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 네이버)

 

-나경원 전 원내대표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나경원 관련주

 

오텍 -고령화사회/ 재난, 안전/ 여름/ 공기청정기/ 코로나19(음압병실)

-특수차량 제조 전문기업.

-최첨단 한국형 앰뷸런스와 복지차량, 암검진 및 전문 진료차량, 냉동 탑차 등 특수 물류차량, 의료기기, 기타 자동차부품 등을 생산.

-장애인승용차, 장애인버스, 이동식 목욕차량 등도 생산.

-냉난방기기 및 공조관련제품 생산업체인 오텍캐리어(주)를 계열사로 보유.

-한국터치스크린 지분 보유.(터치패널 제조업체)

-확진자 이송에 필요한 음압특수 구급차를 제작.

-나경원 (회사 생산 제품인 저상버스에 대해 긍정적 발언을 한 것을 계기로 테마주로 묶임)
한창 -대북주 관광/ 재난, 안전

-소화기 제조, 판매 유통업체. 국내 가스소화설비 전국 제조 업체.

-지구온난화 환경문제에 따라 미래 지속사용 가능한 노벡 청정소화약제가스 소화설비 제품 출시.

-이 외 호텔임대사업과 부동산 개발사업, 수산물 유통사업(러시아산 대게 및 킹크랩 유통) 등을 영위.

-18년 6월 강원도 위플러스자산운용(주)과 '평화크루즈 및 환동해권 해상 교역망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

-윤석열 (최승환 대표이사가 서울대 법대 동문)

-나경원 (대표이사가 나후보와 서울대학교 법학과 동문)

 

 

반응형

 

-서울시장/ 부산시장 보권선거가 2021.4.7일에 치뤄진다.

 

(네이버 : 인물정보)

-서울시장 후보 중 한명인 박영선 장관에 대해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박영선 관련주

 

 

제이티 -반도체장비

-반도체 검사 장비 전문 제조 업체.

-주력 제품으로 반도체 검사 장비는 Test Handler, Burn-In Sorter 등이 있으며, 주요고객은 삼성전자, SK hynix, Micron 등임.

-19년 6월 특수가스사업부 영업 양도.

-박영선 (사외이사가 서강대학교 동문)

-상승이슈 : D램 슈퍼사이클 전망에 따른 수혜 기대감.
제이씨현시스템 -재택근무, 스마트워크/ 차량용블랙박스/ 가상화폐/ 가상현실/ 드론

-컴퓨터 관련 제품 및 통합배선솔루션, 드론 제품 등의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컴퓨터 관련사업은 PC부품 및 주변기기 제품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기가바이트 테크놀로지, AMD등 국내외 굴지의 컴퓨터 기기 제조사와 제휴해 제품 마케팅 및 공급을 담당.

-드론은 중국 드론 제조사 DJI의 전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VR은 대만 HTC사의 'VIVE' 제품을 공급중.

-(주)엘림넷을 통해 네트워크 및 정보보안, 온라인 화상회의 솔루션, 온라인 미디어 및 기타 온라인 솔루션 사업도 영위.

-자회사 엘림넷, 미 화상회의 관련업체 비됴사의 한국 총판 업체로 부각.

-계열사 디앤디컴이 비트코인 채굴전용 메인보드 생산업체 애즈락의 국내 총판 담당.

-박영선 (과거 서울형 가상화폐를 만들자고 제안)
iMBC -미디어(방송/신문)

-MBC그룹 인터넷 자회사로서 그룹 대표 사이트(www.imbc.com)를 기반으로 디지털콘텐츠사업, 웹에이전시 및 광고, 프로모션, 수수료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종속회사인 (주)아이포터를 통해 국제배송대행 사업을 진행중.

-박영선 (MBC아나운서, 기자 출신이라는 점 부각)

 

 

 

'주식공부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주식] 겨울 관련주  (0) 2021.01.05
[국내주식] 나경원 관련주  (0) 2021.01.05
[국내주식] 테슬라 관련주  (2) 2021.01.04
[국내주식] 종합상사 관련주  (0) 2021.01.04
[국내주식] 영화 관련주  (2) 2021.01.03
반응형

 

-테슬라는 미국의 실리콘밸리를 개반으로 한, 전기차 및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에 사용되는 동력 엔진 등을 설계, 제작, 생산, 판매 하는 업체이다.

 

 

-테슬라는 2020년 49만 9550만대를 판매해 월가 전망치를 웃돌았고, 2020년 판매 총액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각각 36%, 40% 씩 늘었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동안 전 세계적으로 신차 수요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판매량은 급증했고 주가도 우상향 중이다.

 

-테슬라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테슬라 관련주

 

계양전기 -김진표 관련주

-전동공구, 농업용 소형엔진, 산업용구(에어공구, 절삭공구, 측정공구, 용접기 등) 등의 산업용품사업과 자동차용 모터 등의 전장품사업을 영위.

-현대/ 기아자동차 중형 이상 차종 대부분에 Seat용 모터를 납품중.

-테슬라 모델3에 전자파킹브레이크 모터를 납품.

-상승이슈 : LG전자, 마그나사와 전기차 부품 합작법인 설립 결정/
센트랄모텍 -자동차부품

-자동차부품(구동장치, 현가장치 등) 제조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구동장치 부문 이너레이스, 오디 클러치보스, 로터샤프트, 슬리브기어 등이 있으며,

-현가장치 부문 컨트롤 암, 엑슬 등이 있음.

-특히, 국내 최초로 개발한 알루미늄 컨트롤 암은 국내 최대 규모의 생산 시설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대차그룹 외에도 관계사를 통해 해외 완성차 업체인 테슬라 등에 납품.

-주요 고객사는 현대기아차, 현대모비스, 현대트랜시스, 현대위아 등 현대기아차와 그의 계열사임.

-테슬라, 현대기아차 독점 공급.
영화금속 -자동차부품

-자동차부품의 주물소재를 제조, 판매하는 업체.

-자동차부품 관련 매출 비중이 절대적이며, 자동차부품의 상품도 구입하여 판매중.

-주요 거래처로 삼신정밀(주), 한국지엠(주) 등이 있음.

-테슬라에 하우징, 디퍼렌셜 제품 공급한 바 있음.

-가덕도 신공항 건설(가덕도 인근 토지 보유)

-유승민 (정책 동남권 신공항)
우리산업 -수소차/ 전기차

-자동차부품 제조사업을 영위.

-자동차 공조장치 관련 부품을 생산하는 완성차업계의 2차 공급업체.

-주요 거래처는 한온시스템, 현대모비스, 두원공조 등.

-현대차의 수소차에 PTC히터 독점 공급.

-PCT히터 테슬라 납품.
명신산업 -자동차 차체부품 업체.

-핫스탬핑 공법을 활용한 자동차용 차체 부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국내에서는 1차 협력업체 엠에스오토텍(최대주주) 등 차체 제작업체에 납품하고, 1차 협력업체는 별도의 생산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현대/ 기아자동차에 납품하고 있음.

-해외에서는 종속법인인 심원테크와 심원USA를 거쳐 글로벌 전기자동차 고객사(테슬라 등)에 납품하고 있음.
삼아알미늄 -비철금속

-알미늄 압연제품 및 가공제품 생산, 판매업체.

-알미늄을 이용해 일반포장재용, 전지용, 콘덴서용, 음극박재용 및 자동차용, 에어컨용, 전선용박의 압연제품과 알미늄 박을 포함한 필름, 종이, 기타 소재로 만들어진 포장재 등을 생산/ 판매.

-신규사업으로 반도체 메모리 저장장치 유통 사업 진출을 위해 미 샌디스크 한국 공식 수입업체 (주)소이전자 주식 전량을 인수.

-LG화학, 테슬라 최대 배터리 공급사 부각 속 배터리 알루미늄박 공급 사실 부각.

-상승이슈 : LG전자, 마그나사와 전기차 부품 합작법인 설립 결정/
엠에스오토텍 -전기차/ 자동차부품

-(주)명신 종속회사로 둠.

-도어모듈과 플로어모듈, 프레임 등 자체 부품을 제조해 현대차에 납품. + 테슬라에 핫스탬핑 부품을 공급.

-주형 및 금형 제작업체. 핫스탬핑 기술을 독자 개발하여 고강도 경량 차체 부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고강성 알루미늄 적용 도어, 차세대 핫스탬핑 파셜퀜칭 부품, 다종재료 적용 초경량 승용차체 개발 등 다양한 기술개발을 진행중.

-주요 매출처는 현대/ 기아차.

-상승이슈 : 전기차 테마 상승 속 자회사 명신산업 공모 흥행 소식/
하이비젼시스템 -아이폰/ 3D 프린터/ 자율주행차/ 카메라모듈, 부품/ 스마트폰/ 가상현실(VR)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에 들어가는 초소형 카메라모듈(CCM)의 자동검사시스템 전문업체.

-주요 상표로는 CCM자동화 검사장비부문 HVT-305 시리즈 등, 영상평가장치 및 기타 부문 HyIMAGE Pro V-시리즈 등, 3D프린터 부문 CUBICON 시리즈 등.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LG이노텍 등.

-아이폰의 듀얼카메라, 3D센싱 카메라 탑재로 인해 카메라 관련주로 부각.

-가상현실(VR) 3D 콘텐츠에 대한 수요 증가 (3D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듀얼카메라 탑재 비중을 높이고, 그에 따라 듀얼카메라용 검사 장비 공급)

-자율주행용 비젼센서 검사장비 개발.

-테슬라 자율주행 차량에 자율주행용 카메라 검사장비와 영상 처리보드 납품. 자회사인 퓨런티어, 글로벌 자동차 부품 회사에 자율주행 카메라모듈 캘리브레이션 장비를 공급.

-신규사업으로 3D프린터 및 3D스캐너 개발 사업을 영위.

-시장성이 높은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3D프린터를 개발하여 14년 말부터 시장판매를 개시.

-제품으로 CUBICON 시리즈 등이 있음.
디아이씨 -전기차

-동력 전달장치의 핵심 부품인 Gear & Shaft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국내 최고의 Gear 생산업체.

-자동차부품 매출액 비중이 높으며 현대차, 기아차, 한국GM등이 주요 매출처.

-상승이슈 : 미국 테슬라에 감속기 기어 및 샤프트 관련 부품 납품/
핸즈코퍼레이션 -알루미늄 휠 전문 생산업체.

-주로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의 형태로 완성차 제조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거래 업체는 국내 현대기아차그룹, GM그룹, 르노닛산그룹, 폭스바겐그룹, 포드, 크라이슬러 등.

-테슬라와 알루미늄 휠 공급 계약 임박.
이녹스 -기존 이녹스에서 지주회사 사업이 인적분할되어 변경 상장된 업체.

-인적분할 신설법인 이녹스첨단소재(IT소재 제조 및 판매), 알톤스포츠(자전거 제조 및 판매) 등을 자회사로 보유.

-국내 2위 자전거 업체인 자회사 알톤스포츠(지분율 41.1%) 경영권 보유.

-상승이슈 : 자회사 티알에스 'Si 파우더' 테슬라 활용 기대감에 급등/ 음극재 배터리 원소재 제조업체인 자회사 티알에스, 글로벌 2차전지 시장에 진입 기대감/
엘앤에프 -2차전지/ 전기차

-2차전지 양극활물질 생산, 판매업체.

-하이브리드카, 전기차, 전기자전거, 전동공구, Robot, 전력저장장치(ESS) 등의 에너지원인 고에너지밀도/ 고출력 전지용 신양극활물질 사업을 위해 국내, 외 전지업체들과 공동개발.

-LG화학, 삼성SDI

-상승이슈 : LG에너지솔루션 등과 1.45조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및 테슬라 메이저 공급업체도 도약 전망/
화신 -자동차부품

-자동차 섀시 및 차체의 각종부품을 생산하여 납품하는 자동차부품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차의 양쪽 WHEEL을 고정시켜주는 Arm류, ARM을 고정시켜주는 Member류, 차량의 후륜에 장착 되는 CTBA, 기타 Link류와 Press 성형제품 등이 있음.

-주요고객은 현대기아차그룹 자동차 관련 계열사임.

-상승이슈 : 테슬라 S&P500 지수 편입 기대감 지속 속 페달 등 부품 납품 사실 부각/

 

 

+테슬라 관련 이슈로 부각되는 섹터 : 2차전지

 

2020/10/16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2차전지 관련주

 

[국내주식] 2차전지 관련주

-2차전지는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를 말한다. -2차전지는 내년에 유망할 투자처로 자주 언급되고 있다. -글로벌 리튬 배터리 수요 증가, 국내 업체 해외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

hjs9310.tistory.com

2020/11/10 - [주식공부/국내주식] - [국내주식] 2차전지 증설 소부장 기업

 

[국내주식] 2차전지 증설 소부장 기업

-수소, 전기차 생산량이 늘면서 2차전지 수요가 동반 급등하자 국내 소부장 (소재, 부품, 장비) 업체들이 공격적인 증설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인 2차전지 증설 소부장 기업 9 곳을 살펴보자. (종

hjs9310.tistory.com

 

 

 

반응형

 

-종합상사란 특정의 상품분야 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에 걸친 다종류의 상품을 종합하여 외국무역 및 국내유통을 대규모로 담당하는 거대상사를 의미한다.

 

(출처 : 한국경제 증권)

 

-종합상사의 모델은 일본과 한국에만 존재하는 형태로, 교역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모든 정치, 경제적 변수 들의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

 

-무역에 편중된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수익원 창출이 가능한 마케팅 또는 유통 전문업체로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자원개발사업(E&P) 도 적극적으로 진행중이다.

 

-종합상사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종합상사 관련주

 

 

삼성물산 -종합상사/ 자원개발/ 건설대표주/ 패션, 의류

-국내외의 건축/토목/플랜트/주택 분야의 사업을 하는 건설부문,

-자원개발/철강/화학/산업소재/섬유 등 다양한 방면에서 국제무역을 하는 상사부문,

-의류제품 제조 및 판매사업/ 모제품(직물) 가공 및 판매사업을 하는 패션부문,

-조경사업/에버랜드(드라이파크)/캐리비안베이(워터파크)/골프장 등을 운영하는 리조트부문,

-전문급식/식자재유통사업(삼성웰스토리) 등을 영위.

-삼성전자, 삼성엔지니어링 등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함께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분 보유.
SK네트웍스 -종합상사/ 자원개발

-SK그룹 계열의 종합상사.

-사업부문은 정보통신(이동통신 관련 유통 사업 등), Mobility(차량 정비 부품 등), 상사(철강, 에너지, 화학상품의 국내외 무역 및 석탄 자원개발 등), SK매직(가스기기, 전기, 전자기기), 워커힐(Grand Walkerhill Seoul호텔, Vista Walkerhill Seoul호텔, 인천공항 환승호텔 등) 등으로 구분.

-주요 종속회사로 SK매직, SK핀크스 등을 보유.
GS글로벌 -종합상사/ 자원개발/ 셰일가스

-GS그룹 계열의 종합 무역상사.

-철강금속과 자원물자(석유/화학제품, 시멘트, 기계플랜트, 석탄 등) 등 산업용 소재 수출입과 삼국간 거래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미국 법인 GS GLOBAL E&P (AMERICA) Corporation과 GS GLOBAL (NEMAHA) LLC를 통해 해외자원개발 사업 영위.

-에너지 설비 전문업체 (주)지에스엔텍 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지에스엔텍 - 복합화력발전에 필요한 발전기자재인 배열회수장치(HRSG) 등을 제조)
포스코인터내셔널 -셰일가스/ 종합상사/ 자원개발

-POSCO그룹 계열의 종합상사.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인도네시아 등에 해외 법인을 두고 무역, 생산, 판매, 유통, 자원개발분야 등의 사업을 영위.

-철강, 화학, 부품소재, 자동차부품, 비철, 플랜트, 곡물 도정, 면방, 오일팜 등을 영업활동의 주요 품목으로 취급 중.

-미얀마 가스전을 개발하는 등 가스전 개발 기술력 보유.
현대상사 -종합상사/ 자원개발/ 북한 광물자원개발

-국내 대표적인 종합상사.

-사업부문은 산업플랜트(선박 및 엔진 등 관련 기자재, 플랜트, 전기/기계류, 그린에너지, 건설장비 등)

-차량소재(자동차 및 부품, 철도차량 및 철도시스템, 석유 등)

-철강(강판, 강관, 형강 제품 및 스테인레스 제품 등), 자원개발 등으로 구성.

-각 사업부문별로 변압기, 자동차, 철강, 기계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선박, 플랜트 등의 거래알선과 수입 상품의 국내판매, 유전개발 등의 자원개발사업을 영위 중.
효성티앤씨 -화학섬유/ 종합상사

-(주)효성에서 섬유 및 무역사업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나일론원사, 폴리에스터원사, 스판덱스, 직물/염색 등 의료용 섬유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철강 및 화학제품 판매 등의 무역사업도 영위.
LG상사 -종합상사/ 자원개발/ 희토류

-LG그룹 계열의 종합무역상사. 에너지/팜 부문(석탄, 팜 등), 산업재/솔루션 부문(화학, 프로젝트, 전기/전자 부품 등), 물류 부문(복합운송주선, 창고보관업 등) 등을 영위.

-인도네시아의 석탄 광산, 팜농장 및 베트남, 카자흐스탄의 석유 가스 광구 등의 사업을 영위.

-북한에 있는 희토류 등 자원을 개발 하려는 움직임 보임.

 

 

 

반응형

 

-영화 관련 업체들은 영화 수입, 배급 또는 제작, 극장 관련 사업을 영위한다.

 

 

-영화 산업은 이질적인 소비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함을 갖추어야하는 산업이며, 지속적인 투자와 불확실한 수익성이 공존하는 특성이 있다.

 

-영화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영화 관련주

 

 

CJ ENM -음원, 음반/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미디어/ 영화/ 케이블TV/ 소매유통/ 홈쇼핑

-CJ그룹 계열의 종합 미디어 커머스 업체.

-홈쇼핑 사업부문은 케이블TV홈쇼핑을 비롯해 카탈로그와 인터넷 쇼핑몰(CJmall몰) 등의 매체를 이용해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중.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은 방송채널(tvN/OtvN/Mnet 등) 및 방송콘텐츠를 케이블TV/IPTV/위성방송/온라인 등의 플렛폼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으며, 영화 제작, 투자 및 배급사업을 진행중.

-헐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인 드림웍스의 외화를 직접 배급.

-케이블TV Mnet 채널을 중심으로 자체제작 콘텐츠를 공급. KT, SK브로브밴드, LG유플러스의 IPTV에 영상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

-아울러 음반 및 음원 제작/ 투자/ 유통 및 뮤지컬과 콘서트 등 공연사업을 진행중.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각각 지분 51%/49% 씩 출자하여 합작회사를 설립했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스튜디오드래곤의 최대주주.
제이콘텐트리 -영화/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신문/방송)

-중앙일보 계열의 지주사업과 영화 및 방송 콘텐츠 투자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멀티플렉스극장(메가박스 등) 운영 사업을 영위하는 메가박스중앙(주)과 드라마 제작 및 콘텐츠 유통사업 등을 영위하는 제이티비씨스튜디오(주) 등을 자회사로 보유.

-자회사 제이티비씨스튜디오(주)는 드라마를 제작하고, 드라마를 포함한 시사, 예능 프로그램 유통 및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유통을 주업으로 영위중.
CJ CGV -영화

-CJ그룹 계열의 CGV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사업자.

-영화상영을 통한 티켓판매, 매점판매, 광고판매, 위탁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

-메가박스, 롯데시네마와 함께 3사 중심의 경쟁구조 속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중.

-중국, 베트남, 터키 등에 멀티플렉스 자회사를 보유.
쇼박스 -영상콘텐츠/ 영화

-오리온홀딩스그룹 계열의 영화제작, 투자 및 배급 업체.

-07년 메가박스를 매각하면서 영화 투자와 배급, 제작 기획에 역량을 집중하였고, 이후 중국을 비롯한 해외 및 신규 비즈니스 확대를 진행중.

-20년 상반기 기준 전체영화 배급사별 시장 점유율 14.7%를 기록.
버킷스튜디오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영화

-IPTV, 케이블방송, 스마트TV, 아이패드 등 스마트디바이스 기반을 중심으로 영화, 영상, 교육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업체.

-온라인 콘텐츠 유통의 필수 기술인 필터링 기술을 자체 보유.

-모바일 서비스(대량문자 발송)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세종메가박스 영화관 운영.

-연예기획 및 매니지먼트 업체 (주)아티스트컴퍼니 지분 보유.
쎄니트 -영화/ 비철금속/ 시멘트, 레미콘

-스테인리스 박판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

-극장위탁운영사업도 영위.

-경기도 군포, 대전 유성구 노은, 충남 공주, 대구 북구 칠곡, 경북 김천시, 인천 남동구에 위치한 극장 보유.

-레미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영산콘크리트공업을 종속회사로 보유.
IHQ -영화/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음원, 음반

-국내 톱스타들이 포진된 매니지먼트 사업본부 IHQ를 비롯해 드라마, 음반, 공연, 영화 제작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종합엔터테인먼트 그룹.

-유료방송, 프로그램 공급, 광고대행 등 미디어 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Comedy TV, Dramax, K STAR, Life U, CUBE TV 등의 채널을 운영.

-주요 계열사로 (주)썬파워프로 등이 있음.

-상승이슈 : KT, 최대주주 딜라이브 예비 입찰 인수 의향서 제출.
롯데쇼핑 -영화/ 홈쇼핑/ 소매유통/ 백화점

-백화점, 할인점, 영화관, 아울렛 등을 운영하는 롯데그룹 계열의 국내 최대 유통업체.

-백화점 사업부문, 할인점 사업부문, 전자제품전문점 사업부문, 슈퍼 사업부문, 홈쇼핑 사업 부문, 기타 사업 부문 등으로 사업부문을 세분화.

-기타사업부문 (롯데쇼핑(시네마))을 통해 영화제작 및 투자/배급, 영화관 운영 사업을 영위.
덱스터 -영화/ 가상현실(VR)

-영화, CF, MV 등 모든 영상 전반의 VFX(Visual Effects:시각효과)의 제공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요 매출처는국내 및 해외(중국 등) 영화/드라마 제작사.

-영화 신과함께 시리즈 등의 기획, 제작 및 투자.

-신규사업으로 테마파크 관련 VR/AR 등 New 미디어 사업 진출.
SM Life Design -영상콘텐츠/ 겨울왕국2/ 영화

-특수인쇄 제조(추첨식 복권, 유가증권, 일반인쇄 등) 및 미디어제작(드라마, 예능 등), 영화콘텐츠(DVD, Blu-ray 등)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홈비디오사업 파트는 월트디즈니, 쇼박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판씨네마 등 주요 영화사와 부가판권 판권 계약을 맺어 DVD와 Blu-ray, 4K UHD를 대여점, 음반매장, 주요 서점 및 대형 할인매장을 통해 유통.

-추첨식복권(연금복권) 공급업체.

-상승이슈 : 슈퍼엠 빌보드 200 1위/ 내년 디즈니플러스 런칭 공식 발표 소식 속 디즈니 패키지미디어 판권 보유 사실 부각/
바른손이앤에이 -가상현실/ 모바일게임/ 영화/ 게임/ 영상콘텐츠

-온라인/ 모바일게임 개발 및 영화사업 영위 업체.

-Full 3D MMORPG 게임인 라그하임과 라스트카오스 및 모바일 게임 히트 등을 서비스 중.

-2015년 바른손필름을 흡수합병해 영화사업에 진출.

-기생충 관련주.

-모더나 (계열사 바른손, 모더나 지분 보유) / 코로나19

-VR을 이용한 게임개발사업 진출을 위해 게임개발사인 '이브이알스튜디오' 지분 보유중.
NEW -영화/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2008년 영화투자배급사로 설립.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중.

-천만 관객 이상의 <7번방의 선물(2013)>, <변호인(2013)>, <부산행(2016)>과 <더킹(2017)>, <독전(2018)> 등의 영화와 드라마 <태양의 후예(2016)>를 흥행시켰으며,

-방송프로그램 기획, 투자 및 제작(스튜디오앤뉴), 영화 부가판권 유통 대행(콘텐츠판다), 음원투자 및 유통(뮤직앤뉴), 스포츠마케팅/ 매니지먼트(브라보앤뉴), 영화 등 영상콘텐츠 VFX제작(엔진비주얼웨이브) 사업을 통해 종합 미디어컨텐츠 그룹으로 성장.

-20년 6월 영화관 사업 분할해 주식회사 씨네큐 설립.
바른손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모바일게임/ 영화/ 가상현실/ 모바일콘텐츠

-주요 사업으로 크게 영화제작 및 투자, 외식사업, VR관련 사업을 영위.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마더”, “방자전”, "표적" 등을 제작. 아울러 계열사 시오필름을 통해 영화제작 사업을 영위.

-계열사를 통해 영화사업(시오필름) 및 게임소프트웨어개발사업(레드모바일), 홈인테리어 도소매업(주 바른손누보) 등을 영위.

-코스닥 상장사인 바른손이앤에이 지분 보유.

-바른손이앤에이 : VR을 이용한 게임개발사업 진출을 위해 게임개발사인 ‘이브이알스튜디오’지분 보유중

-기생충 관련주

-관리종목 지정 우려.

-문구류 필기류 불매운동 반일

-모더나 지분 보유(코로나19)

-넷플릭스와 OTT콘텐츠 제작 공급계약 체결.
세기상사 -영화

-서울 충무로에서 대한극장을 직영극장으로 경영하다, 2000년 대한극장 건물을 철거한 후 소극장이 집합된 멀티플렉스 영화관 운영(영화상영, 매점판매 등)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반응형

 

-블록체인이란 계약 및 금융 거래에 대한 정보를 중앙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 및 관리하는 기술을 뜻한다.

 

-제 3자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수수료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정보의 공동 소유로 데이터의 임의 조작이 어려워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비트코인 등 대부분의 가상화폐들이 이 기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공공서비스, 물류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활용 가능성이 높아 관련업체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블록체인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블록체인 관련주

 

삼성에스디에스 -IT대표주/ 스마트팩토리/ 4차산업 수혜주/ SI/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삼성그룹 계열 시스템통합(SI) 업체. 컨설팅/SI, 아웃소싱 부분의 IT서비스 사업 부문과 물류업무를 위탁/ 수행하는 물류 BPO 사업 부문으로 구분.

-수많은 센서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고 분석하는 플랫폼 'Brightics loT' 서비스를 제공.

-국내 대형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자.

-삼성SDS 블록체인 기반의 수출통관 물류서비스 구축.

-드림시큐리티 삼성SDS 블록체인 협력. (삼성SDS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를 국내에서 단독으로 제공)

-2016년 글로벌 블록체인 오픈소스 개발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등 블록체인을 접목한 신규 사업 추진 강화중.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 및 블록체인 신분증 등을 비롯해 은행 공동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인 뱅크사인(BankSign)을 개발.
NAVER -가상화폐/ 블록체인/ 4차산업 수혜주/ 핀테크/ 모바일콘텐츠/ 모바일게임/ 인터넷대표주/ 게임/ SNS/ K뉴딜지수/ 음성인식/ 자율주행차

-인터넷 포털서비스 네이버(한국, 일본)와 글로벌 메신저 LINE(라인)등을 서비스 중.

-광고사업과 비즈니스플랫폼 사업, 네이버페이, 클라우드, 나인웍스, IT서비스 등 IT 플랫폼 사업, 웹툰, 뮤직, 브이라이브 등 콘텐츠 서비스 사업, 라인 및 기타 플랫폼 사업을 통해 매출을 창출하고 있음.

-일본 자회사 라인(LINE)을 통해 블록체인 비즈니스 실시.

-18년 4월 자회사 라인의 국내 법인인 라인플러스가 블록체인 기술 전문 자회사 '언블락'을 출범.

-자회사 네이버랩스가 자율주행차 기반 카셰어링(차량공유) 사업 진출을 추진중이며, IT업계 최초로 국토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 받음.
카카오 -가상화폐/ 블록체인/ 인터넷은행/ 핀테크/ 모바일콘텐츠/ 인터넷대표주/ 엔터테인먼트/ 음원, 음반/ SNS/ K-뉴딜지수/ 음성인식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디지털 음원 사이트인 멜론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방탄소년단 음반 판매 증가 소식으로 인한 수혜주로 부각.

-국내 대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다음 운영을 통해 검색, 이메일,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제공중.

-모바일 결제 서비스 사업 진출 및 자회사 GroundX 등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 연구 진행중.

-19년 6월 그라운드X가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의 메인넷을 정식 출시.

-결제/ 송금(카카오페이), 인터넷 전문은행(카카오뱅크), 투자(카카오페이증권), 생활금융(내문서함, 인증 등) 등 금융산업 벨류체인 전체를 아우르는 핀테크 공룡으로 거듭나고 있음.

-카카오M을 흡수합병해 음반 기획, 제작, 판매 및 온라인 음원 유통사업과 종속회사 (주)스타쉽엔터테인먼트,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 등을 통해 매니지먼트 사업 영위.
SK -조림사업/ 블록체인/ 4차산업 수혜주/ LNG(액화천연가스)/ SI(시스템통합)/ 핀테크/ RFID/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팩토리

-SK그룹의 사업지주회사.

-SK이노베이션(주), SK텔레콤(주), SK네트웍스(주), SK머티리얼즈(주), SK건설(주), SKC(주), SK E&S(주), SK바이오팜(주), SK임업(주) 등의 자회사를 보유.

-미국 핀테크 전문 기업인 모지도사와 공동으로 모바일 커머스 솔루션 전문 합작기업을 설립.

-SK 투자한 벨스타 '콜드체인 클러스터' 유력 후보. (벨스타 LNG 냉열 재활용 기술 보유)

-자회사 SK E&S 가 LNG 복합화력발전소인 광양천연가스 발전소를 운영.

-SK브로드밴드 국내 통신업체 중 최초로 자체 기술을 내재화한 클라우드 PC 서비스 상용화.

-SK C&C 국내 대형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자.

-SK텔레콤 RFID 반도체 칩 양산.

-블록체인 사업에서 ConsenSys 사와 기업용 블록체인 신사업 공동 개발 협력을 시작한 이래,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체인제트 포 이더리움'을 제공하는 등 사업 모델을 확장중.

-자회사인 SK C&C가 기업 범용 블록체인 디지털 서비스 및 국내 선사 대상 블록체인 기반 물류 서비스 개발.
KT -드론/ 자율주행차/ 4차산업 수혜/ 통신/ 5G/ RFID/ 핀테크/ 블록체인/ 스마트홈/ 클라우드컴퓨팅/ 모바일콘텐츠/ 인터넷은행

-국내 대표적인 종합통신사업자.

-유/ 무선전화, 초고속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IPTV(인터넷TV), voIP(인터넷전화) 등의 융합서비스(통신-방송, 유/ 무선)를 영위.

-K뱅크를 주도하며 인터넷 전문은행 진출했으며, 세계 최초로 B2C 5G 서비스 상용화 진행.

-신규사업으로 5G 기반 자율주행, VR, AR 등 추진 중.

-KT서브마린, 지니뮤직, KT스카이라이프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국내 기업 최초로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서명 이미지 관리 시스템을 개발.

-18년 조직개편을 통해 5G와 블록체인 전담조직을 신설.
SK텔레콤 -4차산업 수혜/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차/ 블록체인/ 통신/ 5G/ 스마트홈/ RFID

-SK그룹 계열의 국내 1위 통신사업자.

-SK브로드밴드(주), SK텔링크(주), SK커뮤니케이션즈(주), SK플래닛(주) 등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

-SK브로드밴드 국내 통신업체 중 최초로 자체 기술을 내재화한 클라우드 PC 서비스 상용화.

-자회사 SK플래닛을 통해 NFC 기반의 smart wallet 서비스 개발.

-무선통신 반도체 설계회사인 파이칩스와 함께 RFID 반도체 칩 양산.

-18년 1월 신사업부로 블록체인 사업개발 유닛(블록체인유닛)을 신규 설립.

-(2019) 블록체인 플랫폼 '스톤(STON)' 최초 공개.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스톤코어 중심의 스톤 네트워크와 지갑, DID(분산아이디) 등으로 이뤄진 스톤 솔루션 컴포넌트로 구성)

-인텔 등과 자율주행 기술 및 서비스의 공동 연구/ 개발을 진행중.
LG -지주사/ 스마트팩토리/ 블록체인

-LG전자, LG화학, LG하우시스,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지투알 등의 상장사를 계열사로 보유한 LG그룹 지주회사.

-주요 자회사들이 영위하는 주요 사업으로는 방송수신기 및 기타 영상, 음향기기 제조업(LG전자), 석유화학계 기초 화합물 및 2차전지 제조업(LG화학), 유무선 통신업(LG유플러스) 등.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IT서비스업(LG씨엔에스), 부동산자산관련 종합서비스업(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경제, 경영 등 교육 및 자문서비스업(LG경영개발원), 스포츠서비스업(LG스포츠) 등.

-자회사인 LG CNS가 금융 블록체인 컨소시엄인 R3와 사업 협약을 체결하여 LG CNS 블록체인 플랫폼을 출시.
케이엘넷 -SI(시스템통합)/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물류분야를 중심으로 전자문서중계서비스(EDI)를 기반으로 한 전자물류 서비스 외에 시스템통합(SI)사업, 솔루션 판매, IT아웃소싱 등 물류 IT분야의 토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로지스빌'을 통해 표준전자세금계산서 인증심사 1호 사업자로 선정.

-17년 5월에 발족한 삼성SDS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에 참여.
한컴위드 -보안주(정보)/ 인터넷은행/ 핀테크/ 모바일콘텐츠/ 블록체인

-PKI 및 암호기술 기반의 보안 솔루션 및 서비스 제공하는 보안 소프트웨어 업체.

-신규사업으로 블록체인 솔루션 사업과 스마트시티플랫폼 사업을 영위.

-17년 10월 현대페이와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18년 3월 기존에 보유한 통합키(Key) 관리, 공개키기반구조(PKI), 파이도(FIDO) 생체인증, 통합인증 등의 보안 솔루션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보안성을 강화한 '블록체인 시큐리티 스위트' 출시.

-코스닥 상장사인 한글과컴퓨터의 최대주주.

-카카오, 케이뱅크 인증서 공급.
이니텍 -블록체인/ 삼성페이/ 핀테크/ 인터넷은행/ 보안주(정보)

-KT 계열의 인증보안과 금융 IT 서비스 제공 업체.

-인증보안사업으로 인터넷뱅킹 통합 보안 서비스, 데이터 암호화 영역과 이를 응용한 통합인증, 권한관리 등의 사업영역을 영위하고 있으며, 금융IT사업으로 PC 및 모바일 기반의 인터넷뱅킹 시스템 구축(SI), 구축된 IT시스템의 운영관리(SM) 및 당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서비스 제공(ASP)사업 등을 영위.

-KT와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인증, 권한관리 솔루션 공동개발.
케이사인 -보안주(정보)/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삼성페이

-개인정보 DB암호화 솔루션, 통합인증 솔루션, PKI인증 솔루션.

-모바일 공인인증서 솔루션 '위즈패스' 조달청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등록.

-클라우드컴퓨팅 보안 솔루션 공급.

-매쉬형 블록체인 기반 기술 개발.

-17년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기기간 상호인증 기술 개발을 완료.

-암호화폐 전자지갑 '터치엑스월렛(TouchxWallet)'을 개발.
대성창투 -창투사/ 블록체인/ 4차산업 수혜주

-대성그룹 계열의 창업투자회사.

-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창업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의 집행, 해외기술의 알선/ 보급 및 이를 촉진하기 위한 해외투자, 위탁사업의 타당성 검토 및 경영, 기술향상을 위한 용역 사업, 창업보육센터 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

-삼성SDS와 공동으로 블록체인 업체인 블로코에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짐.

-이낙연 인맥(서울대 동문)
SBI핀테크솔루션즈 -블록체인/ 핀테크/ 전자결제

-일본 SBI그룹 계열의 전자지급결제 서비스(PG) 전문업체.

-신용카드 결제 및 지불을 대행해주는 전자지급결제서비스(PG) 사업을 포함해 개인머니서비스, 기업지원서비스 사업 등을 영위.

-리플 네트워크(Ripple Network)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일본-태국 간 국제 송금 서비스를 개시.

-국내에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국제 송금 서비스 제공.

 

 

한국전자인증 -AI/ 인터넷은행/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보안주/ 핀테크

-공인인증서서비스 사업, 글로벌 인증 서비스 사업, 보안서버 인증서비스 사업 등을 영위.

-지능형로봇 전문업체 AIBRAIN, INC. 을 자회사로 보유중.

-자매회사인 지능로봇전문기업 에이아이브레인코리아(주)와 함께 인공지능 로봇 기술 개발중.

-스마트폰 로봇 '타이키' 개발.

-한국전자인증 '유니닥스사인'이라는 이름으로 클라우드 기반 전자문서 보호, 전자서명 및 암호화 서비스를 시범운영하고 있으며, 이 서비스는 한국 인터넷진흥원 지원을 통해 개발.

-서울대학교 분산 컴퓨팅랩과 함께 블록체인 연구개발(R&D) 사업자로 선정.
라온시큐어 -보안주(정보)/ 블록체인/ 삼성페이/ 핀테크/ 인터넷은행/ 바이오인식(생체인식)

-모바일, 유비쿼터스 및 기기인증 보안 솔루션을 보유한 전문 보안 솔루션 개발 업체.

-금융,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모바일 보안솔루션(모바일백신, 가상키보드, 모바일암호인증, 모바일 단말관리) 및 PC보안, 국제생체인증 표준 FIDO 기반 생체인증 솔루션, lOT 기반 솔루션과 서비스를 공급.

-계열회사인 라온화이트햇(주)을 통해 화이트해커 실무교육, 정보보안 전문가 실무교육 등의 사업 영위.

-블록체인 전문기업인 더루프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차세대 인증 시스템을 개발 및 신한금융그룹의 블록체인 기반 금융통합인증 시스템에 터치엔 원패스를 결합하는 프로젝트 진행.

-18년 2월 블록체인 전문기업 더루프와 블록체인 기반 생체인증(FIDO)시스템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드림시큐리티 -보안주(정보)/ 바이오인식(생체인식)/ 인터넷은행/ 삼성페이/ 4차산업 수혜주/ 블록체인

-PKI기반의 정보보안, 인증솔루션, 시스템 구축 및 개인정보보호 서비스 제공 사업을 영위.

-신규사업으로 생체인증, 블록체인 인증 기술, 비정형 데이터 암호화 기술, loT 전용 기기인증 및 암호키 시스템 등을 추진중.

-은행 '블록체인 인증시스템 구축 사업'에 삼성에스디에스와 함게 참여한 바 있음.
한빛소프트 -드론/ 가상화폐/ 가상현실/ 블록체인/ 게임/ 모바일게임

-온라인게임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포털사이트 한빛온을 통해 그라나도 에스파다, 위드, 에이카, 오디션 시리즈 등의 온라인게임을 서비스.

-13년 이어또:이어라 판다독을 시작으로 FC메니저 모바일, 천지를 베다, 세계정복1.2, 클럽오디션, 도시어부M 등 모바일 게임도 서비스.

-드론업체 (주)한빛드론 지분 보유.

-신규사업으로 교육, 헬스케어, 블록체인 등 다각도로 사업을 전개 중.

-블록체인 플랫폼과 암호화폐 개발에 나섬.

-해외법인을 통해 가상화폐 공개(IOC) 추진.

-하반기 공개 목표 VR게임 개발중. + VR게임개발 전문 업체 스코넥엔터테인먼트 투자.
롯데정보통신 -SI(시스템통합)/ 4차산업 수혜주/ 블록체인

-롯데그룹 계열의 SM(System Management) 및 SI(System Integration) 전문 업체.

-SM(IT아웃소싱)사업은 IT시스템 운영 및관리하는 업무로 IT설비, 인력, 시스템 등을 전문업체에 위탁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롯데쇼핑을 포함한 50여개 롯데그룹 계열사의 시스템 운영 서비스를 제공.

-SI사업은 시스템을 구축하여 제공하는 업무로 시스템 구축에서부터 전산장비 납품, ASP사업, 유지보수사업 등 IT관련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IoT,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분야 신사업 추진중.

-블록체인 담당을 별도로 신설하여 개발된 솔루션의 블록체인을 통한 암호화 기술 연구.
유수홀딩스 -지주사/ 블록체인

-법상의 지주회사에서는 제외되나 자회사의 주식을 확보, 유지, 관리하는 등 지주회사로서의 실질적인 지위와 역할에는 변함이 없으며, 연결대상 종속회사로는 (주)싸이버로지텍(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 (주)유수로지스틱스(화물운송 중개, 대리 및 관련 서비스업) 등이 있음.

-영업수익은 자회사의 지분법이익, 임대사업수익 등으로 구성.

-자회사 싸이버로지텍이 삼성SDS와 총 38개 민관연으로 결성된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에 참여.
네오티스 -블록체인/ PCB

-PCB 가공에 사용되는 초정밀 공구인 마이크로비트 및 자동차에 사용되는 모터용 샤프트 생산/ 판매사업 등을 영위.

-자동차용 샤프트 제조업체 (주)네오디에스를 종속회사로 보유.

-블록체인 사업을 추진 중인 (주)유니포인트 등을 계열사로 보유.

-2018년 1월 계열사인 유니포인트가 한국예탁결제원 전자투표업무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위한 개념검증(PoC) 사업을 완료.

-유니포인트는 블록체인 오픈소스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이용하여 업무 시스템 구축, 서비스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
SGA솔루션즈 -보안주(정보)/ 키오스크/ SI(시스템통합)/ 사물인터넷/ 4차산업 수혜주/ 블록체인/ 핀테크/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서버보안, 응용보안, 엔드포인트보안 및 물리보안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는 통합보안솔루션 기업.

-통합보안솔루션기업 SGA솔루션즈 고밀도 2차원 바코드 솔루션기업 '보이스아이'를 인수.

-종속회사인 SGA 임베디드가 POS, ATM, 무선단말기, 키오스크 등에 SGA보안기술이 내재된 보안솔루션 개발중.

-클라우드컴퓨팅 전용 서버보안솔루션 개발 및 판매.

-국내 최초 비트코인 보안 기술 개발 업체로 블록체인 인증 및 위변조 방지 기술 보유.

-삼성SDS를 통해 은행연합회가 추진중인 '은행 공동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 구축 사업'에 참여.

-암호 기반 인증 및 전자사업 사업 등을 영위하는 블록체인 전문기업 SGA비엘씨(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상승이슈 : 공인인증서 폐지를 앞두고 수혜 기대감/
시큐브 -보안주(정보)/ 핀테크/ 인터넷은행/ 바이오인식(생체인식)/ 블록체인

-시스템보안 토탈 솔루션업체.

-전자서명 인증기반의 서버보안 솔루션 등을 보유한 동사는 국내 최초 독자적인 Secure OS 개발을 통해 국내 보안운영체제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

-보안운영체제, 통합계정관리, 로그 분석/관리, DB보안 등의 솔루션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

-국가정보원의 보안적합성 검증 및 CC인증을 업계 최초로 획득하여 공공기관, 금융기관 및 대기업 그룹사 등에 핵심 보안인프라 솔루션으로 선정.

-Secure OS 및 커널레벨 암호화 기술을 토대로 독창적인 블록체인 보안 기술 개발.
주연테크 -가상현실(VR)/ 블록체인

-PC완제품을 제조 및 유통, 수출입업 및 태블릿PC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400여개의 전문대리점과 TV홈쇼핑, 양판점, 할인점, 인터넷쇼핑몰 등의 유통채널을 확보.

-PC방 및 F/B 프랜차이즈 사업을 영위하는 (주)주연글로시스를 종속회사로 보유.

-이낙연 인맥(권오룡 사외이사가 노무현 정권 당시 차관을 지내며 이낙연과 친분설)

-암호화폐 채굴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주연마이닝게이트' PC와 모바일 버전 개발.

-와이제이엠게임즈와 공동투자계약을 체결하고 가상현실(VR)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복잡한 연산 처리가 가능한 신제품 '크립토(Crypto) PC'와 가정에서 블록체인 암호화 해독 체험을 해볼 수 있는 '홈 크립토(Home Crypto) PC'를 출시한 바 있음.
데일리블록체인 -CCTV&DVR/ 블록체인/ 보안주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용역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는 업체.

-지능형교통시스템 및 CCTV, 통합관제센터, VTS를 구축하는 용역사업과 지능형교통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교통 알고리즘 등 핵심 소프트웨어를직접 개발하는 동시에 BIT(버스안내단말기)등 ITS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일부를 생산.

-각종 CCTV 설치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목적으로 설치된 CCTV를 한 곳으로 집중하여 관리할 수 있는 영상통합사업부문의 용역사업도 영위.

-기존 사업수행의 축척된경험을 바탕으로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항공교통관제시스템(ATS)까지 그 사업 영역을 확장중.

-신규 사업으로 블록체인 사업 추진 중.

-코스닥 상장사 (주)케어랩스를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미국 IT 전문기업 PSI인터내셔널의 인수 소식

-옐로모바일이 블록체인 사업 강화를 위해 동사를 인수.

-18년5월 블록체인 기술 기업 및 ICO 추진 글로벌 기업 투자를 목적으로 (주)데일리크립토IB를 설립.

-상승이슈 : SK E&S-제주테크노파크와 2020 제주 스마트 챌린지 사업 관련 3자간 MOU 체결 소식에 급등
파수 -보안주(정보)/ 블록체인/ 재택근무, 스마트워크

-데이터보안사업(콘텐츠/ 정보유출방지보안)등을 영위하는 업체.

-정보보호컨설팅 사업, 엔터프라이즈 문서 플랫폼 사업, 외부 협업 플랫폼, 개인정보 비식별화 사업 등을 영위

-18년 5월 (주)스패로우를 물적분할하여 설립

-20년 1월 주식회사 디지털페이지를 흡수합병.

-EDRM기술 관련 가트너 '하이프 사이클' 보고서 3곳 등재

-BNK시스템에 안전한 재택근무 환경을 위한 화면 보안 솔루션을 공급.

-화면 보안 솔루션 GS인증 1등급 획득

-'디지털페이지' 출시를 통해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진출.

-블록체인 기반의 진본 증명 플랫폼인 '파수블록(Fasoo Block)'을 개발하여 제공 중.

 

 

반응형

 

-타이어 관련주들은 자동차용 일반타이어 및 재생타이어 제조업체이다.

 

-신차용 타이어 수요는 자동차의 생산대수, 교체용 타이어 수요는 차량 운행 대수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타이어의 원자재가 천연고무와 합성고무 등이므로 화학산업과도 연관성이 높다.

 

-타이어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타이어 관련주

 

 

넥센 -타이어

-넥센그룹의 모회사임과 동시에 자동차타이어용 튜브 등 고무제품의 제조 및 판매 및 물류사업을 영위하는 사업형 지주회사.

-자동차용 타이어 제조, 판매, 렌탈 사업을 하는 넥센타이어(주)와 부동산임대와 매매, 부동산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주)넥센디앤에스를 종속회사로 보유.
한국테크놀로지그룹 -타이어

-(구)한국타이어의 투자부문이 분할되어 변경상장된 지주회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한국아트라스비엑스, 한국네트웍스 등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로열티, 배당금, 임대료 등을 받는 지주사업 영위.
동아타이어 -타이어

-기존 (주)디티알오토모티브에서 자동차용 고무사업부분이 인적분할돼 재상장된 업체.

-자동차용 고무제품 사업 등을 영위.
넥센타이어 -타이어

-넥센그룹 계열의 타이어 제조, 판매, 렌탈 업체.

-국내 타이어 시장은 동사를 포함한 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가 전체시장에서 약 90% 이상을 과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타이어

-국내 최대의 타이어 제조업체.

-2012년 10월 (구)한국타이어의 사업 부문이 분할되어 재상장.

-교환시장 및 OEM(CAR MAKER 납품)으로 구분되는 국내 타이어 시장을 금호타이어, 넥센타이어와 과점.

-교환시장의 경우 승용차용은 국내 전반적인 경기와 소비자 패턴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트럭/ BUS용은 운수 및 건설 경기에 민감한 편임.

-완성차업계의 OEM은 내수부문에서 신차출시에 영향을 받으며, 수출부문은 자동차 수출의 확대 및 세계시장의 수요증가에 따른 매출증가 영향이 큰 편.

-타이어의 주 원료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카본블랙 등이며, 천연고무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
금호타이어 -타이어

-타이어 제조업체로 국내 타이어시장을 한국타이어, 넥센타이어와 과점.

-한국, 중국, 미국, 베트남에 위치한 8개 타이어 생산공장 보유.

-18년4월 Xingwei Korea Company Limited(더블스타)와 신주인수계약 및 주주간계약을 체결.

 

 

 

반응형

 

-스마트카(SMART CAR)란 자동차 기술에 ICT(정보통신기술)을 접목시킨 자동차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운전자는 차 안에서 오락,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기술이 접목되어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고객의 니즈에 부응하여 자동차 업체와 IT업체들이 잇따라 첨단 스마트카 기술을 선보이면서 스마트카 섹터가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카와 관련 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스마트카 관련주

 

 

현대모비스 -자동차대표주/ 수소차/ 차량용 블랙박스/ 자동차부품/ 전기차/ 스마트카/ 음성인식/ 자율주행차

-현대자동차 그룹의 국내 최대 자동차부품 제조 및 판매업체.

-자동차 3대 핵심모듈인 샤시모듈, 칵핏모듈, 프론트엔드모듈 등을 생산하여 현대, 기아차에 직서열 공급하는 모듈 및 부품제조사업과 국내외에서 운행 중인 모든 현대, 기아차에 소요되는 보수용 부품의 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A/S용 부품사업을 영위.

-현대차그룹에서 스마트카 솔루션을 총괄하고 있으며, 차선이탈경보시스템(LDWS), 차선변경 안전시스템(LKAS), 차간거리유지시스템(SCC), 자동주차시스템(SPAS), 주행간타이어상태확인시스템(TPMS) 등의 부품을 생산.

-사고 기록계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AVN(오디오-내비게이션) 생산.

-LG화학과 래튬이온 배터리팩(모듈) 개발과 생산을 전담하는 합작사 (HL그린파워)를 설립.
DB하이텍 -시스템반도체/ 스마트카/ 반도체 대표주(생산)

-DB그룹 계열의 시스템반도체 전문업체.

-주요 사업으로 웨이퍼 수탁 생산 및 판매를 담당하는 Foundry 사업과 디스플레이 구동 및 Sensor IC 등 자사제품을 설계 판매하는 Brand 사업을 운영.

-비메모리 반도체에 특화된 파운드리 업체. (반도체 위탁 제조사)

-자동차용 반도체 등을 설계업체에서 위탁을 받아 양산하는 라운드리업을 영위.

-자동차 블랙박스용 이미지 센서 공급을 시작으로 국내외 팹리스들에게 자동차 전장시스템에 들어가는 시스템 반도체를 지속 공급.
엠씨넥스 -자율주행/ 스마트카/ 드론/ 바이오인식/ 갤럭시부품/ 차량용 블랙박스/ 휴대폰부품/ 카메라모듈, 부품

-카메라 모듈 전문업체.

-초소형 카메라모듈 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카메라모듈(휴대폰, 차량용 등) 및 기타모듈(IP카메라, 블랙박스, MVR, 생체인식, 로봇 등)을 생산.

-차산이탈경보카메라(LDWS), 통신핸들조향연계 후방카메라(CAN), 졸음방지(DSM카메라), 나이트비젼 등을 개발중.

-'360도 어라운드 뷰(사방영상)' 시스템 기술 보유.

-드론용 카메라 사업에 진출.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Kyocera등 국내/외 휴대폰 업체와 현대모비스, S&T모티브 등 자동차 관련 업체 등.

-갤럭시S 시리즈부터 보급형 스마트폰 (M 등) 까지 라인업을 다양화하여 카메라 모듈 등을 공급.
LG이노텍 -아이폰/ 무선충전기술/ 휴대폰부품/ 카메라모듈, 부품/ LED/ 자율주행차/ 스마트카/ 스마트폰

-LG그룹 계열의 첨단 소재, 전자부품 전문업체로 차량용 카메라 등과 차량 전장용 부품 등 전기 전자 제품 제조, 판매.

-18년 자율주행차용 통신모듈 C-V2X 개발했으며, 19년 10월 세계 최초 5G 퀄컴칩 기반 차량용 통신모듈 개발.

-아이폰X에 사용되는 RFPCB및 듀얼 카메라 모듈, 무선충전모듈, 3D센싱 모듈 생산.

-유선 충전기와 동급 성능 구현하는 무선충전 송신 모듈 개발.

-무인차 관련기술의 핵심인 센서기술 개발을 현대차 그룹과 협업중.
모트렉스 -스마트카/ 자율주행차

-운전자와 차량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Automotive HMI 기술을 바탕으로 IVI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 중인 자동차 부품 업체.

-향후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율주행차량 시대에 대비하여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ADAS) 시장을 겨냥한 Head Up Display (이하 'HUD'), Dashcam 등을 개발하여 판매할 예정.

-전장 IT 사업 등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 현대/ 기아차 신흥국(인도, 멕시코, 호주 등) 수출 차량에 주력으로 제품 공급.

-아마존 알렉사 오토 적용 및 개발을 위한 MOU체결. (아마존 인공지능 비서 알렉사 탑재한 전기승합차 공개)
한컴DMS -스마트팩토리/ 4차산업 수혜주/ 모바일솔루션/ 자율주행차/ 스마트카

-임베디드 솔루션 전문업체.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 임베디드 개발 솔루션(툴, 기술지원, 교육, 컨설팅 등),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솔루션(OS, 어플리케이션) 및 임베디드 하드웨어 솔루션(산업용 및 국방/ 항공분야)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수요처는 현대자동차 계열, 만도 등 자동차 업체, 한화그룹 방산 계열, LIG넥스원, KAI 등 국방/ 항공 업체,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모바일 고객과 팅크웨어, 효성티앤에스 등 정보기기/ 산업용 업체 등임.

-20년 7월 4차 산업 중심의 지능형 사업부문을 분할해 주식회사 한컴인텔리전스 설립.
유비벨록스 -RFID/ 삼성페이/ 모바일솔루션/ 스마트카

-Embeded S/W 기반의 스마트 카드와 스마트 모바일(스마트폰, 스마트카) 사업을 영위.

-자회사 팅크웨어 보유. (아이나비 브랜드로 유명한 국내 내비게이션 업체)

-NFC 태그를 실장하는 유심실장 카드, NFC를 이용한 기프트 카드, NFC태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 등 다수의 NFC 관련 특허 보유.

-통신사와 카드사에 NFC-USIM 및 NFC 솔루션 제공.
만도 -자동차대표주/ 전기차/ 스마트카/ 전기자전거/ 자율주행차

-한라그룹 계열사로 제동, 조향, 현가장치 등을 개발/ 생산하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샤시부품과 전자조향장치, 차선변경 안전시스템, 자동주차시스템 등 전장부품을 개발/ 생산.

-차선변경 안전시스템(LKAS), 자동주차시스템(SPAS), 자동브레이크시스템(AEB), 차간거리유지시스템(SCC), 측후방사각지대 감시/ 경고 시스템(BSD) 등 전장부품을 개발/ 생산.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되는 회생제동시스템 개발 및 정부의 자전거 산업 육성 사업 참여를 통해 체인이 없는 페달식 전기자전거를 세계 최초 개발.

-만도는 ADAS와 관련해 585개 특허 보유. '레벨2' 수준의 ADAS를 현대차, 기아차 주요모델에 납품.

-레벨 2는 고속도로 등에서 운전자가 손을 놓고 차량이 자율주행하는 수준.

-아마존 배송차량에 첨단운전자시스템(ADAS) 부품 등 공급 예정.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차량용블랙박스/ 스마트카/ 자율주행차/ 4차산업 수혜주

-자동차 관련 전자부품 개발업체.

-커넥티드 및 자율주행 관련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내비게이션, HUD(Head Up Display), 자율주행과 관련된 안전보조장치인 ADAS(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 차량용 블랙박스 등을 개발, 제조.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유통/ 판매업체 현대폰터스(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상승이슈 : 테슬라, 완전자율주행차 출시 기대감/ 현대차, 미래모빌리티 전담조직 신설/ 문 대통령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차 상용화 추진/
인포뱅크 -모바일콘텐츠/ SNS/ 핀테크/ 자율주행차/ 전자결제/ 스마트카/ 모바일솔루션

-서비스사업(기업용메시징서비스 및 양방향미디어서비스, 스마트카 서비스 등), 기타사업(S/W 개발 및 솔루션 등) 영위 업체.

-양방향미디어서비스의 경우 지상파 및 주요 케이블 및 DMB 등 방송 부문의 독점체제를 구축했으며, 방송용 통합 플랫폼 '엠앤스튜디오3.0'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제휴 관계를 확대 중.

-지식경제부 주관의 WBS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스마트카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소프트웨어 분야에도 진출.

-스마트카 분야 자동차 전장부품 S/W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을 영위.

-주요 서비스로 Smart Car 서비스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솔루션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국제 표준 플랫폼인 GENIVI의 핵심 멤버.

-현대차그룹에 스마트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급.

-이재명 (성남창조경영 CEO 포럼 운영위원)

-상승이슈 : 애플, 2024년 자체 개발 배터리 탑재 자율주행 차량 생산 계획/
세코닉스 -카메라모듈, 부품/ 가상현실(VR)/ 갤럭시부품주/ 스마트카/ 휴대폰부품/ 자율주행차

-초정밀 카메라 렌즈 전문 제조업체.

-스마트폰용 카메라 렌즈, 차량용 카메라 렌즈, 광학부품 및 LED 확산렌즈 등을 생산.

-광량 LED 국산화를 통한 복합기능 LED 전조등 개발.

-MEGA급 디지털 카메라, 조향연동카메라, LDWS(차선인식), LKAS(차선유지지원), FCW(전방추돌경고), 이더넷 카메라, HBA(하이빔어시스트), DSM(운전자졸음인식), 사이드미러리스, HUD(헤드업디스플레이) 등의 기술 개발.

-주요 고객사로는 현대모비스, 르노삼성, 미국 젠텍스 등이 있음

-삼성전자 ‘기어 VR’에 초정밀 렌즈 제품을 납품.

-갤럭시S10 시리즈에 카메라 렌즈를 공급.

-핸들 조작에 따른 후방 주차 보조시스템, 메가급 화소 차량용 카메라 등 스마트카 기술 개발.
아이에이 -시스템반도체/ 수소차/ 자율주행차/ 전기차/ 스마트카

-비메모리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으로 수소차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전력 반도체, 전력모듈, 전력제어 변환 분야로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해 기술 개발에 매진중.

-2020년 이후 국내 최초로 수소차 핵심부품인 고전력 SIC반도체를 양산할 계획.

-자동차 전장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중이며, 현대/ 기아차와 자동차용 반도체를 국산화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차량 인포테인먼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반도체를 국산화 하는 등 다양한 반도체를 개발.

-이 외 멀티미디어 통신 및 ASIC(주문형 반도체 설계) 분야와 관련된 사업을 영위중.

-정부지원 국책과제인 '신성장동력 스마트 프로젝트' 및 '시스템 IC 2015' 과제에 참여하여 현대차그룹 등과 자동차용 반도체 (바디/샤시 분야)를 개발.

-2017년 12월 자율주행용 ADAS 핵심 기술인 '카메라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국책 과제 참여.

 

 

 

반응형

 

-3D 프린터란 3차원 설계도를 보고 입체적인 물건을 인쇄하는 프린터로,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 일본, 중국 등에서 정부 차원의 대규모 지원을 추진 중이며, 국내에서는 세계 최대 3D 프린터 제조업체 스트라타시스가 2013년 본격 진출하면서 관련 산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3D 프린터 시장이 성장 가능성이 있어도 아직은 틈새시장에 머물고 있으며, 관련 종목으로 언급되는 국내 업체들도 아직 실질적인 완제품 생산 기술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므로 투자에 유의가 필요하다.

 

-3D 프린터와 관련 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3D 프린터 관련주

 

 

신도리코 -3D 프린터

-국내 최초로 복사기, 팩시밀리 등을 생산한 사무 자동화 Output Product(복사기, 프린터, 기타기계, 소모품)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복합기, 프린터, 팩시밀리, 디지털인쇄기기 등.

-13년 10월 미국 3D 시스템스와 3D 프린터 '큐브(Cube)의 국내 독점 판매 계약 체결.

-16년 첫 독자개발 3D프린터인 '3DWOX DP200' 제품을 출시.

-19년 고속 FDM, 산업용 SLS 3D 프린터 개발.
프로텍 -아이폰/ 3D프린터/ 전자파/ 반도체 장비/ LED장비

-반도체장비, 표면실장공정(SMT) 및 LED 장비 제조업체.

-반도체 후공정에 사용되는 Dispenser M/C와 LED DIE BONDER, Attach System 등을 생산.

-주요 매출처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스태츠칩팩코리아,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 등이 있음.

-아이폰용 반도체 전자파간섭(EMI) 차폐 공정 장비를 SK하이닉스에 납품.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전문 생산업체로 3D 프린터용 모터 공급 가능업체로 시장에서 주목 받음.

-동사의 최대주주인 일본의 미네베아(MINEBEA)사는 이미 일본에서 3D프린터용 스테핑모터와 기어박스를 생산중.
에스티아이 -3D 프린터/ 반도체 장비

-반도체 및 Display용 관련 장비제조/ 판매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반도체 및 Display용 CCSS(중앙약품 공급시스템), Wet System(세정, 식각, 현상 시스템) 등.

-TFT-LCD용 Glass Etching System (TFT-LCD용 Glass 슬림화에 사용)을 개발.

-2005년부터 개발에 착수해 확보한 잉크젯 프린터 기술을 응용한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 3D프린터 등을 개발 완료.
하이비젼시스템 -아이폰/ 3D 프린터/ 자율주행차/ 카메라모듈, 부품/ 스마트폰/ 가상현실(VR)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에 들어가는 초소형 카메라모듈(CCM)의 자동검사시스템 전문업체.

-주요 상표로는 CCM 자동화 검사장비 부문 HVT-305 시리즈 등, 영상평가장치 및 기타 부문 HylMAGE Pro V-시리즈 등, 3D프린터 부문 CUBICON 시리즈 등.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LG이노텍 등.

-아이폰 듀얼카메라, 3D센싱 카메라 탑재로 인해 카메라 관련주로 부각.

-가상현실(VR) 3D 콘텐츠에 대한 수요 증가. (3D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듀얼카메라 탑재 비중을 높이고, 그에 따라 듀얼카메라용 검사 장비 공급)

-자율주행용 비젼센서 검사장비 개발.

-테슬라 자율주행 차량에 자율주행용 카메라 검사장비와 영상 처리보드 납품. 자회사인 퓨런티어, 글로벌 자동차 부품 회사에 자율주행 카메라모듈 캘리브레이션 장비를 공급.

-신규사업으로 3D프린터 및 3D스캐너 개발 사업을 영위.

-시장성이 높은 FDM 3D프린터를 개발하여 14년 말부터 시장판매를 개시.

-제품으로 CUBICON 시리즈 등이 있음.
티앤알바이오팹 -3D 프린터

-생물학적 제제, 생분해성 인공지지체, 3D바이오 프린팅 시스템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

-독자적으로 개발한 3D 바이오프린팅(세포 프린팅 포함) 시스템과 세포프린팅에 필수 재료라 할 수 있는 바이오잉크를 비롯하여 3D 바이오프린팅 시스템으로 생산되는 조직 재생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의 상용화 완료.

-체외실험용 3D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및 3D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진행 중.

-신규사업으로 비접촉식 디지털 체온계를 제조/ 판매중.

-존슨앤존슨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지속 등에 관련주로 부각.
로보스타 -반도체 장비/ 3D 프린터/ LCD장비/ 4차산업 수혜주/ OLED/ AI

-제조용 로봇 및 자동화 장비 개발/ 생산하는 산업용 로봇 전문업체.

-양팔을 이용한 소속의 물체 조작/ 조립이 가능한 제조용 지능형 로봇 개발.

-산업용 산업용 로봇과 평판디스플레이용 장비, IT부품 제조장비 등을 생산.

-최대주주는 LG전자(주)

-2018년 7월 LG전자로 최대주주가 변경되면서 LG그룹과의 사업적 시너지 예상. (LG화학의 2차전지 배터리 생산 능력 확대 및 LG디스플레이의 TV용 OLED투자 확대 등에 따라 호실적 예상_

-3D 프린터의 기본 원리인 X,Y,Z 축의 움직임과 그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기술을 보유.

-3D 프린터의 제작 활성화에 따른 부품 적용 확대 기대.

-상승이슈 : 현대차그룹, 미국 로봇 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속 글로벌 로봇 시장 성장세 부각/
휴림로봇 -원자력발전소 해체/ AI/ 3D프린터/ 4차산업 수혜주/ 스마트팩토리

-제조업용 로봇 및 지능형 로봇 제작 및 판매사업을 영위.

-정부의 R러닝 사업과 연계하여 지능형 애완로봇 '제니보'를 유치원과 로봇관련 교육기관에 배치.

-2019년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스마트 퍼스널 로봇 '테미(temi)' 공식 출시.

-2015년부터 디스플레이 산업에 국한 하지 않고 반도체, 자동차, 3D프린터 등 제품 판매처를 다양화하는 사업영역 확대를 추진중.

-폭발물처리 및 원전해체 로봇 관련 기술을 보유한 한울로보틱스와 지분 출자를 통해 합작법인 인웍스로봇을 설립.

-3D 프린터의 기본 원리인 X,Y,Z 축의 움직임과 그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션컨트롤 기술을 보유.

-3D 프린터의 제작 활성화에 따른 부품 적용 확대 기대.

-이낙연 인맥(이재호 사외이사가 서울대 동문이며 동아일보 편집국장 이력 보유)

-자회사 삼부토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동생 이계연 이사 선임 추진.
세중 -3D 프린터/ 여행

-여행사업(항공권 판매, 여행알선 등) 영위 업체.

-종속회사인 세중정보기술이 3D 프린터 cube, cubeX 등의 판매 및 응용 프로그램 제작 등의 사업을 진행중.

-홍정욱 (천신일 회장이 홍정욱과 같은 천마회원)
맥스로텍 -3D 프린터/ 공작기계/ 스마트팩토리/ 코로나19

-자동차 생산 자동화 시스템 분야 업체.

-국내에서 유/ 무선 갠트리로봇 시스템을 모두 생산/ 공급.

-경영권 인수를 추진 중인 성운파마코피아, 코로나19 치료제 베클루리주(성분명 렘데시비르) 원료의약품 상용화 기술 국내 최초 개발.

-로봇 및 IT기술이 융합되고, 병렬링크기술을 이용한 5축 공작기계인 PKM 사업을 추진중. 공작기계용 이동식 자동공구교환장치 특허 보유중.

-3D 프린터에 활용되는 이송시스템 기술 보유.

-PKM과 3D 프린터 융복합 기술 개발을 추진.
모아텍 -3D 프린터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전문 생산업체.

-기존의 PC, OA, HA용 STEPPING MOTOR 단품을 이용한 가전용 ACTUATOR제품군, 자동차용 편의 및 안전장치용 ACTUATOR 및 EV 자동차용 특수 MOTOR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주택설비 관련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어 온수조절용 밸브, FCU등 난방, 공조관련 액츄에이터의 개발을 완료하여 2020년 하반기부터 판매 계획.

-3D 프린터용 모터 공급 가능업체로 시장에서 주목 받음.

-동사의 최대주주인 일본의 미네베아(MINEBEA)사는 이미 일본에서 3D프린터용 스테핑모터와 기어박스를 생산중.

-상승이슈 : 저유동성 종목 단일가매매 해제
코렌텍 -의료기기/ 3D 프린터

-인공관절 분야 국내 선도업체.

-손상된 뼈와 연골을 대체하는 인공고관절(엉덩이 관절)과 인공슬관절(무릎 관절) 등 정형용 임플란트 제품을 개발, 제조하여 판매.

-터키와 이란, 미얀마, 이탈리아, 수단, 몽고, 베트남, 미국, 중국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2011년말 미국 법인인 코렌텍 아메리카를 설립.

-금속 3D 프린터 생산 및 판매업체 (주)인스텍 지분 보유.

-상승이슈 : 경골절삭가이드 결합 어셈블리 관련 미국 특허 취득/
TPC -3D 프린터/ 스마트팩토리/ AI/ 4차산업 수혜주

-종합자동화 시스템 전문업체.

-협동로봇 관련제품 및 3D 프린팅 생산, 판매.

-스마트 팩토리 사업부 운영.

-LG전자에 15억 규모의 T로봇 공급계약 체결 이력이 있음.

-미 Rethink Robotics의 협동로봇인 'Sawyer'와 대만의 세계적인 협동로봇 제조회사인 Quanta Storage 사의 'Techman Robo'을 국내시장에 판매중

-13년 10월 3D 프린팅 사업본부를 신설, 국내외 3D 프린터 업체와 사업 협약.

-세계적인 3D 프린터 회사인 스트라타시스사와 업무제휴를 맺어 해외 유수 제품을 국내에 도입하여 시장 확대를 추진중.
한국테크놀로지 -3D 프린터/ 원자력발전소 해체/ 황사, 미세먼지/ 자율주행차

-자동차 전장 및 기술엔지니어링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중.

-자동차 전장 사업은 ADAS 및 디지털 클러스터, 스마트카 커넥티비티 및 클라우드 시스템 개발, 제조, 유통 등을 영위 중이며,

-기술엔지니어링 사업으로 고수분 저급석탄의 고품위화 사업, 석탄건조설비 및 발전설비 경상정비 사업, 통합관제시스템구축사업을 영위.

-방사성 폐기물 저감 처리 기술 관련 특허 취득.

-건설 사업을 영위하는 대우조선해양건설(주)을 (주)한국인베스트먼트뱅크를 통해 보유.

-현대차, 국민대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발주한 총 500억원 규모의 '대중교통 시스템 연구와 V2X 상용차(트럭)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과제 공모'에 참여했으며, 18년 6월 자율주행 연구개발 사업자로 선정돼 개발에 착수.

-2010년 3월 KAIST 연구진과 산학협력을 통하여 3D프린터를 국내 기술로 양산에 성공한 솔리시스와 공동사업 MOU를 체결한 바 있음.

 

 

 

반응형

 

-원자력발전소 해체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 및 북한의 비핵화 기대감 등으로 부각되는 종목군이다.

 

(출처 : 아이뉴스24)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탈원전 정책으로 발표된 에너지전환 로드맵에는 신규 원전 건설계획 백지화 및 노후 원전 수명연장 금지 등을 통한 단계적인 원전 감축, 그리고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30년까지 20% 확대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또한, 북한이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선언을 공식화하는 등 원자력발전소 해체 시장 개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해체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원자력발전소 해체 관련주

 

 

한전기술 -원자력발전/ 원자력발전소 해체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소 및 플랜트 관련 엔지니어링 업체.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수화력발전소의 설계, 발전설비 Q&M, 플랜트 건설 사업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영위.

-원자력발전소 설계사업의 경우 국내 사업은 한국수력원자력이 발주하는 국내원자력발전소의 설계 및 엔지니어링을 맡고 있음.

-신한올 3,4호기 종합설계, 신고리 5,6 호기 종합설계, UAE원전 건설에 한전 컨소시엄으로 참여하여 설계기술을 해외로 수출한 바 있음.

-17년 원전해체 기술개발을 완료했으며, 고리1호기 해체종합설계용역 수주.

-2015년 독일 프로이센일렉트라 사와 원전 해체 기술 전수 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 및 연구용 원자로인 트리가 마크와 우라늄 변환시설 해체 사업 참여.
오르비텍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항공기부품

-원자력사업, ISI사업, 항공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원자력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선안전관리, 방사성폐기물 규제 해제, 방사선 계측사업 및 관련제품 생산/ 판매 등, ISI 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설비 가동전/ 중 검사 및 비파괴기술검사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원전해체산업기술연구조합(NDIRA) 조합사. 방사선 안전관리와 폐기물 분석 및 처리 기술 보유.

-2013년에는 항공기 정밀부품 제조업에 진출하여 AS9100 국제 품질인증 획득.

-항공기 부품 제조업 영위하는 에이에스티지를 계열사로 보유.

-후쿠시마 원전 오염 지역 세슘 오염 토양 무산제얌 공정기술 및 장비개발 과제 진행 중.
비츠로테크 -우주항공산업/ 방위산업, 전쟁 및 테러/ 핵융합에너지/ 원자력발전소 해체/ 전력설비/ 철도/ 인공태양

-자동절환 개폐기, 진공차단기/저압차단기, 배전반 등을 생산하는 전력기기 업체.

-플라즈마기술을 이용한 폐액처리 및 진공상태 초정밀접합, 특수정공 설계 등을 통한 항공우주 시제품을 생산하는 특수부문 사업도 영위.

-주력 생산 제품인 리튬염화티오닐전지가 군용장비의 주전원에 사용되며, 비축형전지는 최첨단 미사일, 폭탄 등의 주전원으로 사용됨.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 우주발사체 고체연료 사용제한 해제 소식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인공태양 사업에 직접 참여.

-고온플라즈마기술을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 폐기물 및 폐액처리, 산업폐기물 처리 사업 영위.

-플라즈마기술을 이용하여 핵융합반응을 일으켜 핵융합에너지를 얻는 KSTAR프로젝트사업에 참여. 초고온의 플라즈마로부터 토카막 내부의 장치를 보호하는 PFC 등을 제작.
한전KPS -원자력발전/ 원자력발전소해체/ 전력설비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설비 정비 전문업체.

-국내 발전설비정비 선도기업으로서 전력설비정비(화력, 원자력/양수, 송변전, 대외, 해외) 이와 관련되는 기술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영위.

-원전제염 및 원전 주요기기 해체기술 개발, 폐기물처리기술 개발, 해외 선진사와 기술 및 사업협력을 통한 국내외 원전해체 사업 진출 준비중.

-고리원전 1호기 해체를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원전 해체 기술 관련 협약 체결.
휴비스 -화학섬유/ 원자력발전소 해체/ 마스크

-섬유용 폴리에스터를 주력으로 생산 중이며, 의류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장섬유(FV)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서터 단섬유(SF), PET소재, Bottle 및 필름 용도 등으로 쓰이는 폴리에스터 칩을 생산 중.

-마스크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생산.

-원전 수처리 기술을 가지고 있는 (주)휴비스워터의 지분을 보유중인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지분 보유중.
우리기술 -철도/ 수자원/ 원자력발전소 해체/ AI/ 원자력발전/ 풍력에너지

-제어계측 전문업체.

-시스템사업(원자력, 플랜트, 철도), SOC사업, 바이오사업, 신규사업, 임대사업으로 나누어 사업을 영위.

-지능형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는 (주)케이엠씨로보틱스를 손자회사로 보유.

-자회사 씨지오와 한국석유공사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 공급업체 선정.

-플랜트 사업은 수처리, 환경, 전력, 발전 등 다양한 플랜트에 자체 보유하고 있는 제어시스템과 PLC에 기반을 둔 솔루션을 제공.

-원자력사업의 경우 원자력발전소의 감시, 경보, 제어시스템을 100%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공급, 특히 원전의 핵심기술인 계측제어설비(MMIS)는 국산화에 성공하여 세계 4번째로 원전 핵심기술 보유.

-원전 해체 시 관련 기술을 적용한 기업의 원전 해체 참여 기대감에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주)우리바이옴을 종속회사로 보유. (의학 및 약학 연구 개발업체)

-상승이슈 : SK건설과 해상풍력단지 사업 관련 MOU체결 소식에 상한가.
휴림로봇 -원자력발전소 해체/ AI/ 3D프린터/ 4차산업 수혜주/ 스마트팩토리/ 지능형로봇/ 인공지능(AI)/

-제조업용 로봇 및 지능형 로봇 제작 및 판매사업을 영위.

-정부의 R러닝 사업과 연계하여 지능형 애완로봇 '제니보'를 유치원과 로봇관련 교육기관에 배치.

-2019년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스마트 퍼스널 로봇 '테미(temi)' 공식 출시.

-2015년부터 디스플레이 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반도체, 자동차, 3D프린터 등 제품 판매처를 다양화하는 사업영역 확대를 추진중.

-폭발물처리 및 원전해체 로봇 관련 기술을 보유한 한울로보틱스와 지분 출자를 통해 합작법인 인웍스로봇을 설립.

-이낙연 인맥(이재호 사외이사가 서울대 동문이며 동아일보 편집국장 이력 보유)

-자회사 삼부토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동생 이계연 이사 선임 추진.
두산중공업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수자원/ 핵융합에너지/ 전력설비/ 풍력에너지

-두산그룹 계열사로 발전설비사업(원자력, 화력, 풍력, 열병합 등), 담수/ 수처리 및 산업설비사업, 주단사업, 건설사업 등을 영위.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수화 플랜트, 환경설비 등을 제작 및 공급.

-해수담수화 전 Process(다단증발법, 다중효용증발법, 역삼투압법)를 EPC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 역량 보유.

-원자로 용기 제작이 가능한 단조설비를 가진 세계적인 회사 중 하나이며, 국내 첫 원자력발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주기기 공급사로 참여.

-원전 핵심설비 해체 공정 및 시뮬레이션 기술 등을 보유.

-두산인프라코어(주), 두산건설(주), 등을 자회사로 보유.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에서 대형복합화력발전 설비를 수주하는 등 다수의 복합화력발전플랜트 건설 경험 보유.

-3MW급 풍력 발전 시스템인 WinDS 3000을 개발했으며, 국내업체 최초로 국제 형식인증 취득. 30MW 규모의 국내 최초 해상풍력단지 건설 외 국내외 다수 프로젝트에 공급.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 부품 생산에 참여.
대창솔루션 -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풍력에너지/ 원자력발전소 해체/ 북한 광물자원개발

-생활안전구조재, 자원채굴설비품, 에너지변환장치품 (육상, 해상용 대형 엔진과 전력을 생산하는 엔진용도), 수송 및 산업기기 부품소재 (화물운송에 사용되는 대형 선박 및 산업기계의 부품소재로 이용)에 사용되는 주강품 및 관련 제품 생산업체.

-종속회사 크리오스를 통해 초저온산업(초저온 액화가스의 저장, 이송, 충전설비 관련 장치 및 부품산업)을 영위.

-에너지변환장치품 매출액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19년 중국으로부터 풍력부품 수주해 시제품 생산이 진행중.

-LNG 저장 시설 및 탱크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주)크리오스를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핵 폐기물 저장 용기 제작 사업 영위. 18년 5월 캐나다 원전 핵폐기물 컨테이너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안철수(박정호 대표이사가 부산고(안철수 의원 모교) 총동문회장을 역임했다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비에이치아이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용, 제철용 산업설비 설계/생산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HRSG(배열회수보일러),보일러, Balance of Plant 등.

-원자력 발전 보조설비(원자로에서 나오는 열을 보일러로 전달하는 열교환기를 비롯한 각종 주변기기)를 생산.

-한국 에너지 기술평가원의 정부출연과제인 사용후핵연료 수송·저장용기 차폐체 개발 진행 및 수행 완료.

-주요 고객으로는 한국전력을 비롯한 전력회사 및 발전사업자, 대형건설사, 포스코를 포함한 제철회사 등.

-LNG복합화력의 핵심설비 HRSG(폐열회수장치) 생산 업체.

-셰일가스 개발로 천연가스 발전용 배열회수 보일러 부문의 수혜 예상됨.
우진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 발전

-산업용 계측기 및 제어장치 제조/ 판매 업체.

-원자력발전소용 계측기, 철강산업용 자동화장치, 설비진단시스템, 유량계 및 유량 시스템, 신소재 사업을 영위.

-축적된 계측기 관련 기술력을 응용하여 원자력발전소용 계측기를 핵심 사업으로 영위.

-자회사 NEED 일본 내 원전오염 정화 기술 인증 소식에 급등.

-18년 3월 방사능 제염업체 원자력환경기술개발(NEED) 지분을 인수하여 국내외 원전 폐로 사업에 진출.

-이재명 (사외이사 중대동창회 회장)

-이낙연 (삼부토건 지분 보유)

-상승이슈 : 자회사 '우진 재핀'을 통한 일본 방사능 제염사업 진출 기대감.
에스앤더블류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조선기자재

-선박엔진 부품 및 산업부품(산업볼트), 단조품 생산/ 판매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선박(디젤)엔진용 부품인 엔진볼트, 밸브 및 시트링, 캠 및 캠축 등.

-두산중공업 등에 볼트, 스크류 등을 공급. 신고리/ 월성/ 울진/ 영광원자력 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원자력 ASME SEC3 볼트류를 공급.

-원전산업단지 '지사융합산업단지개발(주)'지분을 보유중임.

-주요매출처로는 삼성중공업(주), 현대중공업(주), HSD엔진(주), STX엔진(주), STX중공업(주), MAN B&W DIESEL 등.

-가덕도 신공항 (가덕도 인근 토지 보유)
한국테크놀로지 -3D프린터/ 원자력발전소 해체/ 황사, 미세먼지/ 자율주행차

-자동차 전장 및 기술엔지니어링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중.

-자동차 전장 사업은 ADAS 및 디지털 클러스터, 스마트카 커넥티비티 및 클라우드시스템 개발, 제조, 유통 등을 영위 중이며,

-기술엔지니어링 사업으로 고수분 저급석탄의 고품위화 사업, 석탄건조설비 및 발전설비 경상정비 사업, 통합 관제시스템구축사업을 영위.

-방사성 폐기물 저감 처리 기술 관련 특허 취득.

-건설 사업을 영위하는 대우조선해양 건설(주)을 (주)한국인베스트먼트뱅크를 통해 보유.

-현대차, 국민대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발주한 총 500억원 규모의 '대중교통 시스템 연구와 V2X 상용차(트럭)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과제 공모'에 참여했으며, 18년 6월 자율주행 연구개발 사업자로 선정돼 개발에 착수.
에이비프로바이오 -공작기계/ 원자력발전소 해체

-공작기계 전문업체로 소형머시닝센터를 개발, 생산, 판매.

-IT부품산업과 자동차부품산업, 기타 부품산업용 머시닝센터 제조와 머시닝센터의 부분품인 Unit제조를 주력사업으로 영위중.

-이중항체 신약개발사업 영위 업체인 美 Abpro Bio International, Inc. 및 방사성폐기물 제염해체 및 처분업체 (주)액트 등을 자회사로 보유.

-원전해체산업기술연구조합(NDIRA) 조합사.

-모더나 관련주(모더나 창립멤버 사내이사 영입 사실 부각)/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 관련주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노인 대상 강력한 면역 반응)

-아스트라제네카 관련주로 부각 및 美 자회사 에이비프로 코퍼레이션 코로나19 치료제 'ABP-300' 영장류 실험 결과 네이처지 게재 소식 등에 상한가

-상승이슈 : 美 자회사 에이비프로 코퍼레이션, 중화항체치료제 ABP300 코로나19 치료효과 검증을 위한 글로벌 임상 2/3상 진행 소식에 급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