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 결핵은 매우 전염성이 강한 세균 감염 질환으로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기침, 가래, 발열,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치료하지 않은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 따라서 결핵 예방접종을 받고, 호흡기 감염 예방을 위한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의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 또한, 의심 증상이 있으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검진을 받아야 한다.

결핵의 주요 원인
- 결핵의 주요 원인은 결핵균인 매독결핵균(Myobacterium tuberculosis)이다.
- 이 균은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대화 등으로 인해 환경으로 배출되며, 감염된 사람과 가까이 있거나, 같은 공기를 마시는 경우에 전파된다. 또한 결핵균은 체내에 들어가면 면역력이 약한 부위에 공격하여 결핵을 유발할 수 있다.
결핵 증상
- 기침
- 결핵 환자는 쉽게 기침이 나타나며, 기침을 할 때 가래나 피가 섞인 가래를 내뱉을 수 있다.
- 가슴통증
- 가슴의 통증이나 불편감이 나타나며, 숨 쉬기가 어려울 수 있다.
- 체중 감소
- 갑자기 체중이 감소하는 것도 결핵 증상 중 하나이다.
- 발열
- 감기와 비슷한 발열이 자주 나타난다.
- 피로
- 지속적인 피로감이 느껴지며, 쉽게 지치고 무기력해진다.
- 밤에 땀을 많이 흘림
결핵 예방 방법
- 결핵 예방접종 받기
- 결핵 예방접종은 결핵균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시켜 결핵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 호흡기 감염 예방
- 기침이나 재채기 등으로 인한 호흡기 감염 예방을 위해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의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 건강한 생활 습관
- 건강한 식습관과 충분한 운동, 휴식을 통해 면역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환기
- 검진 및 치료
- 결핵 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검진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여야 한다.
결핵 치료
- 결핵은 적절한 치료로 대부분 완치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포함된다.
- 항결핵제 복용
- 항결핵제는 결핵균을 제거하고 병의 진행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치료 기간은 보통 6개월에서 1년 이상이며, 주기적인 혈액검사와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 예방적 수술
- 결핵이 발생한 부위가 흉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 치료 후에도 흉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 안정적인 생활
- 치료기간 동안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를 유지하고, 금연과 음주를 자제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
- 규칙적인 치료 검사
- 치료 중에는 항결핵제 복용과 혈액검사 등의 규칙적인 치료 검사를 받아야 하며, 치료 중 담당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 방법을 조정해야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폭스 (원숭이두창), 국내 6번째 환자 감염 (0) | 2023.04.08 |
---|---|
토마틴 성분 (방울토마토 먹고 구토, 복통 호소) (0) | 2023.03.31 |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발생시기, 증상, 예방방법, 치료 등) (0) | 2023.03.24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 식중독 (원인, 증상, 예방, 발생시기 등) (1) | 2023.03.23 |
지카바이러스 (발생원인, 증상, 예방방법, 치료 등) (1) | 2023.03.22 |