의점 브랜드 CU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편의점 업계 1~2위를 다투는 사업자임.

-종속회사로 BGF푸드, BGF로지스 등을 보유.
이마트 -소매유통/ 편의점

-국내 대형마트 1위 업체.

-2011년 6월 기존 신세계의 백화점 부문과 이마트 부문 중 이마트부문이 기업 분할되어 재상장 됨.

-연결대상에 포함된 주요 종속 회사들이 영위하는 주요 사업으로는 호텔, 리조트업(신세계 조선호텔), 단체급식/ 외식 및 식품유통업(신세계푸드), 슈퍼마켓사업(이마트에브리데이), 편의점사업(이마트24), 부동산업(신세계프라퍼티, 스타필드청라, 스타필드고양) 등이 있음.

 

 

반응형

 

-카카오 뱅크의 기업공개(IPO) 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관련주들이 주목 받고 있다.

 

 

(출처 : 한국경제)

 

-카카오뱅크의 기업가치는 최대 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지난 10월~11월 진행한 1조원 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9조 6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달 초 IPO대표 주관사로 KB증권과 크레디트스위스(CS)를 선정했고, 내년 하반기 상장을 위한 준비가 착실히 진행되고 있다.

 

-카카오뱅크와 관련 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카카오뱅크 관련주

 

 

카카오 -가상화폐/ 블록체인/ 인터넷은행/ 핀테크/ 모바일콘텐츠/ 인터넷대표주/ 엔터테인먼트/ 음원, 음반/ SNS/ K-뉴딜지수/ 음성인식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디지털 음원사이트인 멜론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방탄소년단 음반 판매 증가 소식으로 인한 수혜주로 부각.

-국내 대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다음 운영을 통해 검색, 이메일,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제공중.

-모바일 결제 서비스 사업 진출 및 자회사 GroundX 등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 연구 진행중.

-19년 6월 그라운드X가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의 메인넷을 정식 출시.

-결제/ 송금(카카오페이), 인터넷 전문은행(카카오뱅크), 투자(카카오페이증권), 생활금융(내문서함, 인증 등) 등 금융산업 벨류체인 전체를 아우르는 핀테크 공룡으로 거듭 나고 있음.

-카카오M을 흡수합병해 음반 기획, 제작, 판매 및 온라인 음원 유통사업과 종속회사 (주)스타쉽엔터테인먼트,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 등을 통해 매니지먼트 사업 영위.

-카카오뱅크 지분 33.5% 보유.
예스24 -인터넷은행

-인터넷서점 중심의 인터넷 전문쇼핑몰 업체.

-도서, 음반, DVD, 기프트상품, 티켓예매(영화, 공연), eBook/ e러닝 등의 다양한 문화상품을 취급.

-전자책 콘텐츠 확보를 위해 (주)한국이퍼브(동사가 최대주주이며, 대형서점, 출판사, 언론사 등이 공동으로 출자)를 설립.

-카카오뱅크 상장주관사 선정 돌입 소식 속 지분 가치 부각.

-카카오뱅크 지분 139%(18일 일부 사모펀드에 매각. 지분 1.87%에서 1.39%로 줄어듬)
한세예스24홀딩스 -지주사

-상장사인 예스24 (온라인서점 사업), 한세실업(의류수출기업)과 비상장사인 동아출판, 한세드림(주), (주)에프알제이 등을 자회사로 보유한 지주회사.

-카카오뱅크 지분 1.39%를 보유한 예스24의 지주회사로, 예스24 지분 50.01% 보유.
넷마블 -가상현실(VR)/ 모바일게임/ 게임/ K-뉴딜지수/ 증강현실(AR)

-모바일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사업 영위업체.

-주요 게임으로는 리니지2:레볼루션, 모두의 마블, 세븐나이츠, 레이븐, 마구마구, 쿠키잼 등이 있음.

-VR, AR 기술이 적용된 모바일 낚시게임 '피싱스트라이크' 출시하는 등 가상현실, 증강현실 관련 사업 진출.

-(주)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지분 보유.
(넷마블의 방준혁 의장과 방시혁 대표는 혈연관계로서 친척관계, 빅히트 지분 25%를 가지고 있으며 BTS기반 IP로 만든 모바일게임 선보임)

-카카오뱅크 지분 3.52% 보유.
KB금융 -지주사/ 인터넷은행/ 은행

-KB금융그룹의 금융지주회사. 자회사 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은행업(KB국민은행, KB저축은행), 신용카드업(KB국민카드), 금융투자업(KB증권, KB자산운용, KB부동산신탁, KB인베스트먼트), 보험업(KB생명보험, KB손해보험), 기타(KB신용정보, KB데이타시스템) 등.

-KB금융의 자회사(지분 100%)인 국민은행이 카카오뱅크 지분 9.86% 보유.
한국금융지주 -종합 투자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금융지주회사.

-한국투자증권(주)을 비롯하여 (주)한국투자 저축은행, (주)한국투자 저축은행 한국투자파트너스 등을 종속 회사로 보유.

-카카오뱅크 지분 보유. (카카오뱅크 자회사 지분 포함 33.53% 보유)

 

 

반응형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에 무선충전 기술이 적용되면서 무선전력전송 기술 관련 업체들이 부각받고 있다.

 

 

-애플과 삼성전자가 관련 특허 등록에 주도적으로 나서고 있는 등 글로벌 기업들의 무선전력 전송 기술 개발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무선충전기술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삼성전자 -스마트홈/ 의료기기/ 가상현실/ 고령화 사회/ 공기청정기/ RFID/ 스마트폰/ 5G/ 삼성페이/ LED/ 태블릿PC/ 시스템반도체/ 제습기/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4차산업 수혜주/ OLED/ 무선충전기술/ 3D 낸드/ 자율주행차/ IT대표주/ 아이폰/ 마이크로 LED/ 반도체 대표주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업체.

-IM 사업부문에서 NFC 기능이 장착된 스마트폰 출시.

-2013년 출시한 스마트폰 갤럭시 S4에 자기유도방식의 무선충전 기술을 적용.

-갤럭시 S6 이상의 플래그쉽 모델에 무선충전 기술을 탑재.
LG전자 -가상현실/ 전력저장장치(ESS)/ 마이크로LED/ LED/ 자율주행차/ 태블릿PC/ 4차산업 수혜주/ 공기청정기/ AI/ 스마트폰/ IT대표주/ 5G/ 무선충전기술/ OLED/ 제습기/ 태양광에너지

-LG그룹 계열의 글로벌 가전 및 정보통신기기 제조업체.

-자사 스마트폰을 위해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충전기를 개발.
LG이노텍 -아이폰/ 무선충전기술/ 휴대폰부품/ 카메라모듈, 부품/ LED/자율주행차/ 스마트카/ 스마트폰

-LG그룹 계열의 첨단 소재/ 전자부품 전문업체로 차량용 카메라 등과 차량 전장용 부품 등 전기 전자 제품 제조, 판매.

-아이폰X에 사용되는 RFPCB및 듀얼 카메라 모듈, 무선충전모듈, 3D센싱 모듈 생산.

-유선 충전기와 동급 성능 구현하는 무선충전 송신 모듈 개발.
삼성전기 -자율주행차/ PCB/ 무선충전기술/ 갤럭시 부품주/ 아이폰/ 폴더블폰/ MLCC

-종합전자부품 메이커

-갤럭시 시리즈용 무선충전 모듈 생산.

-퀄컴 등 대형 업체 무선충전기술 가운데 하나인 자기공진방식의 표준화를 추진.
LS -전력설비/ 무선충전기술/ 지주사/ 풍력에너지/ 전선

-자회사 LS전선이 국내 최초로 풍력발전용 전선과 풍력발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또한 LS엠트론은 풍력 발전설비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인 울트라커패시터(UC)를 개발.

-자회사 LS전선이 무선 충전 모듈을 개발.

-갤럭시 S2 및 아이폰 4S용 무선충전기 "차버"를 출시(Qi 인증)한 바 있으며, 13년2월 세계에서 가장 얇은 스마트폰 용 무선충전 모듈 개발.
한솔테크닉스 -휴대폰부품/ 아이폰/ 삼성페이/ LCD 부품, 소재/ 무선충전기술/ LCD BLU제조/ LED/ 갤럭시 부품주/ 태양광에너지

-한솔그룹 계열로 파워모듈 부품, BLU제품, LED 잉곳/ 웨이퍼, 태양광 모듈, 휴대폰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하는 업체.

-무선충전 벨류체인 보유. / 아이폰X가 무선충전기능을 탑재했으며, 글로벌 핸드셋 업체들의 무선충전 기능 탑재로 수혜 전망.

-갤럭시 S10 일부 시리즈에 휴대폰용 무선충전 모듈을 공급.

-삼성전자의 BLU 공급업체.

-태양광 모듈을 제조하는 태양광 사업을 영위.
이랜텍 -갤럭시 부품주/ 무선충전기술/ 2차전지/ 휴대폰 부품/ 가상현실/ 증강현실

-휴대폰 및 노트북용 배터리 팩과 휴대폰 케이스 등을 생산하는 업체.

-인도 향 중저가 스마트폰 확대에 따라 케이스 매출이 늘어날 거라는 분석 있음.

-삼성전자 및 삼성SDI로의 매출이 대부분임.

-갤럭시S10 시리즈에 메탈케이스를 공급.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구현해 낸 스마트 글라스 시제품 개발.

-무선충전 융합 기술에 대한 국책과제를 진행함.

-상승이슈 : 2차전지 배터리팩 사업 성장 기대감.
포스코 ICT -SI/ 스마트홈/ 인터넷은행/ 스마트그리드/ 황사, 미세먼지/ 무선충전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전기차/ 전력저장장치/ 스마트팩토리

-POSCO가 설립한 IT서비스사업 및 엔지니어링 사업 영위업체.

-포스코ICT 설립 당시 주요 사업은 시스템통합과 시스템관리 등 IT관련 서비스 사업.

-2010년 이후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컨설팅에서 설계, 구축, 연영, 유지보수에 이르는 종합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에 주력.

-주요 전략 사업분야는 스마트팩토리 사업, 스마트IT사업, 환경솔루션사업, 에너지저장장치사업, 에너지최적화 사업 등.

-포스코 패밀리사 등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중.

-포스코 건설 브랜드 더샵에 첨단 시스템 개발. (특히 아파트 벽면에 충전기를 매립하여 휴대용 단말기 (핸드폰, 원패스카드 등)를 일반 콘센트에 연결하지 않고도 충전을 할 수 있는 벽체매립형 무선충전기를 포스코건설, LS전선과 공동으로 개발)

-전력저장장치(ESS) : 국내 최대 규모의 대용량 ESS 시험센터 완공(2014)/ 일본 ESS시장 진출/ LG화학에 ESS 구축 등.
알에프텍 -휴대폰부품/ 갤럭시 부품주/ 스마트폰/ LED/ 5G/ 삼성페이/ 무선충전기술/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모바일 부가기기(이동통신 단말기 부가제품) 사업과 LED 조명기기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모바일 부가기기 사업이 매출 대부분 차지)

-생산제품은 ODM(자체개발주문자상표부착) 방식으로 주로 삼성전자에 납품.

-갤럭시 S9에 무선충전 송신기(Tx) 및 수신기(Rx)를 공급한 바 있음.

-20년 4월 필러 등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회사 (주)알에프바이오 설립.

-20년 6월 자회사 알에프바이오(20년 4월 물적분할)가 세계 최초로 벌꿀에서 보툴리눔균 분리 동정(분리 후 식별) 성공 및 국가관리 번호 부여받음.
켐트로닉스 -자율주행차/ 무선충전기술/ 갤럭시 부품/ 스마트폰/ LCD 부품, 소재/ 전자파

-전자용 부품 및 화학소재 전문업체.

-TV PBA 분야에서 국내 점유율 1위 기록.

-신규사업으로 무선충전 기술과 V2X 통신기술 사업도 진행 중.

-갤럭시 S10 시리즈 및 갤럭시 버즈에 무선충전 송신기(Tx) 납품.

-폴더블폰용 고경도 기능성 코팅액 및 폴더블용 UTG(Ultra Thin Glass) 개발중.

-신규사업으로 V2X 통신기술(자율주행 차량용 스마트 안테나 등) 개발.

-주요 매출처 동진쎄미켐, LG화학, 동우화인켐, KCC 등.

 

 

반응형

-석유화학이란 나프타, 천연가스를 원료로 에틸렌, BTX원료를 생산하는 공업과 이들 기초유분을 원료로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을 생산하는 공업을 총칭한다.

 

(석유화학 및 수요산업의 생산계통도 출처 : http://www.kpia.or.kr/)

 

-중간 소재산업으로서 공급 능력과 경쟁력 확보에 따라 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자본집약적이며 고부가가치의 장치 산업이다.

 

-석유화학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석유화학 관련주

 

LG화학 -석유화학/ 바이오시밀러/ 백신, 진단시약, 방역/ 고령화사회/ 태블릿PC/ OLED/ 2차전지/ 아이폰/ 전력저장장치/ 전기차

-LG그룹 계열의 국내 대표적인 화학기업.

-석유화학사업과 전지사업, 첨단소재사업 등을 영위.

-석유화학사업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 기초 제품으로부터 PE, PVC/가소제, ABS, EP, 아크릴/SAP, 합성고무, 특수수지 등 Downstream 제품까지 수직계열화 되어 있음.

-전지사업부문에서는 모바일 기기 등에 쓰이는 소형 리튬이온 전지와 전기차 및 ESS에 탑재되는 중대형 전지를 생산/ 판매중.

-첨단소재 부문에서는 EP, OLED 편광판, LCD재료, 양극재, 수처리 RD필터, OLED재료 등을 생산/ 판매중.

-생명과학사업부문에서는 당뇨신약 '제미글로'를 비롯하여, 인간성장호르몬제 '유트로핀',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유셉트' 등의 의약품을 생산.
SK이노베이션 -폴더블폰/ 전력저장장치(ESS)/ 전기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2차전지/ 석유화학/ LPG(액화석유가스)/ 자원개발/ 정유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 기업.

-석유개발, Battery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동시에 SK에너지(정유), SK종합화학(석유화학), SK루브리컨츠(윤활유), SK모바일에너지(리튬전지 제조) 등을 주요 자회사로 보유한 사업지주회사.

-SK종합화학을 통해 석유화학사업을 영위. SK종합화학은 나프타 등을 원료로 하여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기초유분과 중간유도품 등을 생산 중.

-배터리 사업의 경우 전기차 및 ESS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 제조.
SK케미칼 -석유화학/ 백신, 진단시약, 방역/ 치매/코로나19

-기존 SK케미칼에서 Green Chemicals 사업과 Life Science 사업이 인적분할됨에 따라 재상장된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Green Chemicals 부문에서 Bottle용 PET수지, 고기능성 Copolyester 수지, 탄소섬유 Prepreg, 접착제용 폴리에스터수지 등이 있음.

-Life Science 부문에서는 국내 최초 신약인 항암제 선플라, 천연물 신약 1호 관절염치료제 조인스, 발기부전 치료 신약 엠빅스 등의 신약 개발에 성공한 R&D 역량을 바탕으로 합성, 천연물, 개량신약, 백신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중.

-대상포진백신 '스카이조스터' 개발.

-18년7월 백신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주)를 설립.

-국내 최초 치매패치제 미 FDA 승인

-나파모스타트 관련주 (주사용 후탄 판매사실 부각)
효성화학 -석유화학

-(주)효성에서 화학사업이 인적분할 되어 재상장된 업체.

-PP, TPA, Nylon Film, PET Film, NF3 Gas, TAC Flim 등의 산업용화학 제품 등을 생산.

-신규사업으로 세계 최초로 고분자 신소재인 '폴리케톤'을 개발.
KPX케미칼 -석유화학

-KPX홀딩스 계열의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체.

-PPG(폴리우레탄의 원료로 성규화학 공업계통도상 중간단계 제품) 및 PURESIN(폴리우레탄수지), CHEMICAL(LCD용 세정제), CMP PAD(반도체 소모성 원료) 등을 생산.

-PPG사업부문 시장점유율 업계 1위를 점유하고 있음.
그린케미칼 -석유화학/ 온실가스(탄소배출권)

-KPX홀딩스그룹 계열의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 및 판매업체.

-에톡시레이트(EOA:계면활성제), 에탄올아민(ETA), 디메칠카보네이트(DMC),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을 제조/ 판매.

-이산화탄소 감축, 유용화 기술 보유.

-상승이슈 : 국책과제를 통해 OCU 기술 개발중/
코오롱인더 -폴더블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화학섬유/ 패션, 의류/ 수소차/ LCD부품, 소재

-코오롱의 제조사업이 분사되어 신설된 제조회사.

-산업자재, 샤무드, 화학소재(석유수지, 하이레놀, 하이록시, PU/TPU, GRP관 등), 필름/전자재료, 패션 등의 사업을 영위.

-국내 자동차 부품인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 장치 개발.

-코오롱글로텍, 코오롱플라스틱, 코오롱머티리얼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양산라인을 구축.
삼양사 -석유화학/ 음식료업종

-삼양그룹 계열사로 식품사업 (설탕, 밀가루, 유지, 홈메이드 제품 등)과 화학사업(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ET용기, 이온교환수지, 터치패널용 소재, 폴리머 등) 등을 영위하는 업체.

-수소차이온교환필터 소재 개발.
애경유화 -2차전지/ 석유화학

-애경그룹 계열사로 무수프탈산 및 가소제류 제품을 생산하는 석유화학 전문업체.

-주요 원재료인 알코올 등의 가격은 국제유가에 의해 변동됨.

-전지소재의 국산화를 위해 고용량, 고안정성, 고출력의 고성능 전지 소재 개발중.

-xEV 전지용으로 하드카본 양산 납품중.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참여(WPM 사업)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관련 특허권 보유.
대한유화 -석유화학/ 2차전지

-석유화학 제품 및 산업용 가스 제품 생산업체.

-산업용 가스의 제조 및 판매, 액화석유가스(LPG) 판매하는 (주) 코리아에어텍을 종속회사로 보유.

-2차전지 분리막에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생산중.

-분리막용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WPE) 관련 기술도 보유중.
태광산업 -석유화학/ 홈쇼핑/ 화학섬유/ 케이블TV SO/MSO

-태광그룹 계열로 PTA, AN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부문과 원사 및 직물 등을 생산하는 섬유부문 사업을 영위.

-개성공단 입주기업.

-(주)우리홈쇼핑, LG유플러스 등의 지분 보유.
한화솔루션 -일 수출 규제/ 석유화학/ 태양광에너지

-한화그룹 계열의 종합화학 기업.

-PE(폴리에틸렌)에서 PVC(폴리염화비닐) 및 CA(염소/ 가성소다), TDI(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생상체계를 구축.

-2014년부터 태양광의 핵심소재인 폴리실리콘을 상업생산중.

-자동차부품, 산업용 소재,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하는 고기능성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공기업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흡수합병.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태양전지 및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 및 판매업체 에이치에스아이(구 한화큐셀) 등을 보유.
금호석유 -탄소나노튜브(CNT)/ 석유화학

-합성고무, 합성수지, 정밀화학 등 석유화학제품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타이어, 신발, 장갑 등에 사용되는 합성고무(SBR,BR, NBR, LATEX 등),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 부품, 건자재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PS, ABS, EPS, PPG 등), 정밀화학(노화방지제, 가황촉진제 등) 제품 등을 생산중.

-다양한 분야에 응용 적용될 수 있는 CNT소재 및 응용소재 물질을 제조 및 판매중.
SKC -2차전지/ 폴더블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태양광에너지

-SK그룹 계열의 석유화학 전문업체.

-화학사업을 통해 폴리우레탄사업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프로필렌옥사이드 제품 등을 생산, 판매.

-Industry 소재사업을 통해 태양전지용 PET필름, EVA 시트 등을 생산.

-LCD, 태양전지, 일반 산업재에 부품으로 사용되는 PET 필름 등을 생산/ 판매하는 Industry 소재사업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중.

-주요 자회사로 SKC솔믹스, SK텔레시스 등이 있음.

-종속회사 에스케이씨에프티홀딩스 주식회사 통해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인 동박 제조업을 영위하는 KCF테크놀로지스 인수.

-화학제품 제조 및 판매부문을 분할하여 신설회사 SK피아이씨글로벌을 설립.

-2019년 10월 SKC 충북 진천공장에 투명 PI필름 생산설비를 준공.
동성화학 -석유화학

-신발 관련 정밀 화학제품 제조 및 판매 업체.

-주요 매출 품목은 신발창용 폴리우레탄과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등.

-2011년 말 세계 2번째, 국내 최초로 멜라민폼 개발에 성공.

-2013년 4월 멜라민폼 전용 생산공장을 완공하여 멜라민폼의 양산체제를 구축.

-현재 생산되고 있는 VIXUM 제품은 생활용 Cleaner 및 산업용과 수송기 등의 흡음/ 단열재로 판매.
이수화학 -석유화학

-이수그룹 계열의 석유화학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합성세제 원료인 연성알킬벤젠(LAB) 및 노말파라핀(NP) 등이 있으며, 연성알킬벤젠(LAB)과 노말파라핀(NP)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중.

-상승이슈 :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IPA 수요 급증
롯데케미칼 -석유화학

-롯데그룹 계열의 석유화학업체.

-기초유분, 모노머, 폴리머 계열의 석유화학 제품군을 연구, 개발, 제조, 판매.

-2013년 1월 케이피케미칼을 흡수 합병.

-20년 1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 롯데첨단소재(주)를 흡수합병.

-합성수지 및 합성원료 등의 제품을 가공성형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는 국내외 가공성형업체를 주시장으로 하여 판매 및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석유화학의 기초원료인 나프타의 수급 및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받음.

 

 

반응형

-도시가스는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허가를 받은 사업자가 가스관을 통해 일반 수용가에 가스를 공급한다.

 

 

-대중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일반기업과 달리 공익 사업으로 취급되어 요금/설비/품질 등을 법률로 규제하고 있다.

 

-도시가스는 관련주들은 허가받은 지역내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기 때문에 매출과 이익이 일정하고, 일반적으로 배당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고배당주로서 증시 침체기에 주목받는 경향이 있다.

 

-도시가스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도시가스 관련주

 

 

부산가스 -겨울/ 도시가스

-SK그룹 계열의 도시가스 공급업체.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천연가스를 인도 받아 부산광역시 전역에 도시가스를 공급함.

경동도시가스 -겨울/ 도시가스

-기존 경동도시가스(현 경동인베스트)에서 도시가스사업부문이 인적분할돼 신규 설립된 업체.

-경동홀딩스그룹 계열사로 울산, 양산지역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음.

한국가스공사 -환율하락수혜/ 도시가스/ 겨울/ 셰일가스/ LNG(액화천연가스)/ 자원개발

-천연가스 도입 및 도매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보유한 정부출자 공기업.

-해외의 천연가스 생산지로부터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

-수익원 다각화와 안정적인 도입원 확보를 위해 해외사업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가스자원 탐사/ 개발사업, 액화사업 및 지분투자(모잠비크 Area 4 해상광구 탐사 사업, 사이프러스 해상 광구 자원개발사업 등) 사업에도 참여.

-캐나다 비전통 가스사업 참여를 계기로 셰일가스/ 치밀가스 등 비전통 가스의 탐사 및 개발 역량 강화.

삼천리 -LNG(액화천연가스)/ 도시가스/ 겨울

-경기도 서/남부 지역과 인천광역시 일부 지역에 도시가스를 공급중인 도시가스 공급 업체.

-집단에너지(열병합 발전소, 열전용 보일러 등), 신/재생에너지, 플랜트 사업도 진행중임.

-17년 4월 폐기물 처리업체 신승에너지 종속회사 편입.

-주요 종속회사인 (주)에스파워가 경기도 안산시 소재 MTV(멀티 테크노밸리)에 834MW급 LNG 복합화력발전소를 착공하여 2014년 11월 부터 상업운전을 개시.

예스코홀딩스 -겨울/ 도시가스

-LS그룹 계열의 지주회사.

-18년 4월 기존 도시가스 사업부문을 단순/ 물적분할함에 따라 지주사업 영위.

-서울 및 경기도 지역 등을 기반으로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분할 신설업체 (주)예스코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으며, 도시가스 수요자 관리대행업체 (주)예스코서비스, 가스 관련기기제작 및 판매업체 대한가스기기(주), 상/ 하수도설비업 및 하/폐수처리시설 운영 대행업체 (주)예스코이에스, 사업지원 서비스업체 (주)한성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지에스이 -도시가스/ 겨울

-서부경남지역(진주, 사천, 함양, 거창, 하동 등) 도시가스공급사업 영위.

-2004년부터 정부의 CNG버스 보급사업에 동참하여 현재 2곳의 CNG 차량 충전소를 운영중.

-대부분 매출이 도시가스에서 발생.

-안철수

-도시가스 파이프라인 활용 수소생산설비 관련 그린뉴딜 수혜 기대감.

대성에너지 -겨울/ 도시가스

-대성그룹 계열의 대구지역 기반 도시가스 공급업체.

-대구광역시와 경산시,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 도시가스를 공급 중.

-시내버스용 연료공급을 위한 천연가스 충전소를 운영.

대성홀딩스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도시가스/ 겨울/ 교육, 온라인교육

-대성그룹 계열로 종속회사 업무지원 등을 위한 경영지원본부 역할을 하고 있으며, IT사업(시스템 통합, 통산판매업 및 유선전화 서비스 등)과 교육 콘텐츠사업(교육 솔루션개발, 콘텐츠 제공 및 이러닝교육 관련 서비스 제공 등) 등을 영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는 대성에너지(주), 대성창업투자(주), 대성글로벌네트웍(주), 대성환경에너지(주), 대성청정에너지(주) 등을 보유.

-가스제조 및 공급업체 대성에너지(주)와 대성청정에너지(주) 등을 자회사로 보유.

인천도시가스 -겨울/ 도시가스

-도시가스 공급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한국가스공사의 주배관망을 통해 천연가스를 구입해 지구 및 지역정압기를 통해 공급압력을 조절한 후 공급권역의 수요가에게 당사 배관 등의 시설을 통해 판매하는 방식.

-가스시설설비 공사업체 인주엔지니어링 주식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포함.

서울가스 -자원개발/ 겨울/ 도시가스

-서울지역(강서구 등 11개구), 경기지역(고양, 김포, 파주 등) 도시가스(LNG) 공급업체.

-한국석유공사 등과 같이 컨소시엄 지분참여로 해외자원개발 사업도 영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