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LCC (적층세라믹콘덴서)는 가전제품의 필수부품으로 금속판 사이에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도체에 필요한 만큼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반도체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는 전자부품이다.

 

 

-전기가 통하지 않는 세라믹과 전기가 통하는 (금속)니켈판을 여러 겹으로 쌓는 고난이도 기술이 필요하다.

 

-MLCC는 IT 고기능화 및 전장, 5G 등 새로운 수요처가 맞물려 앞으로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MLCC (적층세라믹콘덴서)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MLCC (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삼성전기 -자율주행차/ PCB/ 무선충전기술/ 갤럭시부품주/ 아이폰/ 폴더블폰/ MLCC

-종합전자부품 메이커

-모듈솔루션 사업부문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등), 컴포넌트솔루션 사업부 (MLCC, Inductor, Chip Resistor 등), 기판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판, 고밀도다층기판, RFPCB등)을 영위.

-MLCC 관련주로 주목. (0402 (0.4mm x 0.2mm) Size 등의 초소형 MLCC 등 고객의 Size 요구에 맞는 제품 개발 및 공급)

-모듈솔루션 사업을 통해서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등을 생산 및 판매 중이고 수동소자 등을 취급하고 있어 아이폰 관련주로 부각.

-아이폰X5.85 인치와 후속모델에도 납품을 확정.
코스모신소재 -2차전지/ 전기차/ MLCC

-국내 대표 2차전지 양극재 생산업체.

-기능성 필름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등을 제조 생산, 판매하는 업체.

-2020년은 NCM 소재의 본격적인 매출 반영과 추가적인 CAPA증설, 그리고 MLCC이형필름의 수익성 개선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

-주요매출처 삼성전기, 삼성SDI 등.

-2차전지 양극재.
알에프세미 -MLCC/ 음성인식/ 태블릿PC/ 휴대폰 부품/ 스마트폰/ LED/ AI

-소자급 반도체 칩 개발에서 생산, 장비기술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반도체 전문기업.

-반도체 소자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여 Driver IC 를 이용한 LED 조명의 제조 및 판매 사업도 추진.

-주요제품으로는 마이크로폰용 ECM Chip (소형전자기기의 마이크로폰), TVS Diode (전자기기 회로보호용 소자), AC 직결형 LED 조명 등.

-기존 ECM에 MLCC 기능을 탑재한 RF Filter용 ECM Chip 을 개발해 국내외 마이크로폰 업체에 공급중.
아모텍 -전자파/ MLCC/ 갤럭시 부품주/ RFID/ 삼성페이/ 핀테크/ 스마트폰/ 휴대폰부품

-신소재를 바탕으로 한 종합 소재부품 전문기업.

-정전기(ESD) 및 전자파(EMI)를 방지하는 부품을 제조/ 판매하는 세라믹 칩 부품 사업

-그리고 Bluetooth, GPS, NFC 등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제조/ 판매하는 안테나 부품 사업과

-고효율, 저소음, 장수명의 장점을 가지는 가전용, 자동차용 BLDC 모터를 제조/ 판매하는 BLDC 모터 사업부문으로 구성.

-국내 뿐만 아니라 중국, 대만, 미국 및 유럽 등에 수출.

-삼성전자와 중국스마트폰 업체에 NFC(근거리무선통신)관련 부품 납품.

-2019년 상반기 본격적인 양산을 목표로 복합 MLCC 개발을 진행했으며, 중국 통신업체향 MLCC 납품 기대감.
대주전자재료 -MLCC/ 태양광에너지/ 2차전지

-전자부품용 소재 전문제조업체로 태양전지 전극재료 생산.

-주요 제품으로는 전도성 페이스트(전기, 전자부품의 소체에 전극을 형성시켜 전기를 통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재료), 태양전지 전극재료, 고분자재료, LED용 형광체 등.

-2차전지 첨가제.

-MLCC 등 전자부품에 쓰이는 전도성 페이스트 및 LED 등에 쓰이는 형광체와 기타 고분자재료 등을 생산/ 판매.

-고객사인 삼성전기에 MLCC용 전극 페이스트를 공급중.
네온테크 -드론/ MLCC/ LED장비/ 반도체장비

-자동화설비 중 제어장치 및 모터 상품 제조, 반도체/LED/MLCC용 절단 장비 제조 등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반도체/LED/MLCC용 절단 장비 부문 주요 제품으로는 Dicing Saw(반도체/LED), Saw & Sorter(반도체/PCB), MLCC Cutter(MLCC), Micro LED Cutting(PCB Panel) 등이 있음.

-신규사업으로 산업용 드론 사업 추진 중.
삼화콘덴서 -핵융합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전기차/ 전력저장장치/ MLCC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를 생산.

-주요제품으로 전력용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 적층 콘덴서(MLCC), Chip Inductor 및 핵융합 관련 핵심부품 등.

-MLCC 매출 비중이 높음.

-한국전력공사 제주실증단지구축사업 컨소시엄에 참여한 바 있으며, 스마트그리드관련 전력용 콘덴서를 개발, 신규사업으로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중.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전기차 및 신재생에너지 인버터용 DC링크 커패시터 개발.

-이차전지, ESS장치 등 직류전원시장 활성화로 필수 부품인 인버터의 수요 확대 예상.
윈텍 -MLCC(적충세라믹콘덴서)/ 2차전지

-머신비전 및 화상처리를 통한 전자 부품, 디스플레이,필름 검사 S/W 개발 및 장비 제작 사업을 영위.

-주요 사업부는 MLCC 외관 검사기 및 마이크로 칩 외관 검사기 관련 CI(Chip Inspector) 사업,

-디스플레이(OLED BONDER/BENDING) 관련 검사장비 사업부인 LI(LCD Inspector)사업, 필름 관련 검사장비인 FI(Film Inspector) 사업으로 분류.

-MLCC 외관검사기의 경우 국내 중소형 MLCC제조사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확보중이며, 필름 검사장비의 경우 이차전지용 필름의 불량을 검사하는 장비로 주로 이차전지 음극의 집전체로 사용되는 동박 필름의 검사에 사용.

 

 

 

반응형

 

-3D 낸드(NAND)는 메모리 반도체의 한 종류로 2D 낸드의 회로를 수직으로 세운 제품이다.

 

 

-3D 낸드는 2D(평면) 낸드보다 속도가 빠르고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으며, 안정성과 내구성도 뛰어날 뿐 아니라 전기 소모량도 적다.

 

-기술력을 요하는 만큼 삼성전자, 도시바 등 일부 대형업체만 양산해 왔는데, SK하이닉스가 본격 양산하는 등 3D 낸드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 되면서 부각되고 있는 섹터이다.

 

-3D 낸드(NAND)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3D 낸드(NAND) 관련주

 

 

삼성전자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업체.

-CE사업부문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IM사업부문 (HHP,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 DS사업부문 (DRAM, NAND Flash, 모바일AP, TFT-LCD, OLED 등), Harman 사업부문 (디지털 콕핏, 텔레메틱스, 스피커 등) 등의 4대 총괄사업으로 나누어 독립 경영 중.

-낸드 플래시 시장 점유율 1위 및 3D NAND를 탑재하는 SSD의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중.

-5세대로 분류되는 96단 3D NAND 양산에 성공.
SK하이닉스 -IT대표주/ 반도체 대표주/ 3D 낸드/ 아이폰/ 자율주행차/ 태블릿PC/ 시스템반도체

-SK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전문 제조업체.

-주력 생산제품은 DRAM 과 낸드플래시 및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아이폰X에 듀얼 렌즈 및 3D Sensing 기술 적용 등에 따른 3D NAND 탑재량 증가 전망.

-업계 최초로 72단 NAND FLASH 개발. 3D NAND를 사용한 Enteprise향 PCie SSD 제품 등을 개발.

-세계 최초로 CTF(Charge Trap Flash) 기반 4D 낸드플래시 구조의 96단 512Gb TLC (Triple Level Cell) 낸드플래시 개발에 성공 및 128단 1Tb TLC 4D NAND 개발.
SK머티리얼즈 -일 수출 규제/ 반도체 재료, 부품/ 태양광에너지/ 3D 낸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SK그룹 계열사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제조 과정에 사용되는 특수가스 제조, 생산 전문업체.

-NF3의 첫 국산화를 성공시켰으며, 현재 NF3 및 WF6 생산량 및 M/S 세계 1위 업체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원익IPS -반도체장비/ 3D낸드/ OLED/ 태양광에너지

-반도체 증착장비 및 장치, LCD/AMOLED장비, SOLAR CELL장비 등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

-삼성전자의 핵심장비 공급업체로 주요 매출품목은 PE-CVD(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장비), Dry Etcher(드라이에쳐) 등.

-삼성전자의 핵심장비 공급 업체로 삼성전자의 3D NAND 추가 설비확장 등에 따른 수혜 전망.
심텍 -PCB/ 3D낸드

-반도체 및 통신기기용 인쇄회로기판(PCB)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제품은 메모리 모듈용 PCB와 Package Substrate(각종 칩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제품 본체에 연결해 주는 핵심부품) 등이 있으며, 수출비중이 높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피에스케이홀딩스 -반도체 장비/ 3D낸드

-반도체 후공정 장비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며, 주요 제품으로는 WLP/FOWLP/FOPLP Descum, Reflow 장비 등이 있음.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후성 -2차전지/ 3D낸드/ 여름/ 온실가스(탄소배출권)/ 반도체 재료, 부품/ 일수출 규제

-불소를 기반으로 한 가전 및 냉매가스와 반도체용 특수가스, 2차전지 재료 및 자동차용 냉매가스 생산업체.

-냉매가스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LG전자, 캐리어, 벽산,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

-반도체 소재 국산화 극일

-2차전지 전해질.

-탄소배출권 판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제우스 -태양광에너지/ 3D낸드/ LCD장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생산장비 제조 업체.

-TFT-LCD 장비 및 태양전지 장비, 반도체 제조 장비 사업을 영위. 종속회사 (주)쓰리젯을 통해 플러그밸브장비 사업을 영위.

-태양전지 제조장비 생산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케이씨텍 -3D낸드/ 반도체 재료, 부품

-케이씨(구 케이씨텍)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및 소재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전공정 장비 및 소모성 재료 제조/ 판매.

-반도체 CMP/세정 장비, 디스플레이 Wet-station/Coater 장비, 반도체 Slurry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의 Line-up을 보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테크윙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 부품/ 3D낸드

-반도체 테스트핸들러 장비 전문 기업.

-메모리 테스트핸들러 장비 기술을 기반으로 비메모리 테스트핸들러 장비 시장으로 사업 확대.

-주요 고객사는 SK하이닉스, SanDisk, Micron 등 글로벌 메이저 반도체 소재 및 테스터 업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유니테스트 -반도체 장비/ 3D 낸드/ 태양광에너지

-태양광발전관련 전기업을 영위하는 유니솔라에너지(주) 및 유니청정에너지(주)의 지분 100%를 보유중이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 시공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중.

-반도체 검사 장비를 전문으로 개발 및 생산하는 업체.

-반도체 후공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메모리 모듈 테스터 및 메모리 컴포넌트 테스터, 번인테스터 등의 제품 생산 주력.

-자회사 '테스티안'이 비메모리 부문 전류 검사 장비 및 소모품 제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디엔에프 -3D낸드/ 반도체 재료, 부품

-반도체 소자 형성용 박막 재료 전문업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소재로 사용되는 유기금속화합물(ALD/CVD 전구체)을 개발, 제조, 판매 및 기술지원을 제공.

-특히, Double Patterning Tech용 소재로 사용되는 DPT 제품과 캐패시터 유전막용소재인 High-k 제품, LT(Low-temp)Sio/Sin용 소재인 HCDS 제품, 식각공정에 사용되는 하드마스크필름용 소재인 ACL 제품, 확산방지막 제품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

-3D NAND용 HCDS를 공급하고 있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테스 -반도체장비/ 3D낸드/ 태양광에너지

-반도체 장비제조 사업(전공정 핵심 장비 CVD, ETCH장비 제조 등) 등을 영위하는 업체.

-반도체 관련 주요 제품은 PECVD(플라즈마화확기상증착장비)와 Gas Phase Etch & Cleaning 장비이며, OLED용 박막봉지장비와 UVC LED 용 MOCVD장비 사업도 영위.

-주요 고객으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이 있으며, 매출 대부분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UVC LED 장비 등 사업에서 발생.

-태양전지용 장비제조 사업 영위.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용 증착장비, CIGS박막 태양전지용 증착장비, 태양전지용 Total R&D Solution 등의 연구과제 수행.

-삼성전자 파운드리 건식식각장비 이원화에 따른 멀티 벤더로 진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한양이엔지 -3D 낸드/ 우주항공산업/ 원자력발전/ 반도체 장비

-반도체/ 디스플레이 유틸리티 설비 및 관련 장비 제조 업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Fab 설비에 필수적인 고순도(UHP) 특수가스 설비 및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 제공.

-화학물질중앙공급장치 제조를 비롯한 일반산업플랜트, 바이오제약플랜트, 정밀화학 및 전자재료 산업설비, 태양광 관련 제조시설 등과 원자력발전설비(원자력 폐수처리설비) 및 우주항공분야에도 진출.

-코스닥 상장업체인 한양디지텍과 동일한 기업집단에 속해있으며, 한양네비콤의 지분 보유.

-특수가스설비 기술을 바탕으로 나로호 발사체 관련 설비에 참여함.

-나로호 탑재된 GPS(위성항법장치) 수신기 및 안테나를 만든 한양네비콤의 지분 보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원익머트리얼즈 -반도체 재료, 부품/ 3D 낸드/ OLED/ 수소차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특수가스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원익큐브의 최대주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종합반도체회사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음.

-반도체 이외에도 삼성디스플레이 AMOLED 사업부에 공정용 특수가스를 공급 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 기대.
원익QnC -3D 낸드/ 반도체 재료, 부품

-원익그룹 계열로 반도체 WAFER 생산시 소요되는 석영유리제품과 반도체 및 LCD 생산시 사용되는 세라믹 제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공급하는 업체.

-LCD 등 액시머램프 제조 및 반도체 소재부품 세정 용역사업도 영위.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피에스케이 -3D낸드/ 시스템반도체

-기존 피에스케이에서 반도체 전공정 장비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됨에 따라 재상장된 업체.

-주요 제품으로 Dry Strip, Dry Cleaning, New Hard Mask Strip, Etch Back 등이 있으며, Dry Strip 장비분야 세계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확고히 하는중.

-상승이슈 : 삼성전자의 반도체 CAPEX 수혜 전망.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한솔케미칼 -3D 낸드

-과산화수소와 라텍스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는 한솔그룹 계열의 정밀화학업체.

-라텍스(접착 코팅제로 인쇄용지 및 산업용지 생산에 주로 사용), 과산화수소(제지, 섬유의 표백제, 반도체용 등으로 사용), 고분자응집제(친환경 폐수처리 약품), 차아황산소다(SD, 환원표백제 용도)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

-주요 매출처는 삼영순화, 한솔제지, 신화인터텍, 미래나노텍 등.

-상장사인 테이팩스의 최대주주이며, 한솔홀딩스(주), (주)메디포럼제약 등의 지분 보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반도체용 과산화수소 매출 증가 기대.
유진테크 -반도체장비/ 3D 낸드

-반도체 전공정장비업체.

-전공정의 웨이퍼 처리공정 중 박막형성재료를 화학반응에 의해 반도체 기판 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장비를 제공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들의 3D NAND 설비 확장 계획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기대.

-이낙연

-주요매출처 :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반응형

 

-셰일가스는 오랜 세월동안 모래와 진흙이 쌓여 단단하게 굳은 탄화수소가 퇴적암(셰일)층에 매장되어 있는 가스로, 전통적인 가스전과는 다른 암반층으로부터 채취하기 때문에 비전통 천연가스로 불린다.

 

 

 

-셰일가스는 기술적 제약 때문에 오랫 동안 채굴이 이뤄지지 못하다가, 2000년대 들어 수평정시추 등이 상용화 되면서 신에너지원으로 급부상하였다.

 

-셰일가스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셰일가스 관련주

 

 

한국가스공사 -환율하락수혜/ 도시가스/ 겨울/ 셰일가스/ LNG(액화천연가스)/ 자원개발

-천연가스 도입 및 도매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보유한 정부출자 공기업.

-해외의 천연가스 생산지로부터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

-수익원 다각화와 안정적인 도입원 확보를 위해 해외사업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가스자원 탐사/ 개발 사업, 액화사업 및 지분투자(모잠비크 Area 4 해상광구 탐사 사업, 사이프러스 해상 광구 자원개발사업 등) 사업에도 참여.

-캐나다 비전통 가스사업 참여를 계기로 셰일가스/ 치밀가스 등 비전통 가스의 탐사 및 개발 역량 강화.
SH에너지화학 -셰일가스/ 북한 광물자원개발

-美 리얼티그룹 계열의 합성수지 및 화장품원료 제조업체.

-대표적인 상품은 합성수지 사업부문의 EPS레진(스치로폴 원료)과 화장품 사업부문의 Nylon-12 Fine Powder(파우더, 파운데이션을 포함한 메이크업 제품에 사용) 등.

-미국 내 자회사인 SH Energy USA, Inc.를 통해 셰일가스 사업도 추진중.
GS글로벌 -종합상사/ 자원개발/ 셰일가스

-GS그룹 계열의 종합 무역상사.

-철강금속과 자원물자(석유/ 화학제품, 시멘트, 기계플랜트, 석탄 등)등 산업용 소재 수출입과 삼국간 거래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미국 법인 GS GLOBAL E&P (AMERICA) Corporation과 GS GLOBAL (NEMAHA) LLC를 통해 해외자원개발 사업 영위.

-에너지 설비 전문업체 (주)지에스엔텍 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지에스엔텍 - 복합화력발전에 필요한 발전기자재인 배열회수장치(HRSG)등을 제조)
포스코인터내셔널 -셰일가스/ 종합상사/ 자원개발

-POSCO그룹 계열의 종합상사.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인도네시아 등에 해외 법인을 두고 무역, 생산, 판매, 유통, 자원개발분야 등의 사업을 영위.

-철강, 화학, 부품소재, 자동차부품, 비철, 플랜트, 곡물 도정, 면방, 오이팜 등을 영업활동의 주요 품목으로 취급중.

-미얀마 가스전을 개발하는 등 가스전 개발 기술력 보유.
동성화인텍 -셰일가스/ LNG(액화천연가스)/ 조선기자재

-PU단열재(초저온보냉재, PU SYSTEM) 사업과 가스사업(냉매, 방재시스템) 영위업체.

-PU단열재 사업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

-LNG운반선 초저온보냉재 사업을 영위중이며, 초저온 보냉자재 일괄 생산시스템을 갖추고 있음.

-MARK Ⅲ 타입 LNG선의 초저온보냉재는 한국카본과 동사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음.
E1 -셰일가스/ LPG(액화석유가스)

-LS그룹 계열의 LPG 수입 및 무역 전문업체.

-대부분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 주요 산유국으로부터 장기도입계약을 체결하여 LPG를 도입, 이를 국내 정유사, 충전소, 산업체 및 도시가스사 등에 공급중.

-코스피 상장사인 (주)LS네트웍스를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미국산 셰일가스 구매 계약 체결.

-삼천리 자산운용이 결성한 펀드와 공동으로 미국 셰일가스 포집/ 운송 관리회사인 Cardinal Gas Services LLC 지분 취득.
한국카본 -셰일가스/ LNG(액화천연가스)/ 조선기자재

-LNG운반선용 단열판넬, 탄소섬유 사업 영위.

-LNG운송용 선박의 저장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극저온 단열재와 낚싯대/ 골프/ 스키/ 항공용 카본시트 등을 생산.

-그 밖에 바닥장식재료인 Glass Paper 및 건축내외장용 절연물 등도 생산, 납품.

-신규사업으로 항공 및 차량경량화용 부품 및 소재로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중.
S&TC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S&T 그룹 계열로 석유화학, 석유정제 및 GAS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공랭식 열교환기와 복합화력발전소에 사용되는 배열회수보일러(H.R.S.G), 원자력 발전소와 화력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복수기,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에 사용되는 탈질설비 등을 생산/ 납품중.

-미국 Foster Wheeler North America Corp(FWNAC)와의 기술도입 계약으로 원자력발전소는 물론 화력발전소와 LNG복합화력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복수기에 대하여 설계 및 제작과 설치에 관한 국내 독점실시권을 취득.
SK가스 -셰일가스/ LPG(액화석유가스)

-SK그룹 계열의 액화석유가스(LPG)의 수입, 저장, 판매업체.

-대부분의 LPG를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레이트 등 중동지역으로부터 장기공급계약을 통한 수입 및 SPOT 거래처로부터 수입하여 정유사, 석유화학업체, 산업체, LPG충전소 등에 공급 중.

-셰일가스 도입으로 프로판가격 하락에 따른 수혜 기대.
한국전력 -환율하락 수혜/ 태양광에너지/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전력설비/ LNG(액화천연가스)/ 남북경협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판매,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기타(발전소 설계 및 정비 등) 사업을 영위.

-국내에선 독점적 시장점유율로 안정적인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해외에선 화력/ 원자력/ 수력 등의 발전사업과 유연탄, 우라늄 등의 자원개발사업 등을 영위. 또한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진행중.

-거래소 상장업체인 한전KPS, 한국전력기술(한전기술)을 비롯하여 한국수력원자력(주), 한전원자력연료(주), 한전KDN(주) 등의 계열사를 보유.

-미 콜로라도 30MW 태양광발전소를 운영중이며, 한국전력-LG CNS 컨소시엄이 미 괌 태양광발전 60MW, ESS42MWH사업 수주.

-18년 3월 미 캘리포니아 235MW 태양광발전소를 인수해 북미시장 진출 확대.

-LNG(액화천연가스)가격 하락에 따른 실적 개선효과 있음.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점도 LNG판매가격 등 한국전력공사의 연료비와 전력 구입비를 낮추는 요인.

-셰일가스 도입으로 인한 비용 감소 전망에 따른 수혜 기대감.
우림기계 -셰일가스/ 철도/ 풍력에너지/ 북한 광물자원개발

-산업설비, 중장비, 정밀기계 분야의 핵심제품을 생산하는 업체.

-산업용감속기 및 트랜스미션 생산업체로 풍력발전기 부품도 생산, 판매.

-풍력발전기 3MW 급 풍력발전기용 증속기 부품, MW급 풍력발전기용 YAW감속기, 해상풍력용 감속기 등을 개발.

-주요매출처로는 포스코, 현대제철, 세아베스틸, HITACHI, MITSUBISH 등.

-신사업으로 철도차량용 부품과 전기차 기어박스 생산을 진행하고 있으며, 항공기, 방산, 로봇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중.

-산업용감속기 및 트랜스미션 생산업체로 석유시추용 기어박스 개발/ 상용화.
비에이치아이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용, 제철용 산업설비 설계/생산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HRSG(배열회수보일러),보일러, Balance of Plant 등.

-주요 고객으로는 한국전력을 비롯한 전력회사 및 발전사업자, 대형건설사, 포스코를 포함한 제철회사 등.

-LNG복합화력의 핵심설비 HRSG(폐열회수장치) 생산 업체.

-셰일가스 개발로 천연가스 발전용 배열회수 보일러 부문의 수혜 예상됨.
두산중공업 -원자력발전소 해체/ 원자력 발전/ 셰일가스/ 수자원/ 핵융합에너지/ 전력설비/ 풍력에너지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에서 대형복합화력발전 설비를 수주하는 등 다수의 복합화력발전플랜트 건설 경험 보유.

-3MW급 풍력 발전 시스템인 WinDS 3000을 개발했으며, 국내업체 최초로 국제 형식인증 취득. 30MW 규모의 국내 최초 해상풍력단지 건설 외 국내외 다수 프로젝트에 공급.

 

 

 

반응형

 

-음식료업종은 대표적인 내수주로서 원재료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외화부채가 많아서 환율하락의 최대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다.

 

 

-대부분 독/ 과점 업체로 안정된 실적을 보이며, 올림픽이나 월드컵 같은 대형 체육 행사시 주가 움직임이 양호했던 특성이 있다.

 

-또한, 정부의 경기 부양정책이 진행될 경우에도 양호한 주가흐름을 보인다.

 

-음식료업종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음식료업종 관련주

 

 

LG생활건강 -음식료업종/ 여름/ 화장품

-LG그룹 계열의 화장품, 생활용품(치약, 비누, 샴푸,세제 등)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후, 숨, 오휘, 빌리프, 이자녹스, 수한방, CNP코스메틱스, 더페이스샵 등의 화장품 브랜드와

-엘라스틴, 온더바디, 페리오, 테크, 자연퐁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 보유.

-코카콜라음료, 해태에이치티비, 더페이스샵, 태극제약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20년 7월 (주)더페이스샵, (주)씨앤피코스메틱스, 캐이엔아이(주)를 흡수합병 결정.

-코카콜라, 스프라이트, 환타, 파워에이드, 미닛메이드, 조지아, 평창수, 토레타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코카콜라음료, 해태에이치티비 등의 지분 보유.

-최대주주 : (주)LG/ 주요주주 국민연금공단.
오뚜기 -환율하락수혜/ 음식료업종

-식품 전문업체로 마요네즈 및 케찹소스, 카레 및 3분류 라면 및 당면, 참기름 및 식용유지, 밥 등을 생산.

-국내에 총 4개의 생산공장(안양, 대풍, 삼남, 포승)과 해외에 별도현지 법인으로 설립된 4개의 생산공장(중국2, 뉴질랜드, 베트남)을 보유.
롯데칠성 -주류업/ 음식료업종/ 여름

-롯데그룹 계열의 업계 상위 종합음료 업체.

-칠성사이다, 델몬트주스, 레쓰비, 처음처럼, 클라우드, 아이시스 등.

-음료산업 특성상 매출이 계절적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
농심 -음식료업종/ 환율하락 수혜

-국내 최대의 라면 생산업체. 라면(신라면, 짜파게티, 안성탕면 등), 스낵(새우깡, 양파링 등), 음료(카프리썬, 백산수 등) 등의 사업을 영위.
CJ제일제당 -음식료/ 사료/ 화장품/ 환율하락 수혜

-CJ그룹 계열의 국내 최대 종합식품 업체.

-식품사업(설탕, 밀가루, 식용유, 조미료, 장류, 육가공식품, 신선식품, 쌀가공식품, 냉동식품, HMR 등을 생산/ 판매)

-동물사료, 바이오사업(아미노산 등을 생산/ 판매), 물류사업(국내물류사업, 국제물류사업, 컨테이너사업, 택배사업, 건설사업 등) 등을 영위.

-상장업체 CJ 대한통운과 CJ씨푸드의 최대주주.

-라이신, 쓰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메치오닌, 식물고단백 등 사료 첨가제를 제조, 판매중.
롯데푸드 -음식료업종/ 여름

-빙과, 유지, 식품사업을 영위하는 롯데그룹 계열사.

-유지식품(그랜드마아가린 등), 육가공(로스팜 등), 빙과(구구콘, 빠삐코 등) 등을 생산, 판매.
롯데제과  -음식료업종/ 여름

-롯데그룹계열의 업계 상위 제과업체.

-껌(자이리톨, 후라보노), 캔디(애니타임, 목캔디), 비스킷(카스타드, 마가렛트), 초콜릿(빼빼로, 가나), 빙과제품(월드콘, 설레임) 등을 생산/ 판매.

-빙과제품의 경우 매출이 계절적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 보유.
하이트진로 -주류업/ 스포츠행사 수혜/ 음식료업종/ 일 제품 불매운동/ 환율하락수혜/ 여름

-국내 대표 주류업체.

-소주(참이슬, 참이슬fresh, 과일소주 등), 맥주(테라, 하이트, 맥스, 드라이d, 필라이트 등) 복분자주, 포도주, 이슬톡톡, 밍고링고 등을 생산.

-여름에 매출비중이 높은 경향.
동원F&B -음식료 업종/ 환율하락 수혜

-참치캔을 주력으로 하는 동원그룹 계열의 종합식품회사.

-참치캔, 캔햄, 냉동만두, 어묵, 맛살, 죽, 발효유, 치즈 등 일반식품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조미식품제조사업을 영위하는 (주)동원홈푸드와 배합사료제조업을 영위하는 동원팜스(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동원샘물 미네마인 유통.
오리온 -음식료업종/ 환율하락수혜

-기존 오리온에서 음식료품사업 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비스킷, 초콜릿, 껌, 파이, 스낵 등의 각종 과자류를 생산, 판매하는 업체.

-주요제품으로는 초코파이, 꼬북칩, 포카칩, 초코칩, 다이제, 초코송이 등이 있으며, 닥터유 시리즈와 마켓오 시리즈 제품을 출시.
하이트진로홀딩스 -음식료업종/ 주류업/ 지주사/ 스포츠행사수혜/ 일제품 불매운동.

-하이트진로그룹 계열의 지주회사.

-상장사인 하이트진로(주)를 비롯해 하이트진로사업(주), (주)진로소주 등 맥주와 소주, 위스키 및 주정 등을 취급하는 주류전문 회사들을 자회사, 손자회사로 보유.

-일본 맥주 불매운동 반일.
CJ프레시웨이 -음식료업종

-CJ그룹 계열의 국내 대표 식자재유통 및 푸드서비스(단체급식) 업체.

-농, 수, 축산물 뿐만 아니라 가공식품, 해외 식자재 등을 확보해 국내외 고객사에 제공하고 있으며, 오피스, 산업체, 병원 등의 구내식당을 위탁 운영중.
대한제당 -사료/ 환율하락수혜/ 음식료업종

-제당사업(설탕 등) 및 사료사업(가축용 배합사료)을 영위하는 음식료품 제조업체.

-사업 특성상 원당가격, 국제곡물가격, 환율 등 대외 요인에 따른 수익성 변동폭이 크다는 특징 보유.

-종속회사들을 통해 금융업, 골프장업, 외식업 등을 영위.

-사료사업(가축용 배합사료, 상표명 : 무지개사료)
남양유업 -출산장려정책/ 음식료업종/ 엔젤산업

-우유와 분유, 시유, 발효유, 치즈 등 유가공제품 및 카페믹스, 음료제품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

-맛있는우유GT, 아인슈타인GT 등 우유류, XO World Class 등의 분유류, 몸이가벼워지는시간17차, 앳홈주스, 드빈치치즈 등을 판매중.
샘표식품 -음식료업종

-간장, 된장, 고추장 같은 전통장류 제품부터 요리에센스 연두, 건강발효 흑초 백년동안 등 발효기술을 이용한 제품을 제조/ 판매.

-또한 식초 등의 조미식품과 국수, 차, 통조림(깻잎 등) 등 가공식품,프리미엄 서구식품 폰타나, 질러 등 다양한 음식료도 제조/판매.

-대두관련주

-대두로 만드는 간장, 된장, 고추장 같은 전통 장류 제품과 발효기술을 이용한 제품 제조사.
매일유업 -출산장려정책/ 음식료업종/ 엔젤산업

-낙농품 및 음료 제조, 판매, 수출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분유(앱솔루트, 유기농 궁 등), 시유(매일우유, 상하목장 등), 발효유(상하목장 케피어12, 매일바이오 등), 치즈, 유지류 등 유제품 등을 생산, 유통.
동서 -음식료업종

-동서식품의 모기업으로 식품사업, 포장사업, 다류사업, 수출입 및 구매대행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동서식품, 동서물산, 동서음료 등을 계열사로 보유.
크라운제과 -음식료업종/ 일 제품 불매운동.

-과자 및 제빵 등 식품제조 사업 등을 영위.

-비스켓(산도, 국회샌드, 쿠크다스 등), 웨하스(하임, 버터와플 등), 캔디류, 초코렛(빅파이, 미니쉘 등), 스낵(콘칩, 카&땅 등) 등의 각종 과자류를 생산중.

-과자류 불매운동 반일.

-제주 삼다수 판권 입찰.
해태제과식품 -음식료업종/ 일제품 불매운동(수혜)

-크라운해태홀딩스 계열사로 식품 제조, 가공, 판매 및 수입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과자(허니버터칩, 홈런볼, 오예스, 맛동산 등), 아이스크림(브라보콘, 바밤바, 누가바 등), 냉동식품(고향만두 등) 등을 제조, 판매.

-특히, 14년 8월 출시된 '허니버터칩'은 스낵 업계의 최고 히트 상품이 되었음.
빙그레 -음식료업종/ 여름

-우유 및 유음료, 아이스크림 사업 영위업체.

-냉장품목군의 주요제품으로는 바나나맛우유, 요플레 등.

-냉동 및 기타품목군의 주요 제품으로는 더위사냥, 투게더, 메로나, 끌레도르, 비비빅, 슈퍼콘 등.

 

 

 SPC삼립 -음식료업종/ 겨울

-SPC그룹 계열사로 BAKERY 사업부문(빵, 샌드위치, 베이커리 등), FOOD 사업부문(밀가루, 계란, 육가공품, 떡 등) 등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 상표로 Samlip, 르뽀미에, 빚은, 그릭슈바인 등.
한국맥널티 -음식료업종

-커피 및 의약품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생두에서부터 원두커피 가공제품까지 커피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업전체를 영위.

-주요 상표는 맥널티임.

-아울러 당뇨병 진단, 대장내시경용하제, 진통제 등 전문의약품과 감기약, 발모제 등 일반의약품 사업도 영위.

-20년 8월 의약품 제조, 판매업을 물적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한국맥널티제약주식회사를 설립.

-황교안 테마주.
뉴트리 -음식료업종

-이너뷰티 건강식품 제조업체.

-홈쇼핑/온라인/백화점 경로는 피부건강 브랜드로 에버콜라겐, 다이어트는 판도라, 수퍼푸드 및 기능성 식품은 이츠코어 등 3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프리미엄제품을 판매하는 텔레마케팅 판매채널은 뉴피니션다이어트와 천수애(피부건강) 브랜드를,

-네트워크 마케팅 판매채널에서는 에버스프링 브랜드를 운영 중.
대상 -음식료업종/ 환율하락수혜

-종합식품사업 및 소재사업을 영위하는 식품 전문 업체.

-종합식품사업분야에서는 청정원 브랜드를 중심으로 장류,조미료류, 농수산식품, 서구식품, 육가공식품, 냉동식품, 건강식품 등을 생산/판매.

-소재부분에서는 핵산, 글루타민, 아스파탐, MSG 등의 바이오 제품, 전분 및 전분당 제품을 생산/판매.

-청정원, 쿡앤조이, 웰라이프, 미원, 클로렐라 등의 브랜드를 보유.

-주원재료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어 국제 선물가격, 해상운임료 및 환율이 수익에 미치는 영향이 큰 편.
삼양사 -석유화학/ 음식료업종

-삼양그룹 계열사로 식품사업(설탕, 밀가루, 유지, 홈메이드 제품 등)과 화학사업(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ET용기, 이온교환수지, 터치패널용 소재, 폴리머 등) 등을 영위하는 업체.

-수소차이온교환필터 소재 개발.
삼양식품 -음식료업종

-국내 대표적인 라면 제조업체.

-국내 최초의 원조라면 삼양라면을 포함한 불닭볶음면, 볶음짜짜로니, 간짬뽕, 나가사끼짬뽕, 대관령김치라면, 쇠고기면, 맛있는라면 등 면류와 짱구, 사또밥, 별뽀빠이 등의 스낵류, 조미소재류 및 유제품 등 다양한 식품을 생산/ 판매함.
노바렉스 -음식료업종

-국내 1위 건기식 OEM/ODM 회사로 약 200여개 고객사를 보유. (주요 고객사 CJ제일제당, 종근당건강, 콜마비앤에이치, 뉴트리, 암웨이 KT&G 등)

-국내 최대 개별인정원료(35개) 보유 건기식 트렌드 변화에 따라 바르게 신제품을 출시할 수 있음. + 다변화된 거래선.

-제품별 매출비중 영양보충용제품 11.85%, 유산균함유제품 10.13%, 기타 제품매출 75.97% 등 구성.

-여성 갱년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선물 관련 특허권 취득.

-주요제품으로는 루테인지아잔틴164, 아이클타임, 화애락 이너제틱 등이 있음.
신세계푸드 -음식료업종

-신세계 계열의 외식사업업체.

-식음사업(공장, 오피스, 대학교, 병원 등의 구내식당 운영 및 올반, 보노보노, 푸드홀 등의 레스토랑 운영)과 식품사업(유통업체, 식품제조회사, 전문식당 등에 국내외 상품 및 가공상품 공급 등)을 영위.

-신규 사업으로 맥아 및 맥주제조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했으며, 수제맥주 전문점 데블스도어를 운영중.
풀무원 -지주사/ 음식료 업종

-투자사업을 영위하는 순수 지주회사.

-주요 종속회사로는 풀무원식품(주), (주)풀무원푸드앤컬쳐(단체급식업, 외식사업 등), 풀무원건강생활(주), 풀무원다논(주) (유제품 수입, 제조/판매) 등이 있음.
대한제분 -환율하락수혜/ 음식료업종

-제분업 및 소맥분 판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업체.

-대표 브랜드인 '곰표' 밀가루와 튀김/ 부침가루 등의 프리믹스 제품 등을 생산/ 판매.

-사업 특성상 원당가격, 국제곡물가격, 환율 등 대외 요인에 따른 수익성 변동폭이 큰 특징 보유.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로 대한사료(주)와 대한싸이로(주)를 보유.
보라티알 -식자재 수입 및 유통/ 일 제품 불매운동

-식품 식자재 수입, 도소매 유통 업체.

-파스타, 올리브오일, 토마토소스 등 가공식품을 수입하여 유통.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프랑스 등의 40여개 가공식품 제조사로부터 수입하여 호텔, 레스토랑, 백화점, 대형마트 등을 통해 제품을 소비자에게 공급.

-이낙연 인맥(김대영 대표이사가 전남 담양 출신으로 이낙연 지역구/ 박성철 회장과 강민석 이사 그리고 전창후 감사가 서울대 동문)

-식자재 불매운동 반일.
코스맥스엔비티 -음식료업종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ODM/OEM 업체.

-제품별 매출비중은 건강기능식품(헬시, 뷰티 등) 31.99%, 건강지향식품(식사대용식 등) 66.84% 등으로 구성.
푸드웰 -음식료업종

-음식료품의 제조 및 도소매, 수출입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제품으로 시럽제품군, 음료제품군, 밤제품군 등이 있음.

-주요제품을 일본 등지로 수출하고 있으며, 동원에프앤비, 빙그레, 남양유업, 푸르밀, 롯데칠성음료, 대상, 풀무원, 한국인삼공사 등에도 납품.

-상승이슈 : 코로나19 확진자 이틀 연속 600명대 기록 및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격상 예정 소식 등에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현대그린푸드 -음식료업종

-현대백화점 그룹의 식자재 유통업체.

-푸드서비스(기업체 및 병원 단체급식 등)와 유통(공산품/ 생식품 도소매 유통), 식재(식자재 도소매유통) 사업 등을 영위.

-푸드서비스사업부문은 산업체와 오피스, 해외 등 약 700여곳에서 급식 서비스를 제공 중.

-현대리바트, 에버다임, 현대홈쇼핑, 현대HCN, 현대백화점 등의 지분 보유.
에이치엘사이언스 -음식료업종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사로 건기식 원료개발부터 제품 개발 생산 및 판매까지 전 밸류체인을 담당.

-닥터슈퍼칸, 갱년기 N빨강석류, 유기농새싹보리, 우슬시크릭 등 다각화된 제품군 보유.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건강기능식품 23.3%, 건강지향식품 75.4%로 구성.
네오크레마 -음식료업종

-기능성 당 및 펩타이드 제품 제조, 식품첨가물 등의 상품 유통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능성 식품소재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기능성 당 부문 갈락토올리고당(GOS), 팔라티노스(Palatinose),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등, 펩타이드 부문 이트레스(eatless), 페르오가(Ferrorga) 등이 있음.

-마이크로바이옴 대장주

-식품소재업체/ 위스트인수

-2019.11.7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확대 전망에 세계 최초 GOS(유기농 갈락토올리고당)개발 부각 소식에 급등

-세계최초 프리바이오틱스 화장품 출시 예정
인산가 -음식료업종

-세계 최초로 죽염을 산업화 한 업체로 죽염과 죽염응용식품을 개발,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

-주력 제품은 인산죽염으로 죽염시장내 매출 1위임.

-이 외 죽염응용식품과 기타 식품을 전통적인 제조공정을 바탕으로 생산하여 판매.

-죽염세트 홈쇼핑 완판.
비피도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프로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비피더스균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원말 및 이를 함유한건강기능식품을 제조, 판매.

-주요 제품으로 지근억비피더스 프리미엄, B. bifidum BGN4, 락피도엘(ODM) 등이 있음.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기술인 BIFIDO-Express Platform을 활용한 비피더스 발현 시스템 및 면역 테라피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기반 분석 서비스를 신규 사업으로 추진중.
팜스빌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B2C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기본으로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지향식품 자체 브랜드와 유통, 생산(OEM) 및 소재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사업 부문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플랫폼 사업, 자체 브랜드 기획 사업, 유통 플랫폼 사업, 해외수출사업, C & BD 사업 등으로 분류.

-주요 브랜드로는 애플트리김약사네, 악마다이어트, 비타민스토리, 애플트리, 골든가든, 애플킨더, 데일리그린, 상상방, 닥터스앤서, 닥터솔루션, 그린오션 등이 있음.
디딤 -음식료업종

-'백제원', '도쿄하나', '한라담', '풀사이드228', '오백년장어', '황금쌈밥', '공화춘' 등의 브랜드로 직영사업을 영위함과 동시에 '신마포갈매기', '미술관', '고래식당', '연안식당', '고래감자탕' 등의 브랜드로 프랜차이즈 사업 및 식자재 유통사업 영위.

-동남아와 홍콩 등지에서 가맹사업을 운영하는해외 프랜차이즈 사업도 영위.

 

 

마니커에프앤지 -육계

-이지홀딩스 계열의 육가공식품 전문업체.

-계육, 돈육, 우육 등 육류를 가공하여 다양한 육가공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군은 튀김류(텐더, 원물형 후라이드, 너겟 등), 패티류(치킨패티, 돈육패티 등), 구이류(오븐치킨, 버팔로 윙봉 등), 육가공류(베이컨, 후랑크 소시지 등), 훈제류(스모크 치킨 등), HMR(삼계탕 등), 기타류 등 7가지로 분류.

-매출 대부분은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삼계탕, 삼계죽 등 일부 제품의 수출을 통해 미국, 일본, 홍콩 등 해외에서 판매.
조흥 -음식료업종

-치즈 및 기타 식품첨가물(이스트, 빵크림류 등)의 제조, 판매사업을 영위.

-롯데브랑제리, CJ 뚜레주르, 샤니파리크라상에 제과제빵재료를 판매하고 있으며, 피자스쿨과 피자마루에 피자치즈를, BGF리테일과 오뚜기에 냉동피자를 판매중.
우양 -가정간편식(HMR)식품, 제조 전문업체.

-농축수산임산물, 과실통조림, 유사조제식품, 즉석조리식품 제조 및 수출입 등의 식품제조 사업 영위.

-주요 매출처는 CJ제일제당, 풀무원 식품 등과 같은 제조유통사와 스타벅스, 이디야, 할리스 등과 같은 외식 프랜차이즈업체.

-주요 제품은 핫도그, 고로케, 간편죽, 냉동면/밥, 시럽/소스, 스무디, 청/당절임, 토핑, 퓨레, 냉동과일, 통조림, 젤리, 샤베트 등이 있으며, 주요 브랜드로는 뉴뜨레, 쉐프스토리 등이 있음.

-상승이슈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식품 사재기 조짐 등에 일부 음식료업종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푸드나무 -육계/ 음식료업종

-B2C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한 푸드테크 업체.

-닭가슴살 가공식품 등 간편건강식품 관련 식품의 제조, 도소매, 유통, 상품 중개업 및 전자상거래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랭킹닭컴, 맛있닭, 러브잇 등을 운영중.

-주요브랜드 : 맛있닭, 신선애, 더프레시, 베스틱, 러브잇, 잇메이트, 리얼원 등.
정다운 -구제역, 광우병 수혜/ 음식료업종/ 아프리카돼지열병/ 이재명

-이지홀딩스 계열사로 종압, 사육, 도압, 가공, 유통의 일원화를 통한 오리 계열화 업체.

-오리사육을 통한 도축(신선육), 육가공(훈제가공) 및 우모 수출과 도압(발골), 훈제, 원모 가공등의 임가공 사업을 영위.

-이재명 /김선철 대표가 이재명 지사와 중앙대 동문.
신송홀딩스 -음식료업종

-간장, 된장 등을 만드는 신송그룹의 지주회사. 소맥전분업체인 신송산업과 대두로 장류를 만드는 생산업체인 신송식품을 100% 자회사로 보유.

-윤석열/ 조갑주 대표이사 서울대 동문/ 조승현 대표이사 서울대 동문.
네이처셀 -화장품/ 치매/ 줄기세포/ 음식료업종/ 코로나19

-음료/ 식품 사업과 줄기세포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발효 및 건강기능식품사업, 음료사업 등 식품사업과 줄기세포치료제 판매사업(판매권), 줄기세포해외임상, 줄기세포 배양배지사업,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사업 등 줄기세포사업을 영위.

-코로나19 살균소독제 출시

-자가 줄기세포를 활용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스트로스템'은 미국 FDA에서 임상 1/2상 진행중.

-네이처셀 부모·자녀·형제 등의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동종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아스트로스템-V'의 1/2a상 임상시험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폐렴 환자 대상) -현재 임상시험계획 보류됨.
엠에스씨 -음식료업종

-식품 및 식품첨가물 제조업체.

-수산물(해초)를 가공하여 카라기난, 농수산물을 가공하여 천연색소, 각종 조미료 분말, 액상제품 그리고 음료제품 등을 생산.
해마로푸드서비스 -음식료업종

-외식(수제버거&치킨) 프랜차이즈 브랜드 '맘스터치', 외식(화덕피자&치아바타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 '붐바타'를 보유.

-가공식품(햄버거, 치킨, 계육) 및 식자재 유통사업도 영위.
미래생명자원 -음식료업종/ 사료/ 아프리카 돼지열병

-단미사료 및 보조사료 등을 생산하는 사료부문(동물자원사업부문)을 주력으로 영위

-계란(오렌지 에그, 휴란 등) 및 기능성 소재(프락토 올리고당 등)를 매입하여 유통하는 식품부문 사업도 영위.

-자체 브랜드 Optipet을 론칭,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추진 중
흥국에프엔비 -음식료업종

-비열처리 프리미엄 식음료 분야의 연구개발 및 제조 전문업체.

-과일농축액, 스무디와 같은 음료베이스와 주스 등의 과일/ 채소음료류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매출의 구성은 과일농축액, 스무디, 착즙주스 등의 제품매출과 스노우빙 빙삭기 등 장비, 스노우빙 토핑 아이템 등의 상품매출로 구성.

-매출은 주로 커피 프랜차이즈, 외식 프랜차이즈, 도매상(벤더), 온라인 등에서 판매하여 발생.
한탑 -사료/ 환율하락 수혜/ 음식료 업종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제분사업(소맥분)과 사료사업(배합사료) 등을 영위하는 업체.

-주요상표로 해바라기표 보유.
교촌에프앤비 -육계

-교촌치킨 브랜드를 통한 치킨 가맹사업(프랜차이즈 사업) 영위 업체.

-가맹본부로서 가맹점 경영에 필요한 사업 개념을 설계하고 이를 구체화한 매뉴얼 교부 및 교육, 슈퍼바이저 파견 등 가맹점 영업활동 전반에 대한 지도 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치킨 조리를 위한 원자재(계육)와 부자재(소스, 치킨무, 패키지 등)를 가맹점에 제공.
서울식품 -음식료업종

-제빵사업(냉동생지, 빵, 스낵, 빵가루 등)과 환경사업(음식물쓰레기자원화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식자재 등 불매운동 반일.

-상승이슈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 속 간편식 수요 기대감.
국순당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음식료업종

-백세주, 강장백세주, 명작시리즈, 예담, 국순당생막걸리, 국순당쌀막걸리, 대박 등을 생산하는 약주전문 주류업체.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도매점 및 할인점/슈퍼마켓/백화점등의 판매망을 통해 판매중.

-'백세주마을'을 통해 프랜차이즈사업도 영위.
사조동아원 -사료/ 음식료업종

-사조그룹 계열사로 원맥을 수입/ 가공하여 판매하는 제분사업과

-가축 및 양식어류의 사료를 제조/ 판매하는 생물자원사업을 영위.
MP그룹 -음식료업종/ 스포츠행사 수혜

-1990년 9월 설립된 동사는 대표브랜드인 미스터피자, 수제 머핀 및 커피 전문점인 마노핀 등이 있음.

-2000년 중국에 진출하였으며 중국 유력 외식업체 선정 사이트인 '대중평점(따중디앤핑)'에서 선정하는 우수 외식업체로 최근 3년 연속 선정되는 등 중국 내에서도 맛과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음.

 

 

반응형

 

-LPG (액화석유가스)는 프로탄 및 부탄 등을 주성분으로 가스를 상온에서 가압하여 액화한 것으로 소형의 가벼운 압력용기에 충전해서 가정용, 공업용, 자동차용 등의 연료로 이용되는 가스이다.

 

 

-LPG 시장은 거대 규모의 저장시설과 판매망 구축 등 초기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다.

 

-LPG(액화석유가스)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LPG(액화석유가스 관련주)

 

 

중앙에너비스 -LPG(액화석유가스)

-SK에너지와 대리점 계약을 맺고 휘발유, 경유, 등유 등의 일반유와 LPG 등의 석유류를 판매하는 업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직영 사업장을 판매망으로 하는 도/ 소매업 및 국도변 스마트휴게소 운영.

-이낙연 인맥(김병재 사외이사가 서울대 법대 동문)
흥구석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류 도소매 판매업체.

-석유류 제품인 휘발유, 등유, 경유 등을 GS칼텍스로부터 매입하여 대구, 경북 지역에 판매/ 공급중.

-석유류(고급휘발유, 휘발류, 초저유, 황경유, 경유, 등유, 중유, 윤활유), 가스류(프로판, 혼합용 프로판, 부탄, 부탄(가정용)) 등을 판매.
극동유화 -자전거/ 아스콘/ LPG(액화석유가스)

-특수 윤활유(산업용 윤활유, 유동파라핀 등) 생산, 판매업체.

-LPG 충전사업과 건설 및 차도용, 자전거 전용도로용 아스팔트 판매사업도 영위.
S-Oil -환율하락 수혜/ LPG(액화석유가스)/ 정유

-국내 대표적인 정유사.

-주요사업은 석유류 제품, 윤활기유제품, 석유화학 제품의 제조 및 판매.

-세계적인 수준의 중질유 분해 시설을 갖추고 있는 석유정제 및 판매업체로 원재료인 원유의 대부분을 세계 최대 원유 수출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석유회사 사우디아람코사로부터 장기계약에 의거 구매.
SK이노베이션 -폴더블폰/ 전력저장장치(ESS)/ 전기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2차전지/ 석유화학/ LPG(액화석유가스)/ 자원개발/ 정유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석유개발, Battery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동시에 SK에너지(정유), SK종합화학(석유화학), SK루브리컨츠(윤활유), SK모바일에너지(리튬전지 제조) 등을 주요 자회사로 보유한 사업 지주회사.

-배터리 사업의 경우 전기차 및 ESS등에 사용되는 배터리 제조.

-다임러, 기아차, 포드 등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LG화학, 삼성SDI

-2차전지 셀/ 분리막

-100% 자회사인 SK에너지를 통해 가스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정유사, 충전소, 산업체 등에 LPG를 공급중.
GS -자원개발/ LNG/ LPG/ 정유/ 지주사

-GS그룹의 지주회사.

-자회사를 통해 자원개발 및 에너지, 유통사업, 녹색성장 사업 등을 영위.

-상장사 (주)GS리테일, (주)GS홈쇼핑, (주)GS글로벌을 비롯해 GS에너지(주), (주)GS스포츠, GS이피에스(주), (주)GS이앤알을 자회사로 보유.

-정유업체 GS칼텍스(주)를 손자회사로 보유.

-자회사 GS에너지를 통해 14년 신평택발전과 동두천 드림파워의 지분을 인수하여 LNG 복합화력발전사업에 진출.
E1 -셰일가스/ LPG(액화석유가스)

-LS그룹 계열의 LPG 수입 및 무역 전문업체.

-대부분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 주요 산유국으로부터 장기도입계약을 체결하여 LPG를 도입, 이를 국내 정유사, 충전소, 산업체 및 도시가스사 등에 공급중.

-코스피 상장사인 (주)LS네트웍스를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미국산 셰일가스 구매 계약 체결.

-삼천리 자산운용이 결성한 펀드와 공동으로 미국 셰일가스 포집/ 운송 관리회사인 Cardinal Gas Services LLC 지분 취득.
SK가스 -셰일가스/ LPG(액화석유가스)

-SK그룹 계열의 액화석유가스(LPG)의 수입, 저장, 판매업체.

-대부분의 LPG를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레이트 등 중동지역으로부터 장기공급계약을 통한 수입 및 SPOT거래처로부터 수입하여 정유사, 석유화학업체, 산업체, LPG충전소 등에 공급중.

-셰일가스 도입으로 프로판가격 하락에 따른 수혜 기대.

 

 

 

반응형

 

-전력저장장치(ESS)는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장치를 말한다.

 

 

-ESS는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수요의 불확실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능도 있어 필수적인 미래 유망 사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잇따른 ESS화재와 일관성 없는 정부정책이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전력저장장치(ESS)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전력저장장치(ESS) 관련주

 

 

SK이노베이션 -폴더블폰/ 전력저장장치(ESS)/ 전기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2차전지/ 석유화학/ LPG(액화석유가스)/ 자원개발/ 정유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배터리 사업의 경우 전기차 및 ESS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 제조.

-다임러, 기아차, 포드 등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LG화학, 삼성SDI

-2차전지 셀/ 분리막
삼성SDI -아이폰/ 전력저장장치(ESS)/ LCD부품, 소재/ 2차전지/ 전기차/ 태블릿PC/ 스마트폰/ IT대표주/ 전기자전거

-소형전지(휴대폰, 태블릿PC, 전기자전거 용), 자동차전지(하이브리드카, 전기차 용), ESS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EMC, 편광필름, CR등) 등을 생산/ 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

-폭스바겐, BMW, 르노, 재규어랜드로버 등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아이폰8에 OLED소재 중 하나인 녹색인광 재료 및 아이폰X 소형 배터리 공급.

-아이폰X에 OLED를 공급하는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보유.

-2차전지 셀.
LG전자 -가상현실/ 전력저장장치(ESS)/ 마이크로LED/ LED/ 자율주행차/ 태블릿PC/ 4차산업 수혜주/ 공기청정기/ AI/ 스마트폰/ IT대표주/ 5G/ 무선충전기술/ OLED/ 제습기/ 태양광에너지

-고효율 태양광 모듈과 다결정 태양광 모듈을 개발.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플랫폼 씽큐 개발.

-주요 종속회사로 LG이노텍이 있으며, 상장사인 LG디스플레이, 로보스타, 나라엠앤디, 인베니아 등의 지분 보유.

-가상현실기기 'LG 360 R', 'LG 360캠', 'LG롤링 로봇' EMDDMF ROQKF.

-에너지 저장장치(ESS) 분야에서 다양한 실증 사업 보유 + 종합에너지 솔루션 제공 (빌딩, 공장용 ESS/ 발전용 ESS/ 에너지관리 시스템)

-100kW급 태양광발전용 올인원(일체형) 에너지 저장장치(ESS) 출시. / 태양광 연계 ESS.
LG화학 -석유화학/ 바이오시밀러/ 백신, 진단시약, 방역/ 고령화사회/ 태블릿PC/ OLED/ 2차전지/ 아이폰/ 전력저장장치/ 전기차

-석유화학사업과 전지사업, 첨단소재 사업 등을 영위.

-석유화학사업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 기초 제품으로부터 PE, PVC/가소제, ABS, EP, 아크릴/SAP, 합성고무, 특수수지 등 Downstream 제품까지 수직계열화 되어있음.

-전지사업부문에서는 모바일 기기 등에 쓰이는 소형 리튬이온 전지와 전기차 및 ESS에 탑재되는 중대형 전지를 생산/판매중.

-첨단소재 부문에서는 EP, OLED 편광판, LCD재료, 양극재, 수처리RO필터, OLED 재료 등을 생산/판매중.

-생명과학사업부문에서는 당뇨신약 '제미글로'를 비롯하여, 인간성장호르몬제 '유트로핀',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유셉트' 등의 의약품을 생산 및 판매중.

-전지사업부문(자동차전지, ESS전지, 소형전지)을 물적분할해 신설회사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가칭)을 설립 결정

-폭스바겐, 다임러, 르노,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현대/기아차 등 국내외 자동차 제조사에 전기차 배터리 공급.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세계 순위 4위.

-아이폰X 배터리 공급중

-2차전지 셀
세방전지 -전력저장장치/ 2차전지

-세방그룹 계열사로 로케트 배터리 브랜드를 보유한 각종 축전지 제조/ 판매업체.

-주요제품으로는 차량용, 산업용, 이륜용 축전지 등.

-배터리 리튬인산철(LFP), 니켈수소(NIMH), 납축(Pb) 이차전지를 각각 채택한 중대형 ESS 완제품 개발 마치고 국내외 시장 진출.(2015)
알에스오토메이션 -전력저장장치(ESS)/ 태양광에너지/ 4차산업 수혜주/ 스마트팩토리

-로봇 모션 제어기, 드라이브 및 에너지 제어 장치와 같은 산업용 제어 솔루션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

-ESS용 PCS, 태양광용 PCS, Power Stack, UPS(상품) 등을 생산.

-신규사업으로 22bit 고분해능 엔코더의 양산을 진행중이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추진중.
한국아트라스비엑스 -전력저장장치/ 2차전지/ 스마트그리드

-한국테크놀로지그룹 주식회사 계열의 축전지 제조업체.

-국내 납축전지 업체 중 유일하게 지식경제부에서 주관하는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사업에 참여.(2009)

-ESS를 구축할 수 있는 기업. (제주도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 태양광용 ESS를 설치)
효성중공업 -전력저장장치/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수소차/ 풍력에너지

-탄소섬유 생산설비를 갖추어 국내외 시장에 수소가스 충전 전용 탄소섬유를 공급.

-수소가스 압축패키지와 수소충전기, 수소가스 냉각 시스템 등을 대부분 국산화 함.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한 수주경부선, 호남선, 중부내륙선, 고속도로 휴게소 내 수소충전소 총 4개소 건설사업 모두 수주.

-풍력발전의 핵심 부품인 증속기와 발전기 부문에서 검증된 설계 기술과 생산 역량을 갖춤.

-미국 니콜라

-ESS설비 핵심 부품으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전력 계통에 공급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 주는 전력 변환 장치(PCS)와 ESS운영 프로그램인 전력 제어 시스템(PMS)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는 등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음.

-영국에서 50MW급 ESS 프로젝트 수주.
삼화콘덴서 -핵융합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전기차/ 전력저장장치/ MLCC(적충세라믹콘덴서)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를 생산.

-한국전력공사 제주실증단지구축사업 컨소시엄에 참여한 바 있으며, 스마트그리드관련 전력용 콘덴서를 개발, 신규사업으로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중.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전기차 및 신재생에너지 인버터용 DC링크 커패시터 개발.

-이차전지, ESS장치 등 직류전원시장 활성화로 필수 부품인 인버터의 수요 확대 예상.
피앤이솔루션 -2차전지/ 전기차/ 전력저장장치(ESS)

-2차전지 후공정 장비 제조업체.

-2차전지 후공정 및 연구개발용 장비, 발전소 및 산업용 전원공급장치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 전장품 및 충전 인프라 제품, 에너지저장장치(ESS)의 개발 및 제조/ 판매 사업도 영위.

-주요 매출처 :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 있음.
현대에너지솔루션 -전력저장장치/ 태양광에너지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의 태양광업체. 태양광 모듈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 판매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80%를 상회.

-태양광 셀 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모듈/ 셀 판매에서 벗어나 인버터, ESS관련 시스템 부문의 매출 비중을 확대하고 태양광 발전소 시공 및 유지보수 서비스 확대 중.
SK디앤디 -전력저장장치/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SK그룹 계열의 부동산개발 전문 업체.

-부동산개발 및 임대(오피스, 비지니스/ 리조트형 럭셔리 호텔, 지식산업 센터, 물류센터, 오피스텔, 상업시설 등)와 신재생에너지 (풍력, 태양광, ESS, 연료전지)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제주 가시리 풍력발전소 보유.

-남원사랑 태양광발전소, 순천 태양광발전소 보유.
씨아이에스 -전기차/ 2차전지/ 전력저장장치

-2차전지 전공정에 해당하는 Coater M/C, Calender M/C, Slitter M/C 및 Tape Laminator를 생산.

-EV ESS,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2차전지 생산 설비 전문 기업.

-주요 거래처 : 삼성SDI, LG화학 등.

-신규사업으로 전고체 전지용 고체 전해질 개발 진행중.
비나텍 -전력저장장치

-친환경 에너지 저장장치 슈퍼커패시터와 수소연료전지 소재 및 부품 사업 영위 업체.

-다량의 전력을 일시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순간적으로 전력을 방출하는 슈퍼커패시터 사업(자동차용 기어박스, 블랙박스 등에 사용되는 중형 커패시터 등)과

-수소를 연료로 공급하여 대기 중 산소와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직접 변환 발전하는 수소연료전지 소재 및 부품 사업(건물용, 발전용, 수송용)을 영위.

-슈퍼커패시터는 신재생(스마트미터기, 태양열, 풍력, ESS), 메모리백업 등에 사용됨.

 

 

윌링스 -태양광에너지/ 전력저장장치(ESS)/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밥솥

-전력변환기술 기반의 신재생에너지(태양광에너지)전문업체.

-사업부문은 신재생에너지 부문과 Power Solution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사업분야는 태양광 전력변환장치, 태양광발전 EPC, 유도가열 인버터(유도가열 방식 전기압력밥솥에내장되는 보드), 선박수처리용 전력변환장치, 직수정수기 순간온도제어장치 등이 있음.

-신재생에너지 부문에서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ESS의 구성요소인 전력변환장치를 자체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과 태양광발전 시스템과 ESS의 설계, 기자재 조달 및 공사 등을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EPC사업을 함께 진행.
비츠로셀 -전력저장장치/ 스마트그리드

-업계 상위 리튬일차전지 제조업체.

-주력 제품인 리튬염화티오닐 전지는 디지털미터기, RFID, 통신기기, GPS, 카메라, 보안장비, 군용 비축전지 등에 사용됨.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으로 계량기에 사용되는 전지 수요 증가 예상.

-리튬 일차전지가 향후 IOT/IOE 같은 미래산업에서 적용될 전망.

-한국세라믹기술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ESS(에너지 저장장치) 관련 세라믹 분말 합성에 관한 특허 출원.
포스코 ICT -SI/ 스마트홈/ 인터넷은행/ 스마트그리드/ 황사, 미세먼지/ 무선충전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전기차/ 전력저장장치/ 스마트팩토리

-POSCO가 설립한 IT서비스사업 및 엔지니어링사업 영위업체.

-포스코 ICT 설립 당시 주요 사업은 시스템통합과 시스템관리 등 IT관련 서비스 사업.

-2010년 이후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컨설팅에서 설계, 구축, 연영, 유지보수에 이르는 종합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에 주력.

-주요 전력 사업분야는 스마트팩토리 사업, 스마트IT사업, 환경솔루션사업, 에너지저장장치사업, 에너지최적화사업 등.

-포스코 패밀리사 등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중.

-전력저장장치(ESS) : 국내 최대 규모의 대용량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시험센터 완공.(2014) / 일본 ESS시장 진출. / LG화학에 ESS 구축 등.
LS ELECTRIC -전력저장장치(ESS)/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태양광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전기차/ 스마트팩토리

-LS그룹 계열의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제조, 공급업체.

-스마트그리드, 태양광, HVDC, 친환경 전력기기, 전기차 전장부품 등 그린에너지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중.

-태양광발전시스템 사업 및 모듈/ 인버터, 제어기기 제조 사업 영위.

-금속사업 등을 영위하는 LS메탈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ESS화재 차단 기술 개발.

-중국 ESS 시장 진출/ ESS용 PCS(전력변환장치)를 만드는 중국 기업 창저우쿤란 지분 19% 인수.
삼화전기 -전기차/ 전력저장장치(ESS)

-삼화콘덴서그룹 계열사로 콘덴서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 전해콘덴서 및 Green-Cap(하이브리드카용 초고용량콘덴서), SMD Inductor등을 생산.

-전기자동차에서 정차 및 감속 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전기로 저장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 그린캡을 생산/ 판매.

-에너지저장장치(ESS) 핵심부품 개발 국책과제 수행.(2012) /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적용되는 대용량 고출력 전기이중층 캐퍼시터(EDLC)개발.
삼진엘앤디 -LED/ 전력저장장치/ 2차전지

-정밀 금형/ 사출 기술 기반의 전자부품업체.

-전자부품 및 자동차부품, LED조명 기구 등을 생산/ 판매.

-삼성전자 BLU협력업체에 Mold Frame을 공급.

-전력저장장치용 APU개발과 함께 관련 APU제품을 삼성SDI에 납품.

-상승이슈 : 삼성SDI 현대차 E-GMP 3차분 배터리 입찰 참여/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 상승
파워로직스 -휴대폰부품/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카메라모듈, 부품/ 바이오인식/ 전기자전거/ 전기차/ 전력저장장치/ 2차전지

-2차전지 보호회로 및 카메라 모듈 제조업체.

-휴대폰 등의 2차전지용 보호회로(PCM)와 노트북, PDA, 디카 등의 배터리 보호회로인 스마트모듈 및 배터리 관리시스템(BMS)과 카메라 모듈(CM) 등을 제조, 판매.

-카메라 모듈 사업의 경우 삼성전자의 1차 협력사임.

-전기자전거에 사용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배터리팩 제조 사업 영위.

-2012년 12월 신성솔라에너지와 고효율 태양광 ESS일체형 시스템 공동 개발.
엠플러스 -2차전지/ 전력저장장치/ 전기차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업체.

-대면적, 대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

-테슬라
피엔티 -LCD장비/ 2차전지/ 전력저장장치

-롤투롤 기술을 활용한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소재 생산장비 제조업체.

-ESS용 중대형 2차전지의 분리막, 음극, 양극 소재 생산.

-주요매출처 : LG화학, 삼성SDI, LG전자, 제일모직, SK이노베이션 등.
에이치엘비파워 -전력저장장치/ 의료기기

-발전플랜트설비 댐퍼(Damper) 및 선박용 탈황설비(SOx Damper), 전력배전설비 부스웨이 제조 판매와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ESS)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원자력, 화력, 복합화력 발전소 전 부문에 필요한 각종 DAMPER를 공급. 이지함앤코의 마케팅 및 해외 지역의 독점적 판매 권한을 보유.
상아프론테크 -2차전지/ 전력저장장치/ 황사, 미세먼지/ 전기차/ PCB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전문업체.

-휴대폰용 및 자동차용 2차전지 부품 제조업 영위.

-컬러레이저프린터/복합기의 주요부품인 Transfer belt(전사벨트), Fuser belt(정착벨트)와 LCD 및 OLED 제조 공정중 패널의 보관 및 이송을 위한 FPD Cassette, 반도체 사업의 Wafer carrier와 ETFE Film, PCB기판 Drilling용 소재인 Entry sheet, Back up Board, 자동차 부품의 PTFE Tube,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필터니들 주사기 등 제조업을 영위.

-(2017) 양산 공장 중대형 (전기차/ ESS용) 배터리 생산 능력을 80% 늘리는 증설함.
젬백스지오 -전력저장장치

-에너지 컨설팅 및 시스템 전문기업.

-신재생 에너지 장치 및 설비를 공급하는 에너지 사업(ESS, 빙축열 등) 영위.

-19년 8월 실내건축 공사업체 (주)지오인터내셔널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인테리어 디자인, 시공, 가구 디자인, 제작 및 설치, 건축 설계 시공 등 종합 인테리어 사업으로 사업영역 확장.
신성이엔지 -전력저장장치/ 반도체 장비/ 태양광에너지/ LCD장비

-태양광사업 부문에서 태양광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과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를 설치하는 사업을 영위.

-음압병실 개발 사실 부각. (이동형 음압병실의 국내 표준화 작업을 진행중.)

-파워로직스와 고효율 태양광 ESS일체형 시스템 공동 개발, 판매 협약 체결.

 

 

 

반응형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확산세가 지속하면서 신규 확진자 수가 6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네이버 코로나19 현황)

 

-코로나19 진단, 치료재, 백신 개발 등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코로나19 (진단/ 치료제/ 백신 개발 등) 관련주

 

 

씨젠 -코로나19/ 백신, 진단시약, 방역/ 슈퍼박테리아/ 유전자 치료제, 분석

-유전자(DNA 및 RNA) 분석을 통해 질병의 원인을 감별하는 분자진단 시약 개발 제조/ 공급업체.

-주요 제품으로 호흡기 질환 검사제품(신종플루, 계절성 독감,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원인균 등 26종 검사), 성감염증 검사 제품(입질, 매독, 클라미디아, 헤르페스, 진균 등 28종 검사),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제품(자궁경부암 원인 바이러스 28종 검사) 등이 있음.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진단키트 긴급 사용승인을 받았으며,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의 주요 국가들과 이스라엘 등에 자사 코로나19 주요 진단 제품을 공급.

-20년 4월 미국 FDA로부터 코로나19 검진을 위한 자사제품(Allplex 2019-nCoV Assay)의 긴급사용을 획득.
엔지켐생명과학 -코로나19/ 고령화 사회

-원료의약품 전문업체.

-세파계 항생제, 일반 의약품과 MRI/CT 조영제 등을 개발하여 국내시장과 일본 등 해외시장에 판매.

-호중구감소증 치료제와 구강점막염 치료제 중심의 글로벌 신약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류마티스관절염, 건선, 패혈증, 천식, 아토피피부염 적응증에 대해서는 비임상 효능, 임상 1상 시험을 종료하였고, 전략적 판단에 따라 임상2상에 진입하는 시기를 조율하고 있음.

-20년 5월 비알콜성지방간염 및 구강점막염 치료 신약물질 EC-18 코로나19 관련 국내 임상 2상 시험계획(IND) 승인.

-나파모스타트/ 췌장암 치료제 나파모스타트 코로나19 치료 효과 관련 일본 임상시험 착수 소식 속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 제조방법 관련 특허 보유.
신풍제약 -백신, 진단시약, 방역/ 구충제/ 코로나19/ 제약업체

-원료 자체 개발 능력을 보유한 의약품 제조, 판매업체.

-주요 매출품목은 관절기능개선제(하이알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록스펜정), 페니실린계 한생제(크라목신), 항암제(브레트라정) 등.

-항말라리아제 '피라맥스' 코로나19 임상 2상 시험기관 확대.

-화이자의 고지혈증 치료제인 리피도와 더불어 통증치료제, 소염진통제 등 화이자 제품을 도입하여 판매중.

-이버튼정 3mg(이버멕틴-구충제) 생산.

-상승이슈 : 코스피 200 편입 및 코로나 19 치료제 피라맥스 기대감 지속.
종근당 -치매/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백신, 진단시약, 방역

-당뇨병치료제 자누비아, 뇌혈관질환 치료제 글리아티린, 고혈압치료제 딜라트렌,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로우, 골관절염 치료제 이모튼, 항바이러스제 타미플루 등 다양한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약업체.

-나파모스타트('나파벨탄' 임상 2상 진행)

-이탈리아 제약사 이탈파마코의 '글리아티린(뇌기능개선제)' 에 대해 2016년 부터 국내 판권보유. 대웅제약과 '글리아티린' 상표권 소송 승소.

-콜린알포세레이트 치매약.

-나파모스타트 복제약인 '나파벨탄'을 활용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중.

-20년 6월 나파벨탄 코로나19 국내 임상 2상 승인 후 임상을 진행중.
제넥신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 분석/ 코로나19

-독자적인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 신약을 개발하는 업체.

-주요 신약 개발 제품 라인으로는 항암면역치료제와 지속형항체융합단백질 치료제 제품군, 유전자 치료백신 제품군으로 분류.

-대표적 파이프라인으로 항암 면역치료제 (GX-17)를 보유하고 있으며, 차세대 단백질 신약으로 지속형 인간성장호르몬 (GX-H9), 빈혈 치료제 (GX-E4) 등을 개발중이며, DNA벡터 기술과 면역증강 기술을 통해 DNA백신인 GX-188E(자궁경부암 치료백신)와 GX-19(COVID-19 예방백신)를 개발 중.

-면역 시스템의 핵심세포인 T세포를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단백질인 인터루킨-7을 이용한 항암 면역 치료제(GX-17) 개발 진행중.

-바이넥스, 국제백신연구소, 제넨바이오, 카이스트, 포스텍 등 6개 기관과 산, 학, 연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코로나19를 예방할 수 있는 DNA 백신 'GX-19' 개발 착수.

-코로나19 예방 DNA 백신인 'GX-19'는 지난 6월 19일 국내 최초로 인체투여가 시작됐고, 9월 말 완료를 목표로 임상 1상 진행 중.
바이오톡스텍 -코로나19

-2대주주 셀트리온

-코로나19 혈장치료 (비임상 CRO사업을 통해 혈장과 혈청 공시료 판매중.)

-상승이슈 : 2대 주주 셀트리온, 내년 상반기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추진.
녹십자 -남북경협/ 겨울/ 백신, 진단시약, 방역/ 유전자치료제, 분석/ 제대혈/ 코로나19/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녹십자그룹 계열의 의약품 제조, 판매업체.

-전문의약품에서부터 일반의약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제품 라인 보유.

-국내 최초로 AIDS진단시약과 인플루엔자감염증 치료제를 개발하고 다수의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임상을 진행하는 등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차별화된 노하우와 경쟁력을 확보중.

-혈액제제 및 백신제제 등의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혈액제제류 관련 높은 매출 비중 보유.

-(주)녹십자엠에스, (주)녹십자웰빙, (주)녹십자랩셀, (주)녹십자지놈 등의 자회사를 보유.

-코로나19 혈장치료제(항체를 분획해 만드는 혈장치료제 'GC513A를 개발)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 국책 과제 공모를 통해 코로나19 관련 백신과 치료제 개발 돌입.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A' 임상 2상 승인.
드림텍 -바이오인식(생체인식)/ 자율주행차/ 갤럭시 부품주/ LED/ 코로나19

-스마트폰용 PBA 모듈, 디스플레이 PBA 모듈, 지문인식센서모듈, 헬스케어/ 의료기기 제품, IT기술을 접목한 Convergence제품, 차량용 LED 모듈, ADAS 모듈 및 HUD 모듈 등의 다변화된 사업구성을 보유한 EMS 및 ODM 전문 기업.

-삼성전자의 1차 벤더임.

-카메라 모듈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상장사 (주)나무가와 IT 기기에 사용되는 광학센서와 센서 패키징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엑센도(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Galaxy S, Note 시리즈와 같은 Flagship 제품 및 A시리즈 등 중저가 제품에 각종 모듈, 부품을 공급하거나, 제품 및 완제품을 위탁생산하여 납품.

-2010년부터 삼성 갤럭시 S 시리즈에 부품 공급을 개시했으며, 2016년 삼성향 지문센서 모듈 공급.

-이스라엘 스타트업체 나노센트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모니터링용 '전자코 솔루션' 상용화 추진중. 20년 7월 전자코솔루션 유럽통합안정인증(CE) 체외진단기기 등록 완료.
수젠텍 -치매/ 코로나19/ 백신, 진단시약, 방역

-국내 유일의 종합병원 및 전문임상 검진기관용 다중면역블롯 진단시스템 회사.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결핵 등 다양한 질병의 진단 기술을 보유.

-다중면역블롯 기술을 바탕으로 알츠하이머 치매를 조기진단하는 제품 개발.

-말초신경병증 진단용 바이오마커 도입.

-20년 3월 혈액으로 10분 내 진단 가능한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개발에 성공.

-20년 8월 코로나19 중화항체 검사키트 개발에 성공하고 미국 FDA 승인을 추진중.

-미국 FDA 신속진단키트 등록 완료/ 진단키트 수출 중.
지노믹트리 -유전자 치료제, 분석/ 코로나19

-체외 암 조기진단 전문업체.

-신규 바이오마커를 발굴, 검증, 임상적 유효를 검증, 인허가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암 종에 대한 조기진단 제품을 출시하고, 이를 이용한 분자진단 서비스,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

-대장암 조기진단 제품이 식약처 허가완료 후 2019년부터 제품을 본격 생산.

-방광암 조기진단제품은 임상성능 개선을 위한 업그레이드 제품 개발 중이며, 폐암 조기진단 제품 등은 식약처 허가용 확증임상 진행중.

-충남대와 코로나19 분자진단키트 및 항바이러스 치료제 MOU체결.

-20년 7월 대웅제약과 코로나19 진단키트(아큐라디텍) 글로벌 판매 및 공급 계약 체결.
쎌마테라퓨틱스 -치아치료(임플란트 등)/ 코로나19

-상품권 유통사업 및 치재료 유통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의약품 및 의료기기 개발부문(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개발, 방사선 의료기기 개발 등)과 상품권 유통사업부문, 치과의료기기 부문 등으로 사업을 구분.

-상품권 할인 유통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주)티켓나라 지분 보유.

-20년 7월 러시아 바이오기업 팜신테즈와 조인트벤처 설립 계약을 체결해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인 네오비르 기반 의약품 개발 본격화.

-20년 8월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을 위해 유럽 'OPIS', 국내 한국의약연구소와 3자 협약 체결.
크리스탈지노믹스 -면역항암제/ 슈퍼박테리아/ 코로나19

-차세대 관절염 진통소염제 '아셀렉스'를 포함하여 슈퍼박테리아용 항생제 및 분자표적 항암제 등 혁신 신약 개발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슈퍼박테리아 감염증 치료를 위한 신개념 항생제 개발(개발명 CG400549)이 지식경제부 산업원천 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됐으며,

-미국에서 CG-549의 임상 2a상 시험 성공 후 임상 2b상 시험 계획중.

-2018년 4월 미국 CBT 파마슈티컬스의 면역관문억제제인 CBT-501과 동사의 분자표적항암제 CG-745의 병용요법에 대한 글로벌 공동임상개발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향후 간암, 폐암 등의 적응증으로 글로벌 공동임상개발을 위해 준비중.

-췌장암 대상 아이발티노스타트 조건부허가 신청 예정.

-20년 7월 세린계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억제제인 '카모스타트'를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임상 2상 시험계획서가 식품의약품 안전처로부터 승인. 미국과 브라질 등에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2상 신청을 추진 중.
휴마시스 -의료기기/ 코로나19

-체외진단의료기기 개발 및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암진단분야, 가정용 자가진단제품군, 약물중독진단, 뇨분석제품군 등 면역 화학검사분야의 약 100여 개의 제품을 개발, 생산.

-주요 제품으로는 POCT 자동면역분석장비, 심혈관질환 POCT 다중검사시약, 뎅기열 검사제품, 호흡기질환 검사 제품, 말라리아 약제 동반진단 제품, 산부인과질환 다중 POCT 검사제품 등이 있음.

-20년 9월 식약처로부터 셀트리온과 함께 공동 연구개발한 코로나19 항원 진단키트 'Humasis COVID-19 Ag Test' 에 대해 수출용 허가 승인.

-유럽 체외진단 시약 인증인 CE-IVD를 획득.
한국비엔씨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코로나19/ 마리화나(대마)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 업체로서, 더말필러 등 미용성형용 의료기기, 청상피복재 등 수술, 시술용 의료기기를 개발 및 생산.

-주요 제품으로 매출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HA필러를 비롯해 유착방지재(심부체강창상피복재), 콜라겐흡수성창상피복재(약물 함유 콜라겐 스펀지), 콜라겐조직보충재 등을 보유.

-대만 골든바이오텍과 코로나19 치료제 공동개발.

-대만 골든바이오텍과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안트로퀴노놀' 공동임상 및 제품화 협력을 위해 한국 판권을 확보하도록 하는 상호 양해각서 체결.
EDGC -코로나19/ 유전자 치료제, 분석

-주요 사업으로는 비침습산전진단검사(NIPT), 유전성 암 예측검사, 신생아 유전질환 검사, 맞춤형 질병예측 검사, 안과질환 전문 유전체 분석 검사, 소비자 직접 의뢰(DTC) 유전체 분석 서비스, DNA App 개발 등이 있음.

-자회사 EDGC헬스케어가 미국 주정부와 관계사인 솔젠트의 코로나 진단시약 100만명분 LOI 체결.

-EDGC헬스케어 국보-스카이바이오와 KF마스크 미국 수출 계약 체결.

-주요주주 : 한국콜마홀딩스
앱클론 -면역항암제/ 코로나19/ 고령화사회(노인복지)

-항체신약개발, 제조 및 판매업체. 난치성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 극복을 위한 바이오시너지 항체의약품 신약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유한양행과 공동 개발중인 프로젝트에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인 'VHC2101'을 도출. 면역항암제 CAR-T 계열의 항암제 개발.

-주력제품으로는 위암 및 유방암 관련 AC101(HER2) 항체치료제, 류마티스 관절염 관련 AM201(TNFa x IL-6) 이중항체치료제 등이 있음.

-20년 3월 정부의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사업 신규 과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신속진단제 개발 과제'의 참여기관으로 선정.

-2월 한국화학연구원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항체 치료제 공동개발 관련 협약 체결.
레고켐바이오 -슈퍼박테리아/ 의료기기/ 코로나19

-신약연구개발 및 의약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신약연구개발 사업은 의약화학을 기반으로 항생제와 항응혈제, 항암제, ADC(Antibody - Drug Conjugate)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15년 12월 (주)칸메드를 흡수합병함에 따라 의약품, 의료기기(임플란트 수술용 재료), 의료용 소모품(수술, 진료용 일회성 소모품) 판매사업도 영위.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운영하는 신종 바이러스(CEVI) 융합연구단으로부터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CEVI-319, CEVI-500  등 약 10종)에 대해 기술도입 계약 체결.
강스템바이오텍 -코로나19/ 제대혈/ 화장품/ 줄기세포

-줄기세포 치료제의 개발, 제조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동종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치료제연구, 개발업체.

-주요 제품으로 퓨어스템-에이디®(아토피피부염), 퓨어스템-알에이®(류마티스 관절염), 퓨어스템-시디®(크론병) 등을 보유.

-주요 판매처는 대웅제약.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화장품업체 코스온과 줄기세포 배양액이 첨가된 화장품 브랜드 'GD11' 판매중.

-강경선 서울대 교수 (인공간 재건 영구성과 국제 학술지 게재)

-20년5월 식약처로부터 동종제대혈유래중간엽줄기세포 성분 퓨어스템-RA주(FURESTEM-RA Inj.)가 코로나19 중증 폐렴 환자 대상 치료목적 사용 승인을 획득.
옵티팜 -코로나19/ 백신, 진단시약, 방역/ 아프리카 돼지열병

-동물질병진단사업, 동물약품 유통사업 및 박테리오파지사업, 메디피그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신사업부문인 이종장기사업, VLP백신사업, 인체진단키트 사업을 연구개발 중으로 바이오전문 회사로 전환 추진중.

-이지홀딩스의 자회사.

-휴벳바이오와 공동 개발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에 대해 동물 실험.

-미니피그를 이용한 이종장기 연구 개발.
메디콕스 -조선기자재, 철도/ 코로나19

-조선기자재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초대형 선박의 선수, 선미, 프로펠라보스, 엔진룸 등 9곳의 특수제작 요건을 요하는 부문의 블록제작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현대중공업 및 현대미포조선 등의 1차 협력업체임.

-17년 3월 철도차량용 전동기 OEM 생산업체인 씨엠지 흡수합병.

-20년 8월 바이오 관련 헬스케어 유통 제조, 의료용품 유통 제조, 마스크 유통 제조 사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 하는 등 바이오사업 추진중.

-메콕스큐어메드와 코로나 19 치료제 관련 특허 공동 출원.

-20년9월 자회사 메콕스큐어메드가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기존 수출 물질인 'M002-A'과 여기에서 분리해낸 추가 물질(ZPEF01, ZPEF02, ZPEF03, ZPEF04))을 현재 공동 개발사인 유럽 신약개발 전문기업 튜브파마에 수출.
천랩 -유전자 치료제, 분석/ 코로나19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한 미생물 생명정보 분석 서비스 (EzBioCloud 플랫폼, NGS/BI 통합 솔루션, TruBac ID 등) 및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스마일바이오미 등)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향후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할 예정.

-매출 대부분은 미생물 생명정보 플랫폼 및 솔루션 사업에서 발생.

-휴먼마이크로바이옴.

-20년 6월 코로나19 신속 항체 진단키트 'EZSpeed COVID-19 lgG/ lgM' 출시.
일양약품 -코로나19/ 제약업체/ 백신, 진단시약, 방역

-자양강장제 원비디, 항 궤양제 놀텍,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하이트린, 원료의약품 알마게이트 등의 의약품을 제조, 판매하는 전문 제약업체.

-충북 음성에 연간 최대 6,000만 도스 생산 규모의 인플루엔자 백신공장을 준공해 본격 생산판매 돌입.

-계절 독감백신을 생산/ 판매 중이며, 새로운 고부가치 백신으로 3,4가 플루백신, 조류독감백신 등 다양한 백신을 생산/ 판매하기 위해 백신사업에 지속적으로 R&D 투자를 진행중.

-백혈병 치료제 '슈펙트'가 코로나19 치료제로써 러시아에서 임상 3상을 승인받았으며, 러시아 1위 제약사 알팜과 임상을 진행중.

-향후 도출된 임상 결과는 알팜이 러시아 및 벨라루스에서 독점권을 갖고, 동사가 그 외 국가에 대한 권리를 받게될 예정.
나노엔텍 -원격진료/ 고령화 사회/ 코로나19/ 의료기기

-나노바이오 및 진단의료기기.

-나노바이오 융복합기술 기반의 생명공학 연구기기와 현장진단 의료기기를 제조 및 판매.

-생명공학기기는 자체 브랜드와 ODM/OEM 공급으로 영업을 진행 중.

-인성정보와 U-Healthcare 공동 연구와 마케팅 및 서울시 자치구 보건소 U-Healthcare 사업 진행에 대해 MOU체결.

-SK텔레콤과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기기 공동 개발.

-SK케미칼 치매치료패치 미 FDA 시판 허가 획득 소식에 일부 SK그룹주 강세 속 급등.

-코로나19 혈장치료(혈액서 혈장을 추출하는 혈구분리 칩 기술 특허 보유)

-코로나19 항체진단키트(FREND COVID-19 IgG/IgM Duo)와 분자진단키트(En-swer COVID-19 RT-PCT Kit)에 대해 식약처로부터 수출허가 획득.

-상승이슈 : 혈액제제분석시스템 미국 FDA 승인/

 

 

제일약품 -줄기세포/ 코로나19

-고지혈증 치료제(리피토), 신경병성통증치료제(뉴론틴), 진통소염제(쎄레브렉스)등의 의약품 생산 및 판매 업체.

-뇌졸증 치료제, 항암제,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등의 파이프라인을 보유중이며 인간배아 줄기세포로부터 파킨슨병의 세포치료제를 개발해 기술이전한 바 있음.

-나파모스타트 (췌장암 치료제 나파모스타트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소식 속 나파모스타트메실산염 주성분 약제 '나파몬주' 생산하는 점으로 시장에서 부각.)

-한국 화이자와의 파트너십 (성석제 대표이사가 한국화이자 부사장 출신인 점과 화이자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필로시스헬스케어 -코로나19 (혈장치료)

-잡화, 의류 등의 유통사업과 바이오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관계사 필로시스 국내 최초로 검체 채취키트 미 FDA 허가 획득.

-262.54억원 규모 코로나 진단 레피드키트 공급계약 체결.

-독일, 그리스 업체 등과 코로나 진단 레피드키트 공급계약 체결. 관계사 필로시스가 코로나19 진단키트 'Gmate COVID-19' 개발.

-코로나19 혈장치료 (5분만에 순수 혈장을 분리하는 기술 미국 FDA로부터 승인.)
얼라인드 -코로나19

-생명과학 연구 및 진단분야의 첨단 장비와 시약을 개발, 생산하는 업체.

-주요 제품은 자동 세포 카운팅 시스템, 생체조직 투명화, 디지털 세포 이미징 시스템 등임.

-투자사 바이오젠텍, 코로나19 진단키트 식약처 수출허가 획득. (투자사 바이오젠텍이 코로나19 신속 진단이 가능한 고속다중분자진단 기술 개발.)
미코 -반도체 재료, 부품/ 코로나19

-반도체 세라믹 부품 제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관련 기술 보유. 연료전지 스택을 개발해 정부의 녹색인증 획득.

-반도체/ 태양광/ 디스플레이 산업부문의 정밀세정 및 특수 코팅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사 코미코를 종속회사로 보유.

-코로나19 검사 진단키트 및 유전자 추출키트 제작업체 미코바이오메드의 최대주주.

-20년 10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주)미코파워 설립 결정.

-자회사 미코바이오메드가 코로나19 진단키트 및 진단장비 중국 수출 추진 중. / 세네갈에 진단키트 수출.
마크로젠 -줄기세포/ 원격진료/ 유전자 치료제, 분석/ 고령화 사회/ 코로나19

-서울의대 유전자이식연구소를 모태로 설립된 생명공학기업.

-다양한 생물 종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결과를 발송해주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그 외 올리고 합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공급 서비스, 임상진단서비스, 개인유전체분석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

-신규사업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기술개발 및 판매, 특허기술을 활용한 유전자가위서비스 제공, 임상진단 시약 생산판매 등을 진행중.

-모더나(마크로젠 자회사 소마젠이 미국 모더나와 RNA 서비스 공급계약 체결.)

-안철수(서정선 회장과 안철수 의원 간의 과거 서울대 의대 시절 인맥으로 시장에서 부각.)

-LG생명과학과 공동으로 개인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맞춤치료 분야 연구개발 및 시장진출을 위한 포괄적 업무 협약 체결.

-지분 보유한 이뮨메드가 서울대학교 병원과 임상시험용 의약품인 'VSF'를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치료 목적으로 사용 승인 받고 투약 진행 중.
셀리버리 -췌장암/ 코로나19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TSDT)과 이를 적용한 단백질소재 바이오 신약 후보물질의 개발 및 기술이전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TSDT 플랫폼을 이용하여 4종의 단백질 소재 세포/조직투과성 바이오신약 후보물질인 iCP-Parkin(파킨슨병 치료제), iCP-SOCS3(췌장암 치료제), CP-BMP2(골형성 촉진제), CP-ΔSOCS3(고도비만/당뇨 치료제 ) 와 1종의 펩타이드 소재 세포/조직투과성 바이오신약 후보물질인 iCP-NI(감염성 급성간염 패혈증 치료제) 및 3종의 단백질 소재 세포투과성 연구용 시약인 iCP-Cre(유전체 조절효소), iCP-RFs(역분화 유도인자군 6종), CP-Cas9(유전자 가위)을 개발 중.

-골형성촉진제 관련 유럽 특허 취득.

-동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중 하나인 중증패혈증 치료제 'iCP-NI'가 코로나19의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짐.
랩지노믹스 -코로나19/ 백신, 진단시약, 방역/ 의료기기/ 유전자치료제, 분석

-체외진단 서비스 및 체외진단 제품 개발 및 생산 전문업체.

-분자진단검사 서비스와 유전자분석 서비스(맘가드) 사업 등을 영위.

-유전자 분석기술을 바탕으로 DNA칩, 바이오센서, POCT, 진단키트 등 다양한 제품 개발.

-종합병원과 비뇨기과 및 산부인과네트워크 보유,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해 그리스, 폴란드, 모로코 등에 공급.

-진단키트 미국 FDA 긴급사용 승인.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허가 취득 및 UN 조달기구 등록을 완료.

-세계 최초로 코로나19를 1시간 이내에 진단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질병관리본부 긴급사용승인과 식약처 수출품목 허가를 획득.
유바이오로직스 -백신/ 진단시약/ 방역/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공급 사업과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CRMO(수탁 연구 및 제조) 사업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경구용 콜레라백신 치료제 '유비콜'이 있으며, '유비콜'의 제품화 경험 및 노하우와 자체기술로 확립한 접합 단백질(CRM197)을 기반으로 장티푸스 백신, 폐렴구균 백신, 수막구균 백신 등 국내외 시장을 겨냥한 세균 백신을 개발하고 있음.

-20년 3월 코로나19 예방백신 개발을 위해 오송재단, 바이오노트, 씨티씨백, 카브 등 4개 법인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MOU를 체결함.

-코로나19 예방백신 후보 백신 도출에 성공하고 비임상 및 임상시험을 위한 준비 시작.
JW중외제약 -마스크/ 황사, 미세먼지/ 제약업체/ U-HEALTHCARE/ 고령화사회(노인복지)

-코로나19 나파모스타트, 나파린주 제조 사실 부각.

-JW그룹 계열의 제약업체.

-수액제(링겔)를 비롯해 프리페넴(항생제), 리바로(고지혈증치료제), 시그마트(협심증치료제), 트루패스(전립선비대증 치료제), 인공눈물(프렌즈 시리즈)등 다양한 약효군의 전문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

-미세먼지용 마스크인 조은숨황사방역마스크를 판매.

-덱사메타손 : 중외덱사메타손주(덱사메타손디나트륨인산염 성분) 판매.

-중국 보건당국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해 '악템라' 공식 사용 소식 속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악템라(토실리주맙)의 국내 개발, 상업화 권리를 도입.

-췌장암 치료제 나파모스타트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소식 속 나파모스타트메실산염 성분 나파린주를 제조중.

-삼성전자와 삼성의 헬스케어 사업 첫 진출 제품인 '혈액검사기' 독점 판매 계약 체결. (혈액검사기는 IT와 의료분야를 접목시킨 신개념 의료기기)
마이크로디지탈 -코로나19

-바이오분석시스템, 메디컬자동화시스템 및 현장형 정밀진단시스템의 연구/개발, 제조/생산 및 유통 업체.

-단기적으로는 현재 급속도로 성장하는 미량 흡광분석, 소형 발광분석 시스템 등의 판매에 집중하여 현금 창출을 극대화하고, 중기적으로 메디컬 자동화 시스템 및 일회용 세포배양시스템의 글로벌 확산을 도모하며, 장기적으로 정밀현장진단플랫폼으로 사업구조를 고도화중.

-한번에 94명의 샘플을 검사할 수 있는 코로나19 항체진단용 대용량 진단키트 '엠디젠' 개발 완료.
씨티씨바이오 -사료/ 아프리카 돼지열병/ 백신, 진단시약, 방역/ 치매/ 코로나19

-미생물배양과 발효기술, 제약기술 등의 생명공학분야 전문 연구기업. 단미보조 사료, 사료첨가제 등을 생산, 판매중.

-조류인플루엔자(AI) 대상의 소독제 및 진단키트를 해외에서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

-일본 도네페질 성분의 치매치료제 '아리셉트'를 필름형으로 바꿔 국내 판매.

-치매치료제 '리메셉트구강용해필름' 및 병용 처방약품인 '리콜린산제'를 출시하여 판매중.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유럽 CE인증 및 IOS13485 인증 획득.

-남미지역 및 아프리카, 중동지역 등에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

-하이멕틴이라는 구충제 판매(이버멕틴 함유)
카이노스메드 -코로나19

-퇴행성 뇌질환(파킨슨병) 치료제, 에이즈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항암제(에피제네틱스항암제, 세포독성항암제,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와 B형 간염 치료제와 같은 초기 개발단계에서 임상단계 과제에 이르는 다양한 신약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을 구축.

-대표적 기술이전으로는 에이즈 치료제(KM023)가 있으며, 중국영토의 제한적 재실시권 부여와 중국에서 진행되는 임상결과 자료 활용으로 다국적 제약사의 기술이전 기회 확보.

-20년 3월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코로나19 신약 창출을 위한 스크리닝 계약 체결.

-파스퇴르연구소는 코로나19 등 사스코로나바이러스 감염성 세포 분석을 사용, 카이노스메드가 자체 연구하고 있는 화합물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 검증 예정.
휴온스 -코로나19/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주사제(앰플, 바이알, 카트리지, 플라스틱 주사제 등), 정제, 캅셀제, 현탁액제, 점안제 등이 있음.

-휴온스글로벌(지주회사)과 보툴리눔톡신(국내명 리즈톡스, 수출명 휴톡스)에 대한 독점판매계약을 체결.

-국내외 판권 보유한 젠큐릭스가 병원용 코로나 진단키트 2종 유럽 인증 획득.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성분의 휴온스덱사메타손디나트륨인산염주사액 제조/판매)

-20년 3월 병원용 코로나19 진단키트 '진프로 코비드19 진단키트'를 개발한 젠큐릭스와 MOU를 체결하고 국내외 공급 판권을 확보.

-'진프로 코비드19 진단키트' 2종이 유럽체외진단시약 인증(CE-IVD)'을 획득.
녹십자엠에스 -코로나19/ 마스크

-녹십자그룹 계열의 진단시약, 혈액백, 혈액투석액, 당뇨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지카바이러스 진단키트 '제네디아' 개발.

-황사방역 마스크 판매.

-2020년 6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분자진단키트 수출 허가 획득.

-2020년 5월 코로나19 항체진단키트 2종 수출 허가 획득.
인트론바이오 -슈퍼박테리아/ 코로나19/ 백신, 진단시약, 방역

-슈퍼박테리아 치료제, 인공혈액 등 바이오신약 개발, 분자진단 사업, 동물용 항생제대체재 및 유전자시약(생명공학 연구용 시약 제품) 등의 사업을 영위.

-박테리오파지 및 리신 기술에 기반하여 슈퍼박테리아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에 대한 바이오신약 개발을 주력사업으로 영위.

-자체 개발한 'LiliF COVID-19 Real Time RT-PCR' 키트 수출용 허가 획득.

-코로나19 신속 항체진단제품 'LiliF GBN COVID-19 IgG' 키트 유럽 CE인증 획득.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핵산을 추출하는 유전자추출 제품도 공급중.

-오상헬스케어와 코로나19 진단키트 사업 협력 체결.
코미팜 -아프리카 돼지열병/ 백신, 진단시약, 방역/ 코로나19

-동물용 백신과 소독제(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돼지콜레라 등) 각종 예방약인 백신제 및 치료제인 주사제, 영양제 등의 동물용 의약품 전문제조업체.

-인체의약품으로 사업영역을 확정하기 위해 먹는 항암제 및 암성통증 치료제 코미녹스를 개발하여 현재 미국, 호주, 한국 등에서 임상 진행중.

-20년 2월 개발중인 신약물질 '파나픽스'의 국내 식약처 긴급임상시험계획을 신청한 바 있음.

-다만, 20년 6월 코로나19 치료제 임상계획이 반려됐으나, 구체적인 확인 및 대응 계획을 수립해 자료를 보완, 재신청을 진행중.

-20년 7월 코로나19 치료제 스페인 임상 2/3상 신청.
비씨월드제약 -제약업체/ 코로나19

-중소형 제약업체. 주요제품으로 마취통증약, 순환계용약, 항생제, 기타 처방의약품 등을 생산/ 판매.

-종근당과 코로나19 치료제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코로나19 렙데시비르 (뉴클레오시드 유도체 관련 특허 보유)

-코로나19 치료제 관련 클로로퀸 생산 및 유통 소식에 시장에서 관련주로 부각.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효능으로 부각받은 '나파모스타트메실산염' 유효성분으로 하는 나파벨탄주를 제조 및 공급.
셀리드 -면역항암제/ 코로나19

-연구 중심의 항암면역치료백신 개발 전문 바이오벤처기업.

-CeliVax 원천기술을 이용한 BVAC 파이프라인 제품의 개발 및 임상연구를 통해 면역항암치료제를 개발 중.

-주요 파이프라인은 BVAC-C(자궁경부암, 두경부암, 항문암, 성기암 등), BVAC-B(위암, 유방암 등), BVAC-P(전립선암, 뇌종양 등), BVAC-M(흑색종, 폐암, 대장암, 췌장암 등)등이 있음.

-LG화학과 코로나 19 백신 개발 및 대량생산 관련 MOU체결.

-20년7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기반한 1세대 및 2세대 코로나19 예방백신 개발 관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

-20년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코로나19 예방백신(AdCLD-CoV19) 임상 제1/2a상 시험 계획(IND) 승인 신청.
유나이티드제약 -코로나19/ 제약업체

-전문치료제 중심의 의약품을 제조판매하고 있는 제약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항생제(오그멕스정 등), 순환기계(실로스탄씨알정, 유나스크정 등), 소화기계(뉴부틴정 등), 해열진통제(클란자 등) 등이 있음.

-타미플루 생산가능업체로 식약처에 등록돼 있으며, 요오드화칼륨 생산 경험을 보유.

-코로나19 흡입치료제 개발 추진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에 감염된 일본 환자들이 천식 치료제로 증상이 개선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천식 및 COPD(만성폐쇄성 폐질환) 흡입기 치료제를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 완료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20년8월 천식 치료제로 개발중이던 개량신약 흡입제 'UI030'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계획 발표. 국내 및 필리핀에서 임상시험을 시행할 예정.
진매트릭스 -코로나19/ 메르스/ 백신, 진단시약, 방역

-유전자 분석 및 맞춤의료를 위한 분자진단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진단제, 의료기기, 질병을 예방하는 백신, 천연물을 포함한 신약 또는 건강개선용 소재와 관련한 기술, 제품 또는 상품을 연구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유전자의 질량 차이를 이용한 DNA 변이 분석기술인 RFMP 원천기술을 보유.

-주요고객은 녹십자의료재단, 다이아제닉스, 대형종합병원, 연구기관 등임.

-19년 10월 의료용 진단시약 제조업체 (주)진매트릭스바이오 흡수합병.

-코로나 진단키트 유럽인증 획득/ 미국 FDA긴급사용승인 신청/ UAE에 수출.

-유니세프와 코로나19 진단키트 장기 공급계약 체결 및 코로나19 독감 동신 진단키트 수출허가 획득.

-코로나19를 진단할 수 있는 별도 키트(네오플렉스 COVID-19) 개발을 완료했으며 유럽 CE-IVD 인증을 획득.

-20년 5월 네오플렉스 COVID-19가 미국 FDA 긴급사용승인을 획득.

-영국 옥스퍼드대와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진행중인 가운데, 동사가 옥스퍼드대에서 분사한 백시텍에 지분 투자.

-상승이슈 :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임상 3상 중간결과 발표 임박 소식 속 백시텍 지분투자 사실 부각.
파미셀 -코로나19/ 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치료제의 제조, 판매 연구개발, 성체줄기세포보관사업 및 줄기세포배양액 함유 화장품개발사업 등을 담당하는 바이오사업부문과 생물화학제품 및 정밀화학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케미컬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바이오 전문업체.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셀그램 보유.

-미국 FDA승인 코로나 진단키트 제조사 '서모피셔 사이언티픽'에 원료 공급.

-각종 바이러스 진단키트의 주원료로 쓰이는 뉴클레오시드를 생산 및 판매.

-모더나 (뉴클레오시드 생산 사실 부각)

-렘데시비르 (렘데시비르 원료인 '뉴클레오시드'를 생산)
대웅제약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코로나19/ 치매/ 바이오시밀러/ 제약업체

-의약품 생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제약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나보타(보툴리눔 톡신 제제), 우루사(피로회복, 간장해독), 올메텍(고혈압치료제), 가스모틴(기능성소화제) 등을 보유.

-16년12월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으로부터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 '에포디온'의 품목허가를 취득해 17년1월 출시.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나보타'가 19년2월 美 FDA로부터 승인되었으며, 19년5월 美 파트너사인 에볼루스를 통해 제품명 '주보'로 美 시장에 진출.

-뇌기능개선제 글리아타민을 생산해 대웅바이오에 공급.

-니클로사미이드 (계열사 대웅테라퓨틱스 관련 기술 보유)

-계열사 대웅테라퓨틱스가 코로나19 치료제 'DWRX2003(성분명 니클로사마이드)'의 동물 효능시험에서 뚜렷한 바이러스 감염 개선 효과를 확인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와 대웅테라퓨틱스는 2020년 5월 'DWRX2003'를 공동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해당 계약을 통해 연구, 개발 및 해외 라이센스 아웃을 공동으로 진행한 바 있음

-20년7월 지노믹트리와 코로나19 진단키트(아큐라디텍) 글로벌 판매 및 공급계약 체결.

-한올바이오파마 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젠큐릭스 -유전자 치료제, 분석/ 코로나19

-분자진단 및 동반진단 제품 생산업체로 신규 사업으로 코로나19 진단 사업도 영위.

-주요 제품은 GenePro COVID-19 Detection Test, GenePro SARS-CoV-2 Test 등이 있음.

 

 

앤디포스 -갤럭시 부품주/ 아이폰/ 휴대폰부품/ 코로나19

-모바일기기용 양면 테이프 사업과 윈도우 필름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갤럭시S10 시리즈에 TSP용 양면 테이프를 공급.

-아이폰 시리즈에 방수/ 방진용 테이프를 납품 중.

-인플루엔자 키트 수출허가.

-자회사 큐어바이오가 siRNA기술을 바탕으로 폐암 유발 유전자인 AIMP2-DX2를 억제하는 신약 파이프라인을 기반해 폐암 치료제와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을 본격화. 

-20년7월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ND COVID-19 IgG/IgM Rapid Test'의 유럽 인증을 완료.

-20년8월 코로나19 중화 항체 진단키트 개발 착수.

-20년9월 코로나19 항원진단키트 'ND COVID-19 Ag Test' 유럽 체외진단시약인증 획득

-상승이슈 : 자회사네오티엑스 면역항암제 '냅투모맙'과 아스트라제네카의 면역관문억제제 '임핀지' 병영투여 임상1상 성공 사실 재부각/ 22.28억원 규모 코로나19 진단키트 공급 계약 체결.
바이오니아 -코로나19/ 메르스/ 백신, 진단시약, 방역/ 유전자 치료제, 분석

-유전자 연구개발 관련 기초 재료 및 장비생산업체.

-유전자연구/ 분자진단용 기초 소재 및 시약, 분자진단키트, 유전자 추출/ 증폭/정량분석장비, 분자진단 장비 등을 자체 개발/ 생산.

-RNAi 등을 이용한 차세대신약개발 등 다양한 기술의 사업화를 진행중.

-코로나 진단키트 2종에 대한 유럽 CE-IVD(체외진단기기) 인증 획득.

-국내 진단키트 생산기업 등과 코로나19 핵산추출시약 공급계약을 체결.

-20년 9월 코로나19, 독감 동시진단키트 임상시험계획 식약처 승인.

-유로핀즈를 통한 핵산수출장비 등 공급. (유로핀즈 미 FDA 가정용 코로나19 검사 승인)
바이오스마트 -코로나19(진단키트)/ 치매

-신용카드 제조 및 신용카드 관련 기자재(소형 발급장비 등) 생산 업체.

-MasterCard 발급 및 VISA-Cash카드 IC 칩 임베딩인준을 획득, 전자화폐 제조에 관한 품질인증에 합격, VISA카드 발급 인준, Mondex 카드 제조 및 발급 인준을획득.

-치매 및 뇌질환 관련 치료 보조제 카리나제를 생산하는 오스틴제약 및 DNA칩 및 유전자 분석 전문업체인 에이엠에스바이오, 화장품 제조/판매업체인 한생화장품, 라미화장품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코스닥 상장사인 옴니시스템을 계열사로 보유.

-자회사 오스틴제약(치매 및 뇌질환 치료제 카리나제 생산)을 보유한 지주사

-자회사 에이엠에스바이오 코로나19 진단키트 FDA 긴급 승인 등록.
소마젠(Reg.S) -유전자 치료제, 분석.

-미국 전역의 대학 및 유관 기관에 전 방위적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

-주요 서비스는 염기서열 분석의 Gold Standard로 불리는 생어 방식의 생어 유전체 분석(CES)과 차세대 유전체 데이터 분석(NGS), 개인 유전체 분석으로 구분.

-진단 시장의 요구에 필수적인 인증 시스템인 CLIA와 CAP을 취득하여 임상진단 서비스 및 개인의 직접의뢰 유전자 검사(DTCGT)의 형태로 상용화 되어 있으며, 염기서열 분석의 이전 단계인 PCR, Purification, DNA extraction 등 전처리는 물론이고 최신 기기를 통한 유전자 서열 생산 이후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까지 모두 갖추고 있음.

-모더나 (모더나는 소마젠의 고객사, 1년에 100만불 가량 시퀀싱 서비스 제공)

-2014년 미국 모더나와 DNA 및 RNA 염기서열 분석 서비스 계약 맺음. 현재 사업 파트너 관계 유지.

-서비스 제공자는 마크로젠.

-20년 10월 미국에서 코로나19 RT-PCR(실시간 유전자증폭검사) 진단 서비스를 시작했음.
부광약품 -제약업체/ 코로나19/ 줄기세포

-의약품 및 의약외품을 제조 판매하는 제약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 치료제 덱시드/치옥타시드, 간질환 치료제 레가론, 빈혈치료제 훼로바, 간질치료제 오르필, 기관지 확장제 액시마 등.

-진행중인 연구과제로 파킨슨병 환자의 Levodopa induced Dyskinesia 치료제 JM-010, 제2형 당뇨병 치료제 MLR-1023, COVID-19 치료제 레보비르(성분명 클레부딘) 등이 있음.

-항바이러스제 레보비르(성분명 클레부딘)의 시험관 내 시험에서 코로나19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허를 출원했으며, 임상2상을 진행중에 있음.

-덱사메타손 : 부광덱사메타손정 (덱사메타손 성분) 판매.
유틸렉스 -면역항암제/ 코로나19

-면역항암 세포치료제와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차세대 면역 기반 항암제인 T세포 치료제, 항체치료제, CAR T 세포 치료제 등을 개발 중.

-기존 연구데이터 기반으로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 착수.

-20년 7월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국책과제 선정.
대웅 -코로나19/ 지주사

-대웅그룹의 지주회사. 주 수익은 자회사에 대한 용역 수익, 임대료 수익, 수수료 수익 등으로 구성.

-(주)대웅제약, 대웅바이오(주), (주)대웅개발, 한올바이오파마(주), (주)대웅테라퓨틱스 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니클로사마이드(자회사 대웅테라퓨틱스 관련 기술 보유.)

-상승이슈 : 자회사 대웅제약, 코로나19 치료제 'DWRX2003' 정부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
뉴지랩 -CCTV&DVR/ 보안주/ 코로나19

-5G 유통 및 CCTV 카메라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5G 스마트폰 유통사업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SKT와의 계약을 통해 전국 290여개 판매대리점을 거쳐 갤럭시S10 5G, 갤럭시 버즈 등의 제품 유통.

-알약 형태 코로나19 치료제 특허 출원.

-나파모스타트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등과 나파모스타트 기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약물재창출 임상시험에 공동연구기업으로 참여)
우리들제약 -코로나19

-치료제 중심의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업체.

-바르디핀(혈압강하제), 리바틴(혈관치료제), 크바스틴, 에소맥스 등을 주력 품목으로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판매.

-진단제품 생산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 미국 바이오 업체인 코스닥 상장사 엑세스바이오의 최대주주.

-종속회사로 포레스토리(화장품 제조/판매) 등을 보유.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식약처 수출 허가 승인.

-자회사 엑세스바이오 코로나19 항원 신속진단키트 미 FDA 긴급 사용 승인.

-한국화학연구원 CEVI 융합연구단의 코로나19 대항 항체 발견 소식 속 계열회사 웰스바이오가 코로나19 분자진단 및 면역진단 기술의 공동연구를 위해 한국화학연구원 CEVI 융합연구단과 MOU체결.

-추미애 관련주 (친문)
SV인베스트먼트 -창투사/ 코로나19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투자했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

-이뮨메드 코로나19 치료제 바이러스 93% 감소 효과 확인 소식 속 지분 보유사실 부각.
디엔에이링크 -코로나19/ 유전자 치료제, 분석

-유전체 분석(EGIS) 사업과 맞춤의학용 개인유전체 분석(DNAGPS) 사업 등을 전문적으로 영위하는 업체.

-유전체 분석 사업이 매출 대부분을 차지하며, 최신 유전체 분석장비 및 전문인력을 보유.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 유전자 검사의 임상 적용에 따라 분자 진단 시장 진출 준비중.

-지티지웰니스와 코로나19 신속 진단키트 해외수출 총판 계약.

-20년 4월 아르헨티나 등에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메디멤버스와 코로나19 진단키트 공급계약 체결.

-20년 6월 코로나19 감염증 신속진단키트가 유럽인증(CE)을 획득.
엑세스바이오 -유전자치료제/ 백신/ 진단시약/ 방역

-진단제품 생산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 미국 바이오 업체.

-체외진단 기술을 토대로 말라리아 진단시약과 에이즈(HIV) 진단용스트립(반제품) 등의 진단 제품을 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음.

-지카바이러스 진단키트 국내 판매허가를 획득한 바 있는 웰스바이오를 종속회사로 보유.

-최대주주 우리들제약,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식약처 수출 허가.

-코로나19 항원 신속진단키트, 미 FDA 긴급사용승인 획득.

-20년 1월 자회사인 웰스바이오가 한국화학연구원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CEVI)과 코로나19 분자진단 및 면역진단 기술의 공동연구를 위한 MOU체결.
진원생명과학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진단시약, 방역/ 유전자 치료제 분석/ 코로나19

-의류용 심지와 바이오의약품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바이오의약품 사업은 바이오의약품 CMO사업과 플라스미드 DNA기반 신약 개발사업으로 구분됨.

-임상시험에 필요한 유전자치료제 및 DNA백신의 원료인 국제규격(cGMP) 플라스미드 (Plasmid)DNA 제품을 미국 현지법인인 VGXI, Inc.에서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만성C형 간염 치료용 DNA백신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보유. 

-렘데시비르(진원생명과학의 2대 주주인 미국 바이오기업 '이노비오'는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이며, 동사는 정부 지원과 함께 백신 후보물질 'INO-4800'의 국내 임상시험을 진행중. / 이노비오가 진원생명과학의 12% 지분 보유, 렘데시비르 관련주 움직임 부각)

-미국 제약사 이노비오와 에볼라 백신 공동 개발.

-미국 자회사 VGXI가 미국 바이오기업 이노비오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참여.

-동사가 개발 중인 DNA 백신 'GLS-5310'가 독성,효능평가를 위한 동물실험(전임상)을 진행 중이며, 하반기 임상1/2a상 연구를 시작할 예정.

- 20년4월 美 FDA가 코로나19 감염 방지 코 스프레이 치료제인 'GLS-1200'의 2상 임상시험을 승인.
오상자이엘 -코로나19/ SI(시스템통합)

-PLM(제품수명주기관리)사업, SI사업(시스템 구축, 보안솔루션, VAN, NI, 렌탈 및 정보통신공사 등), 과일포장재 팬캡사업(팬캡이란 브랜드의 고급과일 포장재 판매) 등을 영위하는 업체.

-신규사업으로 농업바이오, 포장, 신소재, 화장품 등 분야를 추진중.

-계열사 오상헬스케어의 코로나19 진단키트가 유럽인증(CE) 및 美 FDA 긴급사용승인을 획득.

-상승이슈 : 계열사 오상헬스케어, 코로나19 진단키트 자체 개발 소식 등에 급등
우리들휴브레인 -의료기기/ 줄기세포/ 코로나19

-의료기기, 의료용품 공급 및 골질환 치료 목적의 줄기세포를 연구하는 메디컬 사업부문과 휘트니스 서비스 및 기구 등을 공급하는 생활건강사업부문, 의약품을 유통하는 의약품사업부문 등을 영위.

-종속회사인 (주)그린벨시스템즈를 통해 스토리지사업부문도 영위.

-비비비 지분보유.(셀트리온 + 비비비 진단키트)

-추미애 관련주(친문)

-20년 3월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진단키트 유럽 CE-IVD 인증 획득.

-지분을 보유중인 비비비가 셀트리온과 협업해 Mark-B 항원진단키트를 개발했으며, 해당 진단키트가 유럽 CE인증을 획득.
펩트론 -치매관련주

-약효지속성 의약품 연구개발 및 생명공학관련 첨단기술소재의 제조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요 파이프라인은 질환별로 전립선암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퇴행성 신경질환(파킨슨병 및 알츠하이머병 포함)치료제 등으로 구분.

-항암 신약 PAb001은 글로벌 제약사와 물질이전계약 체결했으며, 파킨슨치료제는 국내 임상 2상 진행중.

-1개월 지속형 당뇨치료제 세계 최초 개발 성공

-표적 항암항체 신약 'Pab001'과 파킨슨병치료제 'PT320'에 관해 코로나19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를 추진중.

-나파모스타트 미세구체형태 제형 개발 완료.
네이처셀 -화장품/ 치매/ 줄기세포/ 음식료업종/ 코로나19

-음료/ 식품 사업과 줄기세포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발효 및 건강기능식품사업, 음료사업 등 식품사업과 줄기세포치료제 판매사업(판매권), 줄기세포해외임상, 줄기세포 배양배지사업,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 사업 등 줄기세포사업을 영위.

-코로나19 살균소독제 출시.

-자가 줄기세포를 활용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스트로스템'은 미국 FDA에서 임상 1/2상 진행중.

-네이처셀 부모·자녀·형제 등의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동종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아스트로스템-V'의 1/2a상 임상시험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폐렴 환자 대상) /현재 임상시험계획 보류됨.
제놀루션 -유전자 치료제, 분석/ 코로나19

-체외진단 의료기기 전문업체.

-유전자 기반 분자진단기기 사업과 RNAi연구관련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

-20년9월 QUIMIOLAB S.A.S와 20.0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0.73%) 규모 공급계약(코로나19 진단키드(추출)) 체결.

-20년11월 QUIMIOLAB S.A.S와 19.1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8.53%) 규모 공급계약(코로나19 핵산추출키트 판매) 체결.
시너지이노베이션 -의료기기/ 코로나19

-코로나19 검체 채취키트 미 FDA 품목허가 승인.

-20년 8월 캐나다 의료기기 판매사와 코로나19 검체 채취키트 수출계약 체결.

-상승이슈 : 타액, 항원용 검체 채취키트 미국 FDA 품목 등록.
바디텍메드 -코로나19/ 의료기기/ 백신, 진단시약, 방역

-면역진단 카트리지 및 진단기기 등 체외진단제품의 연구개발, 생산과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형광 면역 측방유동기술, 형광 정량검정 기술, 흡수 스펙트럼 측정기술을 보유.

-이 기술을 활용해 인체 질환의 감염성 질환, 당뇨 질환, 호르몬 질환 등을 포괄하는 진단카트리지 제품군을 보유.

-중국 감염진단시약 점유율 1위.

-20년9월 EOS SRL-MAGAZZINO와 코로나19 항원진단키트 공급계약 체결. 20년7월 코로나 항원진단키트 2종, 브라질 ANVISA 제품 등록.
셀트리온 -코로나19/ K-뉴딜지수/ 바이오시밀러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 개발/ 생산업체.

-레미케이드(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의 바이오시밀러가 89개국에서 판매 허가를 받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중.

-'허주마'(유방암치료제) 14년 1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허가 받음.

-트룩시마(혈액암치료제)

-코로나19 항체치료제 'CT-P59' 3상 예방 임상시험계획 승인.

-화이자가 보유하고 있는 램시마 판매권을 승계한 기업.

-질병관리본부 국책과제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 중.

-2020년 6월 코로나19 항체치료제 후보 물질을 가지고 동물에게 효능을 확인해 본 결과, 감염 증상의 개선 효과 확인.
미코바이오메드 -코로나19/ 백신, 진단시약, 방역

-체외진단 의료기기 업체.

-체외진단 의료기기 중 분자진단기기 및 진단시약, 생화학진단기기 및 진단스트립, 면역진단기기및 진단시약의 개발,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20년3월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검사 진단키트(PCR Kit nCoV-QS)와 유전자 추출키트(PREP Kit 16TU-CV19) 유럽인증을 획득했으며, 20년1월일 질병관리본부에 긴급사용승인 신청 후 3월 코로나19 진단 키트에 대한 수출 허가 획득.

-KT와 감염병 진단, 바이오 헬스 사업 업무협약 체결.
피씨엘 -코로나19/ 백신, 진단시약, 방역/ 의료기기/ 치매

-면역진단용 체외진단 의료기기 개발, 제조업체. 3차원 SG Cap™ 고민감도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고위험군 바이러스, 다중진단 임상에 성공하였으며, 고민감도, 저비용, 고효율 다중진단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혈액선별 진단제품 개발 및 공급, POCT 제품 개발 및 공급, 플랫폼서비스 사업 영위.

-헌혈 전 혈액선별 다중진단 스크리닝 제품인 Hi3 시리즈를 개발했으며, 신속진단 제품인 Ai(인플루엔자 A/B 진단) 및 Cancer(다중암진단키트) 개발 진행 중.

-스위스 제약사와 알츠하이머 진단키트 개발 공동연구 이력 있음.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법에 분자진단시약 공급 위해 올릭스와 협업

-약국판매 가능 코로나 19 항체키트 미 임상 진행

-면역진단용 체외진단 의료기기 개발, 제조업체. 코로나19 '항원 간편진단키트(COVID-19 Ag GICA Rapid)' 개발 완료.

 

 

 

반응형

 

-엔젤산업은 영유아(1살부터 취학 전까지의 아동)를 대상으로 하는 산업을 총칭하는 말이다.

 

 

-엔젤산업(키즈산업)은 저출산 시대를 맞아 자식을 하나 혹은 둘만 낳고 이들에게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사회 풍조가 일반화되면서 날로 성장하고 있다.

 

-엔젤산업(키즈산업)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엔젤산업 (키즈산업) 관련주

 

 

대원미디어 -엔젤산업/ 영상콘텐츠/ 게임/ 캐릭터상품

-만화 및 애니메이션 콘텐츠 관련 종합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게임유통사업에서 국내시장에서 닌텐도 전문 유통사업을 진행중.

-주요 종속회사로는 대원방송(주), 대원씨아이(주), 대원엔터테인먼트(주) 등.
토박스코리아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패션, 의류

-유/ 아동 신발 도소매업체.

-미니멜리사, 씨엔타, PB브랜드, 휠라 등 전세계 최신트렌드 브랜드 슈즈 등을 국내 정식 유통하고 있음.

-온라인, 백화점, 아울렛 등 다양한 유통 채널 확보.

-상어가족.

-상승이슈 : 스마트스터디 예비 유니콘 기업 선정 속 핑크퐁 상어가족 제품 판매사실 부각.
손오공 -게임/ 캐릭터상품/ 엔젤산업

-캐릭터완구 (헬로카봇, 빠샤메카드, 공룡메카드) 및 게임 사업매출 비중이 높으며, 애니메이션과 캐릭터 산업을 연계하여 캐릭터를 개발 및 제품화 중.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의 모든 PC패키지 게임의 국내유통을 담당하고 있으며, 100% 자회사인 손오공아이비를 통해 리그오브레전드 등 온라인게임의 PC방 총판 사업을 영위.

-한국 닌텐도와 유통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닌텐도 스위치, 아이보 등을 판매중.

-BTS관련주 (BTS패션돌)
삼성출판사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교육, 온라인 교육/ 모바일콘텐츠

-유아동 서적, 영어교재(유치원, 초등학원) 및 여성취미실용서적 등의 출판사업 및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사업(중부고속도로 상행선 경기도 이천 휴게소), 임대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문구 및 패션디자인제품 제조/ 유통 업체인 (주)아트박스와 애니메이션 제작업체인 (주)스마트앤미디어를 종속기업으로 보유.

-모바일 플랫폼 업체인 스마트스터디(주)를 관계사로 보유.

-상어가족

-상승이슈 : '아기상어' 스마트스터디 나스닥 상장 추진설 속 스마트스터디 지분가치 부각.
예림당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아동도서 출판 전문업체.

-대표적인 히트상품은 "Why?시리즈"로 이란, 브라질, 말레이시아, 터키, 스페인, 포르투갈, 앙골라 등으로 수출.

-출판사업 (도서 제작 및 판매), 저작권 판매, 임대사업, 전자출판 사업, 애니메이션 사업 등 출판사업 및 관련 부대사업(출판사업부)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중.

-종속회사를 통해 저비용항공, PHC파일 제작, 반도체 Packaging 사업 등을 영위.

-(주)티웨이 홀딩스, 티웨이항공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삼천리자전거 -자전거/ 전기자전거/ 엔젤산업

-국내 대표적인 자전거업체.

-일반자전거 (산악용, 접이용, 씨티용, 아동용, 경기용, 하이브리드, 미니벨로, 로드바이크, 특수형, 공공자전거), 전기자전거(PHANTOM 시리즈)를 제조하여 국내 대리점 및 유통점에 공급.

-유아용품 도소매업을 영위하는 (주)쁘레베베를 종속회사로 보유.
웅진씽크빅 -교육, 온라인교육/ 엔젤산업/ 출산장려정책

-웅진그룹 계열의 국내 교육서비스 및 출판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씽크빅 브랜드의 학습지 교육문화사업(학습관리 서비스), 미래교육사업(독서관리 서비스), 기타사업(아동 및 성인 단행본 등) 등을 영위하고 있음.

-기존 오프라인 사업을 통해 확보한 콘텐츠와 인프라를 기반으로 온라인 교육 사업 부문의 영업을 강화.

-영어 교육사업을 하는 (주)웅진컴퍼스를 종속회사로 보유.

-2019년 12월 웅진코웨이(주) 매각.
모나미 -일 불매운동 관련주/ 무상교육 관련주

-모나미 브랜드의 국내 상위 문구업체.

-일반 사무용 필기구 등의 문구류, 잉크 및 토너 등의 컴퓨터 소모품류 사업 등을 영위.

-하이테크 문구류 필기류 불매운동 반일.
남양유업 -출산장려정책/ 음식료업종/ 엔젤산업

-우유와 분유, 시유, 발효유, 치즈 등 유가공제품 및 카페믹스, 음료제품 등을 생산/판매하는 업체.

-맛있는우유GT, 아인슈타인 GT 등 우유류, XO World Class 등의 분유류, 몸이가벼워지는시간17차, 앳홈 주스, 드빈치치즈 등을 판매중.
네오팜 -엔젤산업/ 출산장려정책

-화장품 개발/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 중인 아토피보습제 전문업체.

-아토팜(아토피, 건성 및 민감성 피부관리제품), 리얼베리어 등의 브랜드 보유.

 

 

아가방컴퍼니 -마스크/ 일제품 불매운동/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유아의류 및 유아용품 제조, 판매업체.

-아가방, 디어베이비, 에뜨와 등의 브랜드를 보유.

-숨쉬는 마스크2EA, 숨쉬는 마스크KF80을 판매중.
헝셩그룹 -국내상장 중국기업/ 출산장려/ 엔젤산업

-실질영업자회사인 진장헝셩완구유한회사와 췐저우Jazzit어페럴유한회사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한 홍콩 지주회사.

-완구제품및 완구부속품 제조업체 진장헝셩완구유한회사와 아동의류 판매업체 췐저우Jazzit어페럴유한회사 지분 100%를 소유.
락앤락 -황사, 미세먼지/ 마스크/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락앤락 브랜드로 유명한 국내 플라스틱 밀폐용기 시장점유율 1위 업체.

-플라스틱을 포함한 밀폐용기 및 주방생활용품 제조, 판매 영위, 높은 수출 비중.

-헤파필터 기술을 적용한 보건용 마스크인 퓨어돔 마스크 생산.

-중국시장에서 영, 유아용품 브랜드인 '헬로베베' 선보임.
매일유업 -출산장려정책/ 음식료업종/ 엔젤산업

-낙농품 및 음료 제조판매수출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분유(앱솔루트, 유기농 궁 등), 시유(매일우유, 상하목장 등), 발효유(상하목장 케피어12, 매일바이오 등), 치즈, 유지류 등 유제품 등을 생산, 유통.
캐리소프트 -캐릭터상품/ 출산장려정책/ 교육, 온라인교육/ 엔젤산업/ 영상콘텐츠

-어린이 방송국 캐리TV를 운영중인 키즈/ 패밀리 콘텐츠 제작업체.

-TV와 모바일의 자체 운영 채널을 중심으로 한 어린이 가족분야의 콘텐츠사업 (영상 콘텐츠, 애니메이션, 음악, 영화 등)과 캐릭터 IP및 미디어 기반의 사업(공연, MD상품, 라이선스상품, 교육상품, 키즈카페 등) 등을 영위.

-주요 상표로는 캐리, 엘리, 캐빈 등이 있음.
정상제이엘에스 -교육, 온라인교육/ 엔젤산업

-오프라인 직영어학원을 기반으로 초중등생을 대상으로 활용위주의 영어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주요 브랜드는 어린이 전문 영어교육 프로그램인 CHESS, 전문 영어교육 프로그램 ACE, 조기유학/연수 프로그램 Vancouver 등이 있음.

-해외수출은 단순 교재판매가 아닌 오프라인, 온라인 그리고 모바일까지 연계된 커리큘럼화 된 패키지 상품 형태로 경쟁력을 보유함.
삼익악기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피아노 및 각종 악기 제조/ 판매업체.

-국내피아노 시장에서 독과점적인 지위를 갖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 피아노(일반가정용 업라이트피아노, 전문연주용 그랜드피아노, 디지털피아노 등)와 기타, 바이올린, 첼로 등.
오로라 -엔젤산업/ 캐릭터 상품

-캐릭터 완구 및 캐릭터 컨텐츠 전문기업으로 캐릭터 디자인을 개발하고 캐릭터완구를 상품화하여 국내외 시장에 브랜드마케팅을 하는 글로벌 다국적 업체.

-인도네시아와 중국의 생산법인에서 제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홍콩의 판매법인과 주요시장의 전문 디스트리뷰터를 통하여 해외 시장에 판매.

-국내시장에서도 브랜드마케팅을 추진해 나가고 있으며, 개발된 캐릭터를 활용한 캐릭터 라이센싱 및 캐릭터 머천다이징 사업을 확장중.
유진로봇 -캐릭터상품/ 엔젤산업/ DMZ평화공원/ AI/ 사물인터넷

-청소로봇, 교육용로봇, 유비쿼터스 홈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군사용로봇 등을 개발 판매하는 로봇 전문 생산업체.

-지나월드 완구사업부문을 통해 캐릭터 완구 및 플라스틱 상품 등도 판매.

-(주)유진로보틱스와의 합병이후 지능형 로봇 등을 직접 제조해서 시장에 출시.
제로투세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유아동복 및 용품 등의 판매 및 유통업체.

-유아동의류 브랜드인 알로앤루, 포래즈, 알퐁소, 유아동 스킨케어 전문 브랜드인 궁중비책 등의 브랜드 보유.

-대형할인점과 대리점 등의 오프라인 매장과 인터넷 쇼핑몰인 제로투세븐닷컴에서 유아동 의류 및 용품 등을 판매.

-유아동 스킨케어 브랜드 "궁중비책" 제조, 판매 및 수출하는 코스메틱 사업도 영위중이며, 궁중비책 등 유아 관련 제품을 중국시장에 유통.

-중국 상하이 현지 법인 영도칠무역유한공사 지분 49%를 보유.

-18년11월 식품 용기의 제조, 판매 및 무역업을 영위하는 씨케이팩키지(주)를 흡수합병.

-상승이슈 : 궁중비책 모이스처 크림 중국 라이브 커머스에서 완판
대교 -교육, 온라인교육/ 엔젤산업/ 출산장려정책

-대교그룹 계열사로 학습지의 출판, 제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중.

-자회사 (주)대교에듀캠프를 통해 교육기관사업을영위중이며, 자회사 에듀베이션(주)를 통해 학원전문 서비스업을 영위중.

-주요 보유 상표로는 눈높이, 차이홍, 솔루니, 소빅스, 페르마 등이 있음.

-교육서비스 및 출판사업이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

 

 

반응형

 

-시멘트는 토목/ 건축 등에 사용되는 무기질 결합경화제를 의미하며,

 

-레미콘은 시멘트에 자갈 등을 물과 배합해 공사 현장으로 운반하여 타설하는 굳지 않은 상태의 콘트리트를 의미한다.

 

 

-시멘트/ 레미콘은 전형적인 내수산업으로 건설경기 등에 민감하게 주가가 움직이며, 계절적인 편중도가 높은 편이다.

 

-시멘트/ 레미콘과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주세요~!! 감사합니다~!!^^)

 

 

 

 

시멘트/ 레미콘 관련주

 

 

부산산업 -철도/ 해저터널/ 시멘트, 레미콘

-부산 소재의 레미콘 전문 제조업체.

-주요 수요처인 건설관련 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받음.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의 원재료를 이용하여 제한된 시간 내에 건설현장까지 운송해야 하는 사업 특성상 내수판매만 이루어짐.

-종속회사인 태명실업을 통해 콘크리트침목, 세그멘트, 건축PC, 시멘트지대 사업과 티엠트랙시스템(유)를 통해 콘크리트침목(고속철도) 사업 영위.

-가덕도 신공항 (가덕도 인근 지역 본사 위치)
유니온 -희토류/ 미중 무역갈등/ 시멘트, 레미콘

-백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등 내화재, 터널시공자재 등 특수시멘트를 판매하는 시멘트 전문업체.

-여과기, 탈수기의 환경기계등 사업도 영위중.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유니온머티리얼 등을 보유.

-유니온머티리얼 페라이트 마그네트 소재 생산. (자동차 전장용 모터나 컴프레서의 소재로 사용되지만 향후 희토류를 대체할 소재로 주목 받고 있음.)

-코스피 상장사인 OCI지분 보유.
모헨즈 -시멘트, 레미콘/ DMZ평화공원

-충남지역 기반의 레미콘 사업 영위 업체.

-용접사업을 영위하는 덕원사업(주)을 종속회사로 보유.

-추미애 관련주 (새만금 관련 종목)
동양 -시멘트, 레미콘/ 마스크

-개성공단입주기업

-유진그룹 계열로 건재사업(레미콘 등), 건설사업(건축/ 토목공사), 플랜트 사업(산업용송풍기) 등을 영위.

-자회사 한일합섬이 마스크 생산에 사용되는 부직포를 제조 및 판매.
성신양회 -시멘트, 레미콘

-시멘트 등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

-레미콘 사업을 영위중인 성신레미컨(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주요상표로 천마표시멘트, 성신레미콘 등.
고려시멘트 -아프리카 돼지열병/ 시멘트, 레미콘

-강동그룹 계열의 시멘트 전문업체로 건축, 토목에 사용되는 시멘트 등을 생산/ 판매중.

-19년 8월 31일 레미콘사업부문 생산 중단.
보광산업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

-대구, 경북지역의 골재생산 전문 업체.

-건설의 근간이 되는 콘크리트용 부순골재, 도로포장공사용 혼합골재, 재활용 아스콘, 일반아스콘, 레미콘 등을 생산 판매.
한일현대시멘트 -시멘트/ 레미콘

-시멘트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주요상표는 한일현대시멘트이며, 강원도 영월과 충북 단양 등 총 12곳에 공장을 두고 있음.
쎄니트 -영화/ 비철금속/ 시멘트, 레미콘

-스테인리스 박판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

-극장위탁운영사업도 영위.

-레미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영산콘크리트공업을 종속회사로 보유.
서산 -시멘트, 레미콘

-콘크리트 제품 생산/ 판매 업체.

-시멘트를 원재료로 레미콘, 2차제품 (흄관, 고강도파일, 한전주, 통신주) 등을 생산.

-이낙연
홈센타홀딩스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 4대강 복원

-대구 경북지역 기반의 건축자재 도소매, 건설, 레져 및 임대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건축용 마감재(타일, 위생도기, 수전금구, 가스보일러, 씽크대 등), 기계설비공사, 수영장/헬스클럽/사우나(온천)/찜질방 등의 레저스포츠 사업을 영위.

-분할신설법인 홈센타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으며, 레미콘 제조업체(주)에이치씨보광레미콘과 (주)에이치씨대동산업 등을 자회사로 보유.
유진기업 -아스콘/ 시멘트, 레미콘/ GTX

-전해철 관련주

-유진그룹 계열로 레미콘 사업, 시멘트 및 골재 등을 이용한 건자재유통 사업, 건설사업 등을 영위.

-유진투자증권(주),  (주)나눔로또, (주)동양 등의 지분 보유.

-세종시 관련주 (세종시에 토지 등을 보유)
SG -아스콘/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레미콘 생산, 판매업체.

-아스콘과 레미콘 시장은 건설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음.

-에코 아스콘 개발 진행중.

-서부아스콘(주), 영종아스콘(주)을 100% 자회사로 보유.
아세아시멘트 -시멘트, 레미콘

-아세아그룹 계열의 중견 시멘트 제조업체.

-시멘트, 레미콘, 드라이몰탈 사업을 영위.
한일시멘트 -시멘트, 레미콘

-시멘트 제조 및 시멘트 2차 제품(레미콘, 레미탈)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제품으로 시멘트, 특수시멘트, 레미콘, 레미탈, 고강도 혼합재 등을 보유.

-20년 8월 에이치엘케이홀딩스(주)를 흡수합병.
삼표시멘트 -시멘트, 레미콘

-삼표그룹 계열사로 시멘트 및 2차 제품의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종속회사로 삼표자원개발, 삼표에스앤씨, 삼표해운, 골든자원개발 등을 보유.
쌍용양회 -시멘트, 레미콘

-쌍용계열의 시멘트사업 영위 업체.

-국내 시멘트 업계 시장점유율 상위 업체로 레미콘사업을 영위하는 쌍용레미콘의 최대주주.

-환경자원, 해운 사업 등을 영위.

 

 

반응형

 

-화학섬유산업은 석유화학과 밀접하게 연계되는 하이테크 산업이다.

 

 

-전방으로는 석유화학제품은 원료를 공급받아 섬유를 제조하여 후방산업인 방적, 직물, 봉제산업에 공급함으로써 전후방사업과 관련성이 높은 특성이 있다.

 

-또한, 글로벌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유가 및 환율에 따른 원재료비 변동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화학섬유와 관련있는 종목들을 살펴보자~!!

 

(종목 추천이 아닌 관련 섹터 공부, 기록하는 용도로 봐주세요~!! 틀린 부분이나 빠진 종목이 있음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

 

 

 

 

화학섬유

 

 

휴비스 -화학섬유/ 원자력발전소 해체/ 마스크

-섬유용 폴리에스터를 주력으로 생산중이며, 의류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장섬유(FV)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단섬유(SF), PET소재, Bottle 및 필름 용도 등으로 쓰이는 폴리에스터 칩을 생산중.

-마스크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생산.
효성티앤씨 -화학섬유/ 종합상사

-(주)효성에서 섬유 및 무역사업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나일론원사, 폴리에스터원사, 스판덱스, 직물/ 염색 등 의료용 섬유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철강 및 화학제품 판매 등의 무역사업도 영위.
태광산업 -석유화학/ 홈쇼핑/ 화학섬유/ 케이블TV SO, MSO

-태광그룹 계열로 PTA, AN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부문과 원사 및 직물 등을 생산하는 섬유부문 사업을 영위.

-개성공단입주기업.

-(주)우리홈쇼핑, LG유플러스 등의 지분 보유.
티케이케미칼 -화학섬유

-SM 그룹 계열의 PET수지, 폴리에스터 및 스판덱스 원사 등을 주로 생산하는 화학섬유 제조업체.

-PET CHIP, 폴리에스터 원사, 스판덱스 원사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중.

-'우방아이유쉘'이라는 건설브랜드로 건설사업도 영위.

-19년 5월 터치스크핀패널(TSP)전문 업체인 (주)이엔에이치를 인수.

-이낙연 인맥(계열사 SM삼환기업 대표 친동생)/ 우오현 회장이 호남출신 이낙연과 친분설.

-상승이슈 : 중국 스판덱스 재고 감소에 따른 수혜 기대감 및 해상운임 급등 속 대한해운, 에스엠상선 등 지분보유 사실 부각/
코오롱인더 -폴더블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화학섬유/ 패션, 의류/ 수소차/ LCD부품, 소재

-코오롱의 제조사업이 분사되어 신설된 제조회사.

-산업자재, 샤무드, 화학소재, 필름/ 전자재료, 패션 등의 사업을 영위.

-국내 자동차 부품인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 장치 개발. 수소연료 전지의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막전극접합체 기술을 미국 고어사로부터 도입.

-코오롱글로텍, 코오롱플라스틱, 코오롱머티리얼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양산라인을 구축.
대한화섬 -화학섬유

-직물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공장은 울산에 있으며, 연간 생산능력은 65,700톤.
코오롱머티리얼 -수소차/ 화학섬유

-코오롱그룹 계열의 화학섬유 제조업체.

-의류용도의 직물 및 편물 제조 판매업체.

-원단 사업 부문은 스포츠, 아웃도어용 기능성 원단 부문을 중심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세계시장 선점 10대 핵심소재사업 중 '다기능성 고분자 멤브레인 소재' 주관 기관.

-19년 3월 원사사업부문 영업을 중단하고 나노멤브레인 사업을 집중 육성 계획.

-현대차가 참여한 국책과제를 통해 수소연료전지 전기차량의 핵심 부품인 연료전지 분리막 원천기술 확보.
성안 -화학섬유

-의류, 커튼, 침대카바 등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F 직물을 제조, 가공, 판매하는 수출 주력업체.

-중동, 유럽, 아시아, 중남미, 북미 등 세계 각 지역에 수출중이며, 수출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6% 이상을 차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